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붕어는 과연 색맹이며 후각이 존재할가요?

낚시를 해오면서 계속해서 가지게 되는 의문입니다. 붕어는 색을 구분하지 못한다고 알고 있는데 글루텐의 색상을 비롯하여 미끼의 색상들도 다양하고, 어떤 포인터는 어떤색의 글루텐이. 어떤 미끼가 잘 먹더라? 과연 붕어는 색상을 구분하여 미끼를 취하는것일가요? 지독한 색맹이라고 알고 있는데 색을 어찌 구분하는것일가요? 동물성 미끼가 좋다(지렁이), 식물성 미끼가 좋다(글루텐, 옥수수 등) 붕어는 과연 냄새를 맡고 미끼를 취하는것일까요? 인간은 물속에서 냄새를 맡을수가 없습니다. 붕어는 물속에서 냄새를 맡을수 있는 기능이 있나요? 만약 위 2가지가 붕어가 할수 없는 기능이라는 전제하에... 포인터 마다 잘 통하는 먹이는 다른것일가요? 계속 의문이 듭니다.

저도 붕어가 색맹으로 알고있읍니다 달도 없는 칠흑같이 어두운밤 깊은 수심울밑바닥에서 은단알만한 떡밥을 취하는것은 온전히 후각기능이라 여겨집니다 레이더역활을 하는것으로 알려진 옆구리측선은 흑탕물속에서 지렁이의 움직임을 포착해서 먹이활동하는 거라더군요 붕어가 색맹이더라도 장님은 아닐터 조금의 시야가 확보된 물밑바닥에서 떡밥처럼 후각을 크게자극하지않고 지렁이처럼 측선을 자극하지않아도 시력으로 옥수수를 취한다고 봅니다 간혹 상한 새우미끼를 써보니 싱싱한 새우보다 더입질이 왕성한경우를 겪는걸보면 붕어의 먹이활동은 상당한 부분을 후각에 의지한다고 생각되집니다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저도 궁금해했던 내용입니다.
다른건 잘 모르겠지만 예전 티비에서 상어가 수km 밖에서 피냄새를 맡고 온다는 방송을 본것같네요.

허파호흡을 하는 동물들은 당연히 물속에서 숨을 쉴수가 없으니 냄새를 못맡겠지만 아가미 호흡을하는 어류는 호흡을하는 과정에서 냄새를 맡지않을까 하는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이 듭니다.
색도 어느 정도까지는 구분한다고 학계 발표가 있었습니다.

어항 절반을 파랑과 빨강으로 나누고 빨간색쪽에서만 먹이를 주고 다른 어항으로 옮겨 살펴보니 붕어들이 모두 빨간색 쪽에만 모여있었다네요.

체도 정도는 구분하는 것 같습니다.
밝은색 어두운색 정도.

어류는 입속 맛을 느끼는 미뢰라는 감각 말고도 측선이나 지느러미로도 맛을 느낄 수 있다네요.

1km 떨어진 곳에서 피 한 방울 냄새를 맡고 찾아온다는 상어 정도는 아니라도 흐린 물에 주로 사는 붕어에게 후각은 생존에 꼭 필요한 절대감각 아닐까요.
방금 잠깐 자료를 조금 찾아보니 붕어는 색맹이고 어류들은 후각이 무척 발달했다고 나옵니다.
낮에도 물속은 흐린편이며 밤엔 칠흑같은 어둠속에서도 먹이 활동을 할수있는건 후각이 발달해서 라네요.
그리고 어류의 코는 숨쉬는 기능은 없으며 단지 냄새맡는 기능만 있다합니다. 숨은 아가미로만 쉰답니다.
직접 실험을 했던 결과를 보고해볼까용 ㅋㅋ 붕어는 분명히 냄새를 맏고서 먹ㄸ이에 접근하는거 같아용 겨울에는 붕어가 먹이사냥을 거의 하지않고 물속에서 가만히 앉아있는데 사람이 다가가도 도망가지않고 땅속으로 머리를 박으려고만 하는 습성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저는 겨울에는 뜰채를 가지고 다니면서 밤에 후레시를 키고 붕어를 떠내는데요.. 그러다 혹시 낚시를 해서 잡으면 더 재미있겠다 ,, 왜나면 직접 붕어입앞에다 미끼를 놓고 잡으니깐요 근데.. 썩은 마름 수초속에 머리를 파묵고 숨어있는 븡어는 꼬리부분에다 미끼를 놔두면 5초정도후에 붕어가 머리를 쑥 빼더니 미끼 쪽으로 와서 먹더라구요.. 그걸 바서는 분명히 냄새를 잘맞는듯해요 완전..
색명인지는 아직 몰겠네요..
지역마다 먹는미끼가 다르지만.. 제가있는 이곳은 이른봄에는 옥수수 글루텐이 .. 여름부터 가을까지는 딸기향 굴루텐이 (쪽바리 꺼) 가을 대물은 마늘향 이. (역시 쪽..)
콧구멍에 돋아있는 작은 돌기가 움직이는걸로 보아 아가미로 숨쉴때마다 동시에 콧구멍으로 같이 들어가는것 같더군요.
칠흑같은 밤에도 먹이활동을 하는것을 보면
물고기 종류마다 다르겠지만
후각이나 움직임을 감지하는 능력은 탁월한듯합니다
낚시하다가 체감해보면
육식어종일수록 후각보다는 시각이나 움직이는 동체를 느끼는 능력이 좋은듯 싶더군요
대형붕어가 루어미끼에도 잡히는걸 보면 시력이 있다는걸 증명해주는것 같습니다.
s모그님 말씀처럼 움직임을 감지하는 능력은 탁월하다고 봅니다.
장마철 장어낚시 하다보면 물이범람할때 흙탕물 그빠른 물살에 장어며 붕어 잉어 잡고기 나오는거 보면 시각은 몰라도 후각은 있다봅니다.
위분 말씀처럼 바다에 상어는 몆키로 떨어진 곳에서도 피냄새를 맞는다고 다큐방송에서 본적이..
붕어의 시력은 1000.0입니다
낚시할때 딴짓할때 붕어가 보고 먹이 먹고튑니닼
김대물님 말씀처럼 꼭 헛짓거리 할때 입질하는 것 같아요
오줌눌때 휴대폰 볼때 잠깐 먼산보고 있을때도 기똥차게 알고
찌를 올리거든요 ㅎㅎㅎ
아마 물위의 동정을 살피고 먹이활동을 하는것 같아요
색맹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어항에 키우던 붕어가 주황색 사료만 주니 주황색 자갈을 물엇다 놧다 하는걸 보면 색을 어느정도는 구분 하는것 같아요.
붕어의 후각은 80m정도라고
어니선가본 기억이.....
모두가 사람입장에서 보는 추측이라 생각되고요~~

언젠가

붕어랑 대화가 가능한 사람이 태어나길 기다려 봅니다 ㅋㅋ


어느사람은 방송에서 단정적으로 이야기도 하든데~~웃기는 거지요~~
색명이거나 시력에 관해서는
알수없지만 후각이 발달한것은
사실이라 봅니다
시야를 확보할수없는 상황에서도
미끼를 먹는걸 보면 ...
시력은 있습니다
낚시터에 앉아있으면 한놈이 튀어올라 낚시하는 사람을 확인 하잖아요
그리고 다몰고 다른데로 갑니다 ㅎㅎ
약간의 명암을 구별하고요 측선의 음파감지기는 진동과 먹이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합니다
사람의 그림자를 보고 도망가는 정도의 시력은 가지고 있고요
대물낚시에서 발자국소리는 꽝이랍니다 여자의 목소리보다 남자의 목소리를 싫어한다고 합니다
떡밥의 색깔과 냄새는 이제 중요한 미끼역활이 되고있는 것이겠네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