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맞춤에는 정도가 없다는데... 저는 주로 노지에서 지렁이 생미끼나 옥수수등을 쓰고 있습니다.
생미끼에 별 신통치 않아서 떡밥을 달아 보았더니 제 채비는 어느 순간부터 캐미끝까지 완전 잠기더군요.
무거운 떡밥채비에 라인이 대각으로 쭉 펴진 상태이거나 캐스팅이 떡밥의 무게로 인해 더 멀리되서 그렇나 했는데...
지렁이로 바꾸고는 아무리 찌를 봉돌쪽으로 내려도... 캐미가 잠겨 가라앉지는 않고.. 캐미끝만 동동 떠있는..중층 상태가 되네요.
너무 가벼운 찌맞춤이라서.. 그런건가요? 그래도 캐스팅 해보면..찌 잠기는 속도가 그렇게 느리지는 않다고 여겼는데......
이런상태에서도 캐미하단이나 찌톱1마디 정도로 찌수심을 조절한다면봉돌이 바닥에 닿았다고 볼수 있나요?
캐미고무와 캐미사이의 공기, 캐미 자체의 부력때문인건가요?
찌의 내려가는 속도와 찌맞춤의 무겁고 가벼움은 상관관계가 있는건가요?
지렁이 미끼에 잡어 반응이 붕어입질과 틀려 내리는 어신도 자주는 받는데...
붕어 입질도 내려가는 입질이 몇번 오긴 어더라구요..... 또, 어떨땐 찌올림이 너무 급하게 쏙! 하고 올라옵니다. 챔질해보면, 정흡한...꼬마붕어인데...
도무지 갈필을 못잡겠네요... 도움좀 많이 주십시요.
글 제목처럼 회원님들 채비는 어떤가요? 저랑 같으시나요?
주 채비는 1.5호 모노줄에 고리봉돌.. 바늘은 붕어5호 케블라줄에 연결하여 파는 2봉짜리 쓰고 있습니다.
아무리 봉돌쪽으로 찌를 내려도 캐미가 잠기지 않습니다. 너무 가벼운 것일까요?
-
- Hit : 9385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28
떡밥과 분리되면서 떠오르는 현상입니다. 만약 이렇다면 봉돌이 가벼운게 맞고요
찌를 아무리 내려도 캐미가 보이는것은 정상적일수도 있다고 볼수있습니다.
봉돌을 바닥에 안착시키는 것은 수면위에 노출된 찌톱이나 캐미의 무개이기 때문입니다.
봉돌을 눌러줄 캐미랑 찌탑이 수면밑에 있으니 봉돌은 뜰수밖에 없는것이지요..
찌를 내리지 마시고 올려보세요 찌를 올려서 투척후에 봉돌이 바닦에 다을때 약간 튕기는 느낌??? 암튼 그런느낌이 난다면
봉돌의 무개는 정상적이라고 볼수있습니다. 또 한가지 확인해보실것이
찌톱1목이 노출되있는 상태에서 찌를 약 찌톱2목정도의 길이만큼 올려서 똑같은 자리에 투척을 해보세요
찌톱이 3목이 노출된다면 봉돌은 바닥에 정상적으로 안착된것입니다.
봉돌의 무개역시 정상적인것이구요..
저도 초보인데 이런글 써도 될려나 모르겠네요 ㅎㅎ
만약 제글이 틀렸다면 밑에 고수분께서 지적해주시겠죠 ㅎㅎ
저도 초보라 질문자의 질문에 전부 답하긴 어렵네요ㅎㅎ
일일이 다 설명드릴수는 없고 무조껀 봉돌이 안착되야 합니다.
봉돌은 떠있고 바늘만 안착되면 약한 유속에 흐를수도 있고 붕어가 흡입시 붕어의 윗입술에 바늘이 걸린다고 하더라구요
전통 바닥 낚시..는 무조건 봉돌이 바닥에 닿아야 해요..아주 중요 해요^^
우리는 찌의 운동을 보면서 챔질을 하는데요..바닥 낚시는 "올림"입질 을 보는게 목적 이잖어여..
반대로 전층 낚시 소위 내림 낚시는 찌의 "내림"을 보고 챔질 하구요..
이 차이를 구분 하는게 봉돌의 바닥의 안착 여부 거든요~ 이 부분이 완전히 다른 이야기를 만들거든요~
찌의 부력보다 무거운 붕돌로 달아서 수심체크후 다시 찌맞춤을 하시는것이 좋을듯합니다..
올리시고 같은 자리에 투척후 찌가 세마디나 아님두마디 아님 많이 올라와 있다면
정상입니다 그상태에서 찌를 조금씩 내려서 수심에 맞게
낚시 하시면 될거 같은데요!!
제가볼땐 님께서 찌및춤을 거꾸로 생각하지 않으셨나 사려됩니다!!
잘 생각해보심이 원리를 먼저 아심이 중요 할거 같습니다~~
바늘빼고 찌맞춤후에라도 바늘단후에 라도 봉돌쪽으로 내려도 케미는 안잠길수 있습니다.
찌부력이 궁금해짐니다.
물론 쌍바늘이나 외바늘 무게도 적용되겠지만 몇호부력의 찌를 쓰셧는지 모르겠지만 5호 이상의 부력찌라면 바늘다나 안다나 거기서 거기로 캐미에서 와따가따 합니다.
찌톱이 올라오게 하려면 찌를 낚시대 쪽으로 올리셔야 찌톱이 노출되는 것 아닌가요??
지금 케미만 동동 뜨신다하면 케미 고무 노출정도로 수심 찍어서 낚시하시면 100 % 봉돌은 바닥에 닿습니다.
--> 본 봉돌이 거의 떠있는 상태로 보여집니다. 너무 가벼운 맞춤을 하신거 같네요.
반대로 좁살 봉돌을 목줄에 달아서 찌톱 한마디 정도 내놓고 해보세요.
케미의 잠김 변화는 떡밥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거나 찌의 부력보다 너무 커서 그렇지 않나 보여 집니다.
그리고 너무 가벼운 맞춤에는 잔챙이가 거의 총알 입질을 하는 형태가 많습니다. 사이즈가 커 질수록 조금씩 느긋해지고... ..
그럴수 잇습니다 가벼운 찌맞춤이 된것이죠 일단 찌탑을 수면위로 노출시키시고 좁살을달앗을때 찌가내려간다면
바늘만 닿앗거나 봉돌이 떠잇는상태일겁니다 너무예민하게 맞추려다가 실수하는경우죠 요거보다 조금 무거우면 2단
입수도 됩니다 바늘이먼져 닿고 몇초후 봉돌이 닿는경우죠 (어떤분은 일부러 2단입수정도로 하더군요) 찌맞춤은
경험이 중요합니다 너무예민하게 하실필요는 없구요 요즘은 바늘을 안달고 찌맞춤합니다 바늘안달고 케미고무중간이나
케미고무하단에 맞춤니다 어차피 봉볼이 바닥에 닿아잇으니까 바늘무게는 필요없죠 설마 찌맞춤하시고 그냥던지신건 아니지요?
설마 수심만큼 찌안올리신거 아니지요?
수심채크와 영점마춤에대해 이해를 하셧다면 찌탑높이를 보면 바늘만 닿은 상태인지 슬로프 상태인지 봉돌이 닿은 상태인지를.
판단할수잇는건데요.
이봉채비를 하신것 같은데 이봉채비 특성상 무겁게 마추시는건 잘못하면 목줄이 휘는 효과를 거둘수 있읍니다.
바늘을 달고 캐미꽃이가 보이게 찌맞춤 하시면 바늘만바닦에닷는
마이너스 찌맞춤이 됩니다 그리고 바늘 묶어서 쓰세요
내원줄보다 대부분 묶어서파는 바늘은 목줄이 더강합니다
원줄손실로 이어질수있네요 웃으시고요 즐낚하세요
떡밥 무게로 수심도 잡고 가라 앉기는 했으나
지렁이로 바뀌면서 가져운 봉돌이 떠 다니는 현상아닌가 생각됩니다.
나도 그런 적 있거든요....^^*
1.바늘을 제거한 무바늘 상태에서 캐미가 노출 된 눈금을 기억하시고(찌맞춤:플러스/영점/마이너스)
2.그 눈금보다 반눈금 더 나오게 수심을 측정하신후(수심측정)
3.그리고 바늘을 다세요. 그러면 봉돌은 바닥에 닿아있고 바늘은 누워있는 상태가 됩니다.
**포인트 : 바늘이 없는 상태에서 찌맞춤을 하고 수심측정후 바늘을 단다**
수평지 맞춤보다 가벼운 맞춤이면 내릴수록 봉돌이 그때마다 위로 따라 올라올것이니
찌를 당연히 올려야 그 길이만큼 봉돌이 바닥으로 내려가겠죠..
그러니까 찌맞춤부터 다시해야 할것 같은데요..
위의 왕척님 말씀데로..
왕방울 캐미같이 큰것 꽂고 찌맞춤하는것은 쫌..
케미만 보이게 한다면 봉돌은 안 닿아있고 바늘만 닿게 됩니다.
케미끝만보이게 찌맞춤이 되었다면 바늘을 달면 입수를 하지만 바늘이 바닥에 닿으면
찌는 더이사 내려가지 않습니다. 이때 한목정도 내어놓고 하셔야
봉돌이 바닥에 닿습니다..
케미끝부위가 물위로 올라왓다는건 봉돌이 바닥에 닿앗다는 말인데용~
수평 맞춤 하셧다면 찌를 개속 내려도 당연히 찌가 가라앉지 안켓네요~^^
아무리 정밀하게맞추워도 떡밥달땐 내려가고 지롱이에찌가동동이라니.....ㅠ
많은 댓 글들 쭈~욱 잘 읽었습니다.
참고 하겠습니다!
봉돌을 좀도 무겁게 써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