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봉돌에 목줄 이렇게 했을경우..

아주 쉬운 방법이면서도 여지것 해볼 생각 조차 못해봤었는데.. 매장에 손님도 없고 한가 하다보니 매번 홈피 들어와 정보도 보고 하다 문득 봉돌에 바늘을 아랫쪽이 아닌 윗쪽에 연결해 사용 하면 어떨까? 급 궁금해지면서 온통 머리속에서 상상만 하고 있네여.. 입질이 내림 처럼 깔딱 빨을까? 몇번 까딱 하다 올려줄까? 아 대충 머리속에서 그려지기는 하는데.. 낚시는 주말에나 가능하고.. 혼자 생각만 해보고 있습니다. 혹 해보신분 있으시면 경험담좀 듣고 싶습니다.
봉돌에 목줄 이렇게 했을경우 (월척지식 - 전통바닥낚시)

한번 해보세요 찌올림이나 채비 엄킴 궁금합니다~~~~

도전하는것도 잼나용 ㅎㅎ
실험이야 당연 해보겠는데 주말에나

나가거든요.. 문득 생각 난게 넘 궁금해서 혹시 해보신분들 계신가 하고

질문 드려 봤지요..

혹시라도 해보신분 계시면 자세하게 좀 알려주세여.. 목줄길이라든가 입질표현,챔질시기 등
하고있심더 목줄 이동할수있도록 멈춤고무 넣어사용함니더 바닥에서 뛰우기도하고 외바늘^^^^^^^^^^^^^^^^^^
제가 스넵을이용해서 가끔 쓰는방법입니다.입질표현은 둔해서 차이를 모르겠고요.쌍바늘일경우 목줄이 좀 꼬이는 현상이 있더군요.
저도예전에 어떨까하고 해본채비네요ㅋㅋ
그냥 바닦낚시랑 똑같았던거 같은데 목줄이 원줄에 걸리는게 많았으면 뽀대가 낮아서 그냥 봉돌밑으로 다시돌아왔습니다
저도 해본적이 있는데 찌올림의 양상은 거의 동일 하더군요...
그냥 일반적인 바닥낚시와 같겠죠.
대신 채비엉킴의 스트레스는 크게 늘어날듯 합니다.
찌는과연 얼마나 올려줄까요 궁금합니다.
몇년 전부터 바닥이 지저분할때 사용하고 있습니다.
찌올림--똑같이 올림니다.
채비 엉킴문제--목줄을 카본,모노 사용하는데 별문제 없습니다.
시도를 한번 해보세요.
봉돌과 바늘이 바닥에 먼저 닿는 순서는
물에 막 입수시에는
무거운 봉돌이 바늘보다 앞장 서지만

이후, 찌가 스게되면
바늘이 앞장서서 내려가고
바늘이 먼저 바닥에 닿게 됩니다

그런점에서,
바늘을 , 그것도 쌍바늘을 봉돌윗고리에
달게되면

봉돌과 바늘이 얽히거나 봉돌이 바늘을
누르는 형태같은 부자연 스러운모양이
자주 발생 하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비추이고
봉돌위에 바늘을 단다면
멈춤고무를 이용하여
봉돌위 5cm이상위치에 외바늘이 오게
하는것이
이른바 덧바늘 로서의 역활이 됩니다
봉돌 위쪽으로 5센치 이상 띠워서 바늘을 가지바늘 한다면 안내병채비와같이 내림입질과 약간 지저분한(?) 입질이 보이구요
봉돌에 달린 고리에 단다면 위에달리나 아래달리나 의미없어요..입질이 바뀐다거나 그런건 없고 바닥 안착된 바늘 폼세만 좀 어정쩡해지겠지요..
다 해보고 말씀드리는겁니다..ㅎㅎ
결국은 별에별 채비,미끼 다 시도해보고 원봉돌 바닥채비로 돌아왔다는.....
입질 지저분할 때 사슬채비로 가끔 씁니다
사슬 시작하는 첫고리에 모노 줄로 30cm정도 외바늘로 쓰면
대부분 올리는 그것도 기가막히게 올려줍니다
여럿 분들이 이미 사용을 해보셧군요..ㅎㅎ
원줄 엉킴 봉돌 눌림 등등 여러 단점이 있어 보입니다.
이련 부분 감안 하여 어렵지 않은 방법이니
한번쯤 사용 해보고 싶습니다.
단점을 미리 알고 하니 엉킴 부분에서 스트레스 덜 받겠네요 ㅎㅎ
사용기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
발앞 바로 앞에서 낚시줄 그대로 봉돌 내려보니 봉돌이 뻘에 묻히길래 올초에 연밭 베스터간적 있는데 뻘바닥에서 위 방법대로 하여 그날 월급 두수 하였습니다 , 찌올림 동일했고 바늘에 옥수수끼워진 상태라서 엉킴이나 눌림은 못느꼈습니다
백수일때.
일년동안 별별 실험 다해봤지만. 결국 원봉돌 바닥으로 귀환. 제가 이상한건지 전 잘 엉키던데요..
가지바늘 채비와 같다보면 되겠네요
바닦사정이 좋지 않을때나
입질이 좀 예민하다 싶을때 효과가 있더군요
안내병 채비와 같은 원리의 채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바닥이 지저분한 곳에서는 나름 효과가 있을듯 합니다
다만, 봉돌 바로 위에 목줄을 메어주니
안내병 채비보다 엉킴은 더 심할 듯 보입니다
보여주신 그림의 원줄끝에 스냅도래를 달아 바늘과 봉돌을 각각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2005년경부터 사용했으니 벌써 10여년이 훌쩍 지나가는군요.
시작은 지저분한 바닥이나 뻘층을 공략하기 위함이었는데 지금은 그 편리함(봉돌/바늘 교체시 용이)으로 계속 사용하고 있습니다.
찌올림은 어차피 바닥낚시이니 전혀 이상할 것이 없이 똑같습니다.
많은분들이 목줄엉킴을 걱정하시는데 이 또한 합사줄인 경우는 아주아주 간혹 발생하지만 모노줄과 카본줄을 목줄로 사용할 시(저는 상황에 따라 2~4호/길이는 보통 8~10cm, 어쩌다 15~20cm)는 전혀 걱정할 일이 없다는게 경험적 소견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이 채비를사용하고있습니다
찌올림과 찌끌고감이 7:3인거같습니다
목줄이 봉줄위에있다보니 수초걸림에도
영향이 있구요
상황에따라 많은차이가있습니다
큰차이는 없어 보입니다 목줄을 짧게 쓰신다면 던질때 좀 조심하셔야 겠네요
저도 몆대 사용중인데요 입질패턴 바닥과 동일하며 목줄 엉킴자주 발생됩니다.(합사줄 사용시)
도래를 멈춤 고무를 사용하여 원줄에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바늘이 봉돌보다 일센티정도 뜨야 합니다 입질속도가 빠릅니다
뻘이 깊은 곳에서 확실합니다
전 별차이 없던데요. 바늘이 닿는 부위는 바닥이잔아요.
제가 해봣어요..바늘 하난 아래에 하난 위에..엉킴이 줄던데요? 전 나름 갠찮은것 같아요
와우 의외로 많은 분들이 경험 하시고 아직도 사용을 하시는 군요..

목줄 엉킴은 합사는 자주 엉킬 것이라 생각은 햇습니다만.

모노,카본 목줄을 사용해서 걱정은 덣엇구여

무림풍운,너무한가해 님들처럼 원줄에 도래연결 해서 사용하면

바늘 교체시 더욱 편하겠는데요.. ㅎㅎ 잘 읽어 보았습니다.
바닦이지제분한곳에서 봉돌 윗목줄 아랫목줄 해서이봉채비로 사용해봤습니다.찌올림전혀 지장없었구요...저같은경우꼬임현상이 우려되어 윗목줄에 찌스토퍼를 장착하고 사용했습니다.바늘목줄 단차를주어서 바닥안착이 동일하게 사용하였습니다.
제가 저렇게 낚시를 2008년도에 해 보았습니다.

특히 옥수수 사용할 때 좋습니다.

더구나 경사진 곳에서 사용할 때 찌 올림이 괜찮습니다.

급경사 지역인 곳에선 스토퍼를 이용하시면서

더욱 좋습니다.

단점은 생미끼 낚시하실 때는 불리합니다.

그래서 생미끼보다는 구르텐 낚시나 옥수수낚시 할 때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약간 뻘층이거나 바닥이 좀 지져분해도 괜찮지만,

봉돌 바로 위보다는 대략 5 ~ 6cm 목줄 길이는 그 두배 정도는

되어야 좋구 목줄은 합사보다는 모노 줄이 더 유리합니다.

더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시면 쪽지 주세요~~
철치기라고 아실랑가...?^^
예전 릴로 붕어 낚시할때 봉돌 위에 낚시바늘이 15~20cm 간격으로 바늘 3~5개 달아하던 낚시에서 파생되어 바닥이 수초나 지저분할때 들낚에도 그런식의 채비를 쓰곤하죠. 찌 올림보다는 찌내림이 많습니다^^
목줄은 모노줄이나 카본목줄이어야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바늘이 봉돌보다 윗쪽에 있어야 낚시가 편합니다.
한가한 낚시 한갑수님과 월척특급 나광진 님이 비슷한 채비를 설명한적이 있읍니다.
작년쯤인걸로 기억 합니다. 바닦에 말풀이나 청태등으로 도저히 붕어와의 대면이 어려워질때 사용하더군요.
릴지렁이 바늘과 같은 방식으로 빨대를 잘라서 가지채비 형식으로 달고 봉돌보다는 더윘쪽으로 멈춤고무를 이용 수심층 변화가 가능할수 있도록 해서 붕어를 잡아내던 방송을 본 기억이 있읍니다.
당시 방송에선 찌가 보통 바닦낚시와 같이 올라왔던걸로 기억합니다.
아예 빨리는 입질빈도가 높은 채비를 기대한다면 가지채비나 슬로프채비가 나을듯합니다.
이것도 저것도 아닌 바닥채비 라고 생각됩니다~
바닥이지저분하면 더올려서 덧바늘 가지 채비도 아닌 그냥 바닥이라 생각합니다~
봉돌밑이나 봉돌위나 찌올림은
똑같습니다 꼬임현상만 극복하시면
별 차이 없습니다 팁이 있다면
카본목줄에 찌 스토퍼1개. 위 봉돌에
먼저 카본목줄을 달고 그기에 브이자
스토퍼 을 끼우고 목줄상단에 찌스토퍼
밀착 시키면 됩니다
뻘바닥이나 바닥상태가 지저번 할때
이렇게 함 사용해보세요
예전부터 연밭등 바닥이 지저분한 경우 사용하던 방법인데 정상적인 채비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