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무리는 없다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하지만 가지고 계신 낚시대의 특성을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장르나 미끼, 수심과 포인트(수초인지,맹탕인지)에 따라 채비의 변화를 주심이 좋습니다
낚시대의 탄성에 따라(보통은 연질인지,경질인지,)도 달라 집니다
(1) 낚시대의 탄성에 따라 떡밥전용대라면(연질성에 가까운 대) 투척이 다소 나쁩니다
봉돌의 무게에 의해 초릿대쪽의 낭창거림으로 인하여 투척이 어렵습니다
챔질시에도 무거운 채비로 인하여 낚시대의 탄성을 살리는 재미가 반감 됩니다
채비의 무거움으로 손맛을 중시하는 떡밥낚시의 묘미도 사라집니다
(2) 수초지역에서 낚시를 할경우 입질이 오면 신속한 챔질후 대상어를 빠르게 제어해야 하는데
경질성의 낚시대에 비해 낭차거리는 낚시대와 무거운 채비로 인한 언바란스로 인하여 대상어의 제압이
어렵고 무거운 채비와 상반되는 챔질시의 낚시대의 탄성한도를 벗어날 우려가 있어 낚시대가 파손되는 경우도
발생할수가 있습니다
(3) 낚시란....
찌오름을 보는 눈맛이 있어야하고
챔질후의 붕어의 앙탈거림을 손으로 즐기는 손맛이 있어야 합니다
여기엔 낚시대의 특성과 절묘한 채비의 궁합이 맞아야 제대로 된 손맛을 볼수가 있습니다
채비를 바꾸지 않고 그냥 사용하셔도 무방하나
저의 생각으론 적당한 부력의 찌로 바꾸시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생미끼를 사용하는 경우 고부력의 찌를 사용하는 경우은 채비의 빠른 안착과 수초지대의 먹이 안착을 쉽게하기
위함과 잔씨알의 입질을 선별하기위함이라고 생각 됩니다
굳이 생미끼를 사용하시려면은 큰 새우과 큰 옥수수와 큰 콩을 사용해야만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도 됩니다
조금작은먹이와 한호수 낮춘바늘에 조금 덜 먹는 부력의 찌를 사용하셔도 씨알의 변별력을 가질수 있습니다
귀찮은 면도 있긴하나 채비의 변화를 그때그때 바꾸어주는것도 낚시의 묘미가 아닐까요.....
떡밥낚시대로 대물낚시해도 무방합니다 원줄3호쓰시면 그런데로 괜챃구여
일반적으로 대물낚시라하면 경질대로 수초에바짝붙여서 낚시를하는것인데 지금처럼
님의채비로 대물낚시를하실경우 제대로 입걸림이된상태에서 수초쪽으로 파고들어가는 붕순이를 초기에제압하셔서 물가로끌어내시면 가능합니다 타이밍이늦어서 붕순이가 수초를 감아버리면 연질대로는 끌어내기가 좀처럼어려워집니다
초기제압을하셔서 월 상면하시길 바랍니다
님께서 말씀하시는 5~6호 정도의 찌를 사용하심이 좋을듯합니다
참고로 군계X학의 단찌 대짜가 부력이 약 5~6호 정도 됩니다.
구입할때는 하고저하는 낚시 장르에 맞는 낚시대를 선택하지만 보유대로는 사용해도 됩니다.
님이 가지고 계신 무한대면 탄성이좋아 10호 봉돌도 핑핑날아갑니다
덩어리 손맛보시고 사용기좀 올려주세요
맹탕지라면 굳이 수초찌 필요없이 떡밥찌 채비그대로 하셔도 무방합니다.
다만 수초부근이라면 수초찌가 필요하기도 할텐데 그에따른 봉돌이 다소 무거워 투척이 조금 힘드실겝니다.
저 같은 경우는 반대로 평소에는 대물채비로 하다가 심심하면 그 채비 그대로 떡밥 달아서 넣습니다.
다만 수심이 깊을경우는 봉돌 하강속도가 빨라 떡밥이 쉬 풀려 버리죠. 그게 좀 단점입니다.
붕어 잘 올라 옵니다.... ㅎㅎ
하지만 가지고 계신 낚시대의 특성을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장르나 미끼, 수심과 포인트(수초인지,맹탕인지)에 따라 채비의 변화를 주심이 좋습니다
낚시대의 탄성에 따라(보통은 연질인지,경질인지,)도 달라 집니다
(1) 낚시대의 탄성에 따라 떡밥전용대라면(연질성에 가까운 대) 투척이 다소 나쁩니다
봉돌의 무게에 의해 초릿대쪽의 낭창거림으로 인하여 투척이 어렵습니다
챔질시에도 무거운 채비로 인하여 낚시대의 탄성을 살리는 재미가 반감 됩니다
채비의 무거움으로 손맛을 중시하는 떡밥낚시의 묘미도 사라집니다
(2) 수초지역에서 낚시를 할경우 입질이 오면 신속한 챔질후 대상어를 빠르게 제어해야 하는데
경질성의 낚시대에 비해 낭차거리는 낚시대와 무거운 채비로 인한 언바란스로 인하여 대상어의 제압이
어렵고 무거운 채비와 상반되는 챔질시의 낚시대의 탄성한도를 벗어날 우려가 있어 낚시대가 파손되는 경우도
발생할수가 있습니다
(3) 낚시란....
찌오름을 보는 눈맛이 있어야하고
챔질후의 붕어의 앙탈거림을 손으로 즐기는 손맛이 있어야 합니다
여기엔 낚시대의 특성과 절묘한 채비의 궁합이 맞아야 제대로 된 손맛을 볼수가 있습니다
채비를 바꾸지 않고 그냥 사용하셔도 무방하나
저의 생각으론 적당한 부력의 찌로 바꾸시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생미끼를 사용하는 경우 고부력의 찌를 사용하는 경우은 채비의 빠른 안착과 수초지대의 먹이 안착을 쉽게하기
위함과 잔씨알의 입질을 선별하기위함이라고 생각 됩니다
굳이 생미끼를 사용하시려면은 큰 새우과 큰 옥수수와 큰 콩을 사용해야만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도 됩니다
조금작은먹이와 한호수 낮춘바늘에 조금 덜 먹는 부력의 찌를 사용하셔도 씨알의 변별력을 가질수 있습니다
귀찮은 면도 있긴하나 채비의 변화를 그때그때 바꾸어주는것도 낚시의 묘미가 아닐까요.....
개인적인 생각을 올려 봅니다
원줄4호 봉돌8호...그래두 찌는 쭉 올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