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반얼레에대해서

반얼레 하시는분께 여쭈어봅니다

반얼레 찌맞춤이

바늘달고 치톱경계면 딸칵맞춤으로 알고있는데

실전에는1목내놓고 하면

아무리 생각해봐도

모노목줄에 바늘달고하면

봉돌이 뜰것같은데

바닥에 봉돌이 닿아서

쭈욱올리는 입질이온다는게

이해가되지않네요

수조에서 상기위 찌맞춤으로 하고

1목내놓으면 봉돌이 뜨네요

제가 반얼레에대해서

뭘잘못알고있는건지요?

 


수조통에서 그리 맞추고,
(수조통에서 찌맞춤 했을 때에 찌위에 있는 원줄의 무게는 관여하지 않았었고. 원줄이 수조통 상단에 걸리적 거리면서 소정의 편차를 주고 있었죠.)

현장에 가서 던지면,
채비되어 있던 '원줄의 (수중)무게'가 바늘무게 보다 무겁다면,
봉돌이 바닥으로 내려앉아서 일반적인 바닥채비처럼 되겠죠.

'(바늘+목줄)의 수중무게' < '원줄의 (수중)무게'를 <br/>만족하는 값을 규명해야 합니다.
그리하려면,
물리학(수리학)을 동반한 수치적 계산으로 윗 식이 만족하는 것인지 알아봐야 장담을 할 수 있습니다만.
(*계산에 필요한 수치들... 공기중에서 저울에 올린 바늘 무게, 채비중인 원줄의 총길이, 호수, 종류(혹은 비중))

그것을 하지 않는다면,
잠수복 입고 물에 들어가서 봉돌이 바닥에 내려 앉았는 지 확인하는 방법 빼고는 없는 셈이죠.

위에서 언급한
(*계산에 필요한 수치들... 공기중에서 저울에 올린 바늘 무게, 채비중인 원줄의 총길이, 호수, 종류(혹은 비중))
이것들의 수치가 정확히 전제되지 않는다면,
아인슈타인 같은 사람이 와도
잠수복 입고 물속에 들어가서 확인하지 않는 이상 봉돌이 떠있는 것인지, 바닥에 내려앉아 있는 지 장담해주지 못합니다.

현장맞춤으로
"바늘달고 치톱경계면 딸칵맞춤으로 알고있는데, 실전에는1목내놓고 하면"
으로 했다하면,
바늘을 엄청나게 가벼운 것(0.01g도 안되는 것)으로 쓰거나 찌톱이 직경 2mm급을 상회하는 매우 굵은 것으로 사용하지 않는 이상,
말씀하신 것 처럼 웬만해서는 봉돌이 바닥으로 내려앉지 않을 겁니다.
윗 링크 영상을 얼른 보니, 찌위에 원줄을 고스란히 달아 놓고 채비를 설명해놨는데요.

원줄이 찌맞춤통 상단에 걸쳐져 있기 때문에
채비가 자유로운 상승을 못하게 해서, 봉돌이 바닥을 찍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는 겁니다.

저런 상태면,
그냥 봉돌을 띄운 그림도 만들 수 있고,
적당히 띄워서 목줄 슬로프?그림도 만들 수 있으며,
봉돌이 바닥을 찍게도 할 수 있습니다.

그냥 원줄이 수조통 상단 모서리에 걸쳐져 있으면서,
채비가 자유로운 움직임을 하지 못하도록 브레이크 작용을 하고 있기 때문에 무엇이든 다 되는 겁니다.
원줄이 수조통 상단에 걸쳐져서 방해하는 힘이 아무리 조심을 해도 (+)(-) 0.1g전후는 그냥 쉽게 잡아 먹습니다.

유저들이
찌맞춤통으로 섬세한 채비를
디자인, 설계, 구현하다가
매우, 매우, 매우 흔하게 저지르는 매우 큰 실책이자 실수이며, 착오라는....
봉돌이 바닥에 닿지 않는 것은 반얼레 찌맞춤에서 1목을 내놓고 낚시를 할 때 나타나는 현상이며, 봉돌이 바닥에 닿을 수 있도록 적절한 목줄 길이와 두께를 선택해야 합니다.
바늘 안달고 현장에서 한목 내놓고 찌맞춤한후 바늘달고 케미꽃이에 딸각 맞춤으로 낚시합니다 이때 수심은 정확하게 표시한후 표시한 수심보다 께미가 낮은 만큼 봉동은 뜨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댓글주신 모든분들께
상세설명감사드립니다
본채비에있는 원줄도 수조에 살짝 넣어줘서 그 무게도 포함시켜야합니다
찌톱이 경계면보다 1~2mm 더 잠기게하면 더 확실히 바닥을 찍죠

바늘과 목줄을 봉돌위로(매듭지지않게 다시풀수있을정도로 묶고)올리고
찌맟춤을하면 봉돌이 닿습니다
그냥 찌맟춤을하면 목줄이 좁은 찌맟춤통에서 버팅기는 힘 때문에 봉돌이 바닥에 닿지않습니다
목줄길이보다 넓은수조에서 찌맟춤하면 봉돌이 닿습니다
참고로 얼레정품찌는 1목이 일반찌에비해 길다고하네요
저는 현장에서 1목 반정도 노출시키고 낚시합니다(내놓는 목수가 많을수록 찌를 눌러 가라앉히는힘은 증가합니다)
미심쩍으시면 2목~ 노출시켜서 낚시하시면됩니다,
찌맟춤시 수조에서 줄을 털어줘서 채비사이에있는 기포도 제거해줘야합니다
심지어 처음 찌맟춤과 그대로 30분 담궈논 찌맟춤도 차이가 있습니다.
채비가 물먹어서 미세하게 더 내려가죠~
파고들면 들수록 머리아파집니다 어느정도에서 타협점을 찾으셔야합니다

순전히 개인적인 경험에서 아는한 말씀드린겁니다
원줄쎄미2호 모노목줄1,2호
바늘은 이두메지나7호

수조에서 채비넣고
반얼레 찌맞춤하고

수조에서 확인해보니
봉돌이 뜨길래 여쭈어본건데
상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딸각보디
정하사님 말씀대로
케미꽃이 딸각맞춤 보다
조금더 무겁게 가야하는군요

상세한 댓글 감사햇읍니다
캐미꽂이 중간에 찌맞춤해보세요.
봉돌끝이 바닥에 닿습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