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굵은 원줄과 얇은 목줄 사용과, 얇은 원줄 사용이 다른이유가 몬가요?

굵은 원줄과 얇은 목줄 사용과 얇은 원줄 사용이 다른이유가 몬가요 (월척지식 - 전통바닥낚시)
개인적인 견해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전 이제 갓 입문한 어린 조사인데요 다름이 아니라 원줄 목줄 사용에 관해 궁금한 사항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채비는 해X스윙벨 4호정도의 채비입니다. (쉽게 이야기 하면, 노지 양어장 겸용 스윙벨 무게정도) 원줄은 2호라고 가정하고, 본 봉돌과 스윙벨의 간격은 10cm이라고 하겠습니다. 이때, 원줄이 2호이나, 봉볼돌과 스윙벨의 10cm의 간격에 1호 or 0.8호의 줄을 사용한다면, 원줄 1호나 0.8호를 사용하는것과 같은 효과가 나지 않을까 싶은데요.. 물론 줄의 침력이 작용하겠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찌라는 곳에서 상쇄하도록 설정된 찌 맞춤이었을때를 가정한 이야깁니다. 짧게 줄여서 이야기 하자면, 원봉돌과 좁살 or 스윙벨 사이의 목줄이 실제로 붕어씨가 받는 저항일거라고 생각되는데요 전문가님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원줄 2호에 목줄 1~0.8이면 적당한 바란스의 원줄과 목줄 호수 인거 같은데요..

원줄 1호와 같은 효과라.. 크게 차이는 없을 것같습니다.

원줄을 좀 더쌔게 쓰는 이유는 아시겟지만 밑걸림시 채비손실을 최소화 하려는 의도인데요.
밑걸림 없구 수퍼잉순이 향돌이없는 양어장같은데서 낚시하신다면 원줄부터 바늘까지 1,0.8로 가시고 편납홀더로 고리 봉돌 대신 쓰시고.스윙벨 대신 좁살봉돌하나 물리는 것이 가장 튼튼한 채비입니다 ^^ 최대한 매듭부가 없는게 튼튼하니까요.. 도중에 고기잡다 끈어지면.. 일이 커지겠죠 ^^ 여튼 그렇습니다..
말씀감사합니다.
스윙벨 사용은 일단 무바늘 맞춤의 이점때문에 사용하는 것이구요, 원줄부터 바늘까지 갔을 경우 물론 줄의 성능을 최대한
사용할수는 있겠지만, 낚시대 및 찌 손실 부분에서 걸리게 돼네요 ㅠ
저 역시 현재 1호줄을 사용하고 있으며, 노지에서 즐겨 낚시를 합니다.
얇은 줄의 매력은 이물감도 있겠지만, 손맛도 있잖아요 ㅎㅎ

아래는 손맛을 제외한 이야기입니다.

요점은 그렇습니다. 굵은 원줄 5호라고 하고, 목줄을 1호라고 하고 스윙벨 달고, 그 밑에 바늘묶인 목줄 달고~

요 상황입니다. 고기들이 느끼는 이물감이 5호인지 1호인지 궁금해서요ㅎㅎ

밑걸림시 목줄이 나가겟죠~ 스윙벨이랑 바늘만 갈면 되는거고,, ㅎㅎ 굵은 원줄이니까 원줄 갈일도 없구용 ㅎㅎ

고기한테 물어보세요<--요 답변만 하지 말아주세요 ㅋㅋ
스위벨과 본봉돌의 라인을 가늘게 간다고 원줄이 가늘다는 이론은 나오지않습니다.

붕어들이 먹이를 먹고 들어올릴때 스위벨과 본봉돌의 라인만 들어올리는것이아니고

찌를 포함한 원줄이 모드 들리게 됩니다.

물론 그무게가 모두 붕어들에게 전달되는건 아니지만...

위에 글로봤을때 스위벨과 본봉돌의 사이에 라인을 가늘게 한다고해서 원줄이 가늘다는 역활은 맞지않는거 같네요.

스위벨을 사용하시려한다니 라인호수 추천드리자면

원줄 1.5호(모노)내외 목줄 0.8이나 1호 정도 추천드립니다.

기온이 많이 춥습니다. 사람이 움추려드는 만큼 붕어도 움추려듭니다.

가늘고 예민한 채비가 조과에 조금은 도움이 되실겁니다.
네 말씀감사합니다^^ 저도 노지 낚시 지금 부력 1호 짜리 찌에 원줄 1호에 좁살채비 쓰고 있습니다.~

(쓰다보니 얇은 모노줄은 자주 갈게 되더라고요,, 불안하다고 할까..)

할인님 그런데 왜 붕어씨가 원줄과 찌의 무게까지 책임을 져 주셔야 하는지는 잘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제 생각에 붕어씨가 가장 처음 힘을 들여 들어올려 주시는것이 바늘+연결된 라인이고,

그 다음이 좁살이나, 스윙벨 정도이고 이게 움질일때 찌는 자연스레

올라갈 것이라고 판단됩니다.(그래서 바닥낚시에 사각이 발생하죠, 바늘을 물어서 좁살씨한테 힘이 들어갈때까지)

또한 이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해주는것이 목줄 원줄이겠지요?

여기서 목줄을 얇게 썼다는것은 붕어가 처음에 느끼게 될 이물감이 줄어들 것인가 안 줄어들 것인가

이것이 궁금한 것입니다.(보통 원줄로 봉봉돌까지 쓰고 목줄은 PE합사나, 케브라정도 쓰지 않나요?ㅎ)

이물감이 줄어든다면, 굵은 원줄에 얇은 목줄과 얇은 원줄과 차의는 손 맛의 차의정도일 것이라고 판단되는데요...

제가 궁금한게 많아서 ㅎㅎ
제가 제 답글을 읽어봐도 설명이 부적절하여 오해의 소지가 다분하네요 ㅋㅋ

원줄과 찌의 무게까지 들어올린다는 표현보다가는

채비자체가 둔하다면 그 둔한채비에 맞게 낚시가 운용이 됩니다.

원줄과 찌를 굵은것과 둔한것을 사용하고 찌맞춤을 예민하게하고 목줄을 가늘게 한다고해도

붕어가 미끼를 먹고 고개를들게되면 반응이 되는것을 살펴보면

바늘>목줄>봉돌>원줄에 걸쳐서 찌가 움직이게 되는것입니다.

붕어가 원줄의 힘을 움직이는게 아니고 자연적으로 바늘과 목줄 봉돌에 힘이가해지면 원줄과 찌는 움직이는게 맞지만

굵은원줄과 둔한찌는 물속에 있습니다. 그만큼 물의 저항을 받게 되는것이죠.

그힘이 붕어에게 가는원줄을 사용하였을시보다 이물감을 느끼게되는것입니다.

물론 그힘은 미비하나 가는원줄을 사용하였을시보다가는 약간의 이물감이 나타나는건 사실입니다.

겨울이 되고 날이 추워지면 붕어들은 경계심이 생기고 입질또한 미약합니다.

그런 미약한 입질을 잡아내기 위해선 보다 가는줄 예민한 찌맞춤으로 그 해답을 찾는수밖에 없습니다.

그렇기에

원줄2호 봉돌과 좁살사이 목줄1호 좁살과 바늘사이 목줄1호를 쓰는거보다가는

원줄1호 봉돌과 좁살사이 목줄1호 좁살과 바늘사이 목줄1호는 차이가 잇습니다.

위에 질문만 놓고 봤을때 원줄을 2호쓰고 본봉돌과 좁살까지 목줄을 1호 쓰면 원줄이 1호의 효가가 나타나는게 아니고

원줄2호에 목줄1호를 썼을때 1호 효과를 보고 싶으시다면

찌에서 봉돌까지 1호를 쓰셔야 비로소 1호라는 원줄의 효과가 나타납니다.

물론 초릿대에서 찌까지는 2호이든 그이상이든 상관없게 됩니다.

제가 말주변이 없어서 글로 설명을 잘하고 있는건지 모르겠네요...
말씀감사합니다^^ 아무래도 1호의 효과는 힘들겠죠?ㅋ
2호는 2호일 뿐이군요ㅠ 얇은 원줄이 하도 잘 파마나고 해서..(모노줄만 씁니다)
암튼 말씀 잘 들었습니다 ㅎ
가는 원줄은 찌의 움직임을 전달하는 변별력도 좋게 하지만
찌올림의 폭에 영향을 주는 역할에서도 도움이 됩니다. (위의 하나 유통님 설명 하셨듯이...)
예민한 시기에 찌올림, 손맛 모두에 도움이 크게 되는데
말씀하신대로 자주 갈아주어야 하는 관계로
실제 사용해 보면 경제적인 대안은 못되는듯 합니다.
파마 현상이 아니더라도 줄 표면의 마모가 강도를 현저하게 떨어뜨릴수 있습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