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평지형 둠벙

  • Hit : 2350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2
안녕하세요 경주에사는 낚시인입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저는 요세 2~300평 쯤되는 둠벙에 낚시를 계속 다님니다(2~3군데) 여기서 한군데 수심이 40대로 전역을 찍었을때 1~1.5미터 완전 테니스장입니다 주위는 바로옆 농로 위는 논,좌우논 둠벙은 폭꺼져 있읍니다 참고로 마을 친구가 38까지 뽑았읍니다 위로 큰못이2군데 있으 배수는 하지안고요 어렸을때부터 보아온 잊으진 못입니다 참고로 낚시는 한적없고 주로 위에 못에서 낚시꾼들이 합니다 여기서 저는 오로지 새우거던요 낚시를 하는데 입질은 계속 하는데 입걸림이되지 않읍니다,완전이톱이 다올라와도않되고,옆으로 끌고가도 않되고,미치겠읍니다 저는 등관통 꿰기를하는데,친구가 입질이 예민하니 꼬리관통꿰기를 하라고해서 하니 입질5번에2번 입걸림 이해가 되질 않읍니다 새우는 등관통꿰기가 입걸림이 제일잘되는 걸로알고있읍니다 그리고 고기가 왜이리 예민한지요 계체수는 많읍니다 고수님들의 속시원한 고견 부탁해요

안녕하세요..초보 대물조사 뻐드리 입니다..
저와 저의 조우도 역시 경주 조사님의 경우처럼 후킹이 잘되지 않는 경험이 있습니다.
제 생각에는 등관통꿰기시에는 챔질 타이밍을 조금 늦게 가져 가는것이 좋을듯 합니다.붕어가 꾸역꾸역 삼킬때까지 기다렸다가 강하게 챔질 해야지만 후킹이 잘 되더라구요.
등관통 궤기시 챔질이 빠르거나 완전히 삼키지 않은 상태에서 챔질은 하면 새우가 미끄러져 나오는것 같더라구요..
그리고 챔질 역시 강하게 해야 합니다.새우가 으깨질 정도로 강하게요.
저 역시 그런 경험이 있어서 이런 방법으로 하니 후킹 확률을 높일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저는 요즘 같은 경우는 등꿰기를 많이 하는편입니다.
어차피 대물 붕어를 목표로 하는 낚시이기에 7치 이상만 되어도 이세형 바늘 11호에 큰새우를 등꿰기 해도 다 삼키더라구요.등꿰기가 제 생각에는 후킹 확률을 가장 높일수 있다고 생각합니다.물론 붕어가 이물감은 더 느끼겠지만 대물을 노리는 낚시이기에 별 상관이 없다고 생각되네요..^^;
또한 한가지는 혹시 붕어 잔챙이가 새우를 삼키지 못하고 물고 끌고 다니는 경우와 가재와 물방개 같은 수중동물이 그렇게 할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여러가지 방법을 써 보십시요.
꼬리꿰기, 등꿰기도 해 보시고 바늘도 작은걸로도 한번 써보시고 미끼도 굳이 새우가 아닌 콩이나 다른 걸 써 보신다면 그런 이유를 확실히 알수 있을거란 생각이 드네요,,
부디 빨리 해법을 찾으셔서 이쁜 붕어 만나시길 바랍니다.
이상 초보조사 뻐드리 였습니다.
둠벙이라... ㅎㅎ 전 둠벙에 많은 추억이 있습니다. 조립낚시 아시죠? 100원짜리 ^^
꼬마때 낚시장소가 대부분 둠벙이였습니다. 요즘은 둠벙에서 하는모습을 보기 힘들더군요.
먼져 좋은 둠벙 찻으신거 축하드리고요. 본론으러 드러가겠습니다.

둠벙은 가뭄에 대비하여 밭이나 논주위에 주로 인위적으러 만들어서 분포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심도 깊은 편입니다. 그러나 주의해야할점은 농사가 끝나고 물을 완전 뽑아서 고기를 잡는 모습을 많이 보았습니다.
기타둠벙이 그러하고요.현지분이 마르지 안았다면 믿음이 가겠습니다.

낮에 하는 낚시는 개체의 확인이 불확실하오니 밤낚시
에 도전을 한번 하시면 대물의 낚음이 예상됩니다. 깨끗한 저수지의
붕어는 누런색에 가깝습니다.

작년입니다. 물이 마르지 않는 둠벙을 하나 찻았지요.
그냥지나가다 발견한 곳이라 일단 지렁이로 탐색하였는데요. 월척이 나오더군요.
올커니 하고는 그날 밤에 열심히 쪼아 봤는데요. 그다지 대박성과는 아니였습니다.
제가 여러사람한데 물어보고 듣은바로는 둠벙에는 대부분이 씨알급이 먼져 나오는것으러 알고있습니다. 낚시를 하다보면 씨알이 자꾸 작아지는 경우도 생깁니다. 또한 둠벙에 살고있는 붕어들은 대부분이 농사꾼(동네꼬마포함) 이나 낚시꾼들이 잡아서 넣던가 아님 냇가등에서 잡은 대량의 물고기를 마을에서 회식?잔치 등에 시식한뒤 남은 고기를 넣은 고기입니다.

미끼는 만약 채집망에 참붕어, 새우가 있다면 것은 그곳에 먹이사슬이 존재하고 붕어색도 전형적인 토종붕어에 누런색에 가깝더군요. 그러나 의외로 지렁이가 잘듣는 경우가 많으니 필히 가지고 가세요. 저라면 옥수수도 함 써보겠습니다. 처음접하는 곳에는 다양한 미끼가 좋겠습니다.

포인트로는 갓낚시 위주로 하는게 좋겠구요.
대부분 둠벙엔 땟장이 있는데요. 이는 대부분 농사꾼들이 둠벙턱에 심기때문이고, 땟장을 긴대가 있따면 넘겨서 하는것이 좋겠습니다.

질문하신 찌올림 말인데요.
물방개와 잔챙이 붕어서 소행으러 보입니다. 이땐 미끼를 달리 하셔야 하겠네요.
어느정도 낚시를 한분이라면 잔챙이나 미생물의 입질정도는 파악하리라 생각되는데요.
빠른 찌올림이라고 무저건 잔챙이는 아닙니다. 이것또한 경험입니다.
힘든 낚시가 되더라도 챔질이 10번에 1번 성공하면 그것으러 만족하시면 어떻겠습니까?
보기힘든 찌올림을 많이 보시다 보면 그와중에 아마 앞으러 다른 중급저수지에서 입질이 온다면 "어떤것이 입질하였구나..." 라고 모르는 사이에 고수가 되어 있찌 안을까요 ^^

대신 3번미만으러 출조하고 확인하는것이 좋겠습니다.
이유는 둠벙에 경우 개체수가 한정되어 있기때문입니다.

38cm 까지 나온 둠벙이니 기대감이 크시겠습니다.
좋은 붕어 잡으셔서 화보로 보여주세요^^* 간만에 둠벙 붕어 꼭 한번 보고싶네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