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체리쥬빌레입니다.
지난 번 찌스토퍼 질문에 대한 횐님들의 진솔한 답변 감사 드립니다.^^
그 글 올리고 나서.. 아는 형님께 그런것도 모르냐는 등의 질책을 받기도 했지만.. ^^;;
또 한가지 허접한 질문을 드려 봅랍니다.
은금히 단순한 부분에서 이해하지 못해, 삽질(?)하는 경우가 있더라구요.ㅎㅎ
이번에는 좁쌀봉돌 채비 질문입니다.
예전엔 좁쌀봉돌에 바늘이 달아져 있는 상태로.. 군계일학 사이트에 나와있는 방법대로 찌맞춤을 하고 낚시를 했습니다.
그런데 일부 채비에서는.. 초반 집어를 위해 떡밥을 많이 달면 찌가 수면으로 더 들어가는 모습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때 전 찌맞춤이 제대로 안됐구나.. 좁쌀 봉돌이 바닥에 좀 떠 있나 보다 생각을 했습니다.
게다가 바늘을 끼운 상태에서 찌맞춤을 하다 보니 정밀한 찌맞춤이 안됐나 보다라고도 생각을 했죠..
그리고 작년부터는 좁쌀이 아닌 스위벨로 채비를 만들어 낚시를 하는데,
스위벨의 장점이 바늘 없이 정밀한 찌맞춤을 할 수 있다라는 건데..
이상하게 떡밥을 많이 달면 다 그런건 아니지만 두대 중에 한대는 찌가 수면 아래로 더 들어갑니다;;;;
또 찌맞춤이 제대로 되지 않아 스위벨이 바닥에 떠 있었다면 그럴 가능성이 충분히 있겠지만,
떡밥을 반 정도로 줄여서 달게 되면.. 본래 찌 높이를 유지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낚시하다 이럴 때 아주 속 뒤집어 지죠..ㅡㅡ;;
바닥지형에 문제가 있는것은 아닌지.. 이것저것 고민을 다 해보기도 하고..
스위벨을 완벽하게 바닥에 안착시키기 위해 찌탑을 3마디 정도 올려 놓기도 했는데.. 결과는 그대로..;;
보통 제 채비를 알려드리면..
노지에서 원줄은 1.5 - 2.0호 / 목줄은 PE 1.0 - 1.2 / 스위벨은 5-6호 / 바늘은 6-7호 정도 사용합니다.
찌맞춤은 보통 하듯이.. 수심 체크 하고.. 찌를 한 40cm 내려서 주간캐미 보일 정도로 찌맞춤 한 후
다시 찌 2마디 정도 나오도록 한 후 낚시를 한답니다...
혹시 틀린 부분이나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지적과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제가 경험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O링을 사용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문뜩 듭니다.
횐님들.. 부탁드립니다.^^ 건강하세요~~
좁쌀 봉돌 채비에 대한 허접한 질문 드립니다.
-
- Hit : 5461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21
사선 안착이 되지 않도록 투척을 해야겠지요.(방법은 이미 소개되었지요)
먹이를 무겁게 달면 입수 속도가 빠르게 되어 더 먼쪽에 안착이 되고 원줄이 사선이 된 상태로 정지됩니다.
평지라하더라도 사선이 되므로 자연히 찌는 더 아래로 내려갑니다.
지형의 경사뿐 아니라 원줄의 경사가 많을수록 더 많이 내려갑니다.
같은 채비라도 떢밥, 지렁이, 새우 등 먹이 종류에 따라서 찌 노출 높이는 조금씩 달라집니다.
이것은 먹이의 무게 및 부피, 물의 저항에 의한 입수 속도차이 영항입니다.
"이상하게 떡밥을 많이 달면 다 그런 건 아니지만 두 대 중에 한대는 찌가 수면 아래로 더 들어갑니다."
질문의 요지는 좁쌀봉돌 채비든 스위벨 채비든 님의 방법대로 찌맞춤 후, 떡밥(특히 크게 달면)을 달고
투척하는데 님이 원하시는 만큼의 찌톱이 항상 동일하게 수면에 올라오지 않는다는 질문으로 해석됩니다.
그런 현상은 급경사 지역이나 바닥이 고르지 못한 지형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입니다만,
대부분은 사선입수 때문입니다.
즉, 떡밥의 무게로 찌 맞춤한 지역보다 채비가 더 멀리 떨어져서 사선이 발생한 것이지요.
사선입수를 예방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만 대표적으로 채비 투척 후, 낚싯대 손잡이 부분을
가슴 쪽으로 30cm 정도 당기고 있다가 찌가 수면에서 똑바로 설 때 낚싯대를 뒤꽂이에 거치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떡밥크기의 무게에 따라서 채비가 더 멀리 날아가 사선의 폭이 커지기도 하고,
채비의 수중의 체공시간(가라앉는 속도)에 따라서 사선 폭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찌맞춤 시 평소 달고자하는 떡밥의 무게만큼 지우개를 달고 찌맞춤을 하셔도 도움이 됩니다.
귀찮으시면 평소대로 하시고 사선입수만 예방하시면 됩니다.
지금사용하시는 채비나 찌맞춤에는 이상이 없어 보입니다.
복잡하게 여러 원인으로 생각하지 마시고 쉽게 생각하셔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꾼들의 자존심은 자연환경을 해치지 않습니다.”
왜 사선 입수를 생각하지 못했을 까요..ㅠㅠ
횐님들 짱이십니다..^^
바로 이해를 시켜주시네요~~~~~
완전 감사합니다~~~~~~~~~
이런 경우는 동일한 대에서 떡밥을 작게,크게 달아보면
작은 것은 가벼워 원줄에 의해 당겨오면서 가라앉고,
크게 달면 떡밥 무게에 의해 가라앉을 때 조금 덜 당겨오게 되는데,
이 때 떡밥을 크게 단쪽이 사선입수로 되어 잠기게 됩니다.
제 생각도
위 자연자연님 의견과 같습니다.
사선입수보단 주로 목줄 엉킴이 많았습니다 ㅎㅎㅎ 찌가 수면아래로 잠길때 낚시대를 천천히 들어보면 ㅋㅋ
목줄이 원줄에 엉켜서 그러더군요 ㅋㅋ
낚시 하다면 이해 안되는 부분들이 있는데 .이곳에서 얻어가는 것이 정말 많습니다.
글을 올리시는 분들이나 댓글을 올리시는 분들이나 정말 대단한것 같습니다.
여러 고수님들의 의견에 더하여 제 의견도 적어봅니다.
목줄이 꼬일경우 - 맞습니다. 긴 목줄일수록 꼬일확률은 많고 특히 목줄이 편대어깨로 올라타거나 봉돌어깨를 감으면
그런 현상있는데 대부분 이런 경우는 낚시대를 거두어 들여서 채비를 확인해보면 목줄이 엉킨상태 그대로이기 때문에
확인이 어렵지 않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찌 맞춤시 - 찌를 몇 CM짜리 쓰시는지는 모르겠지만 수심 찍은후에 찌 길이보다 한 20CM정도 더 내려보세요.
혹시 찌가 바닥이나 바닥장애물에 닿아 찌맞춤에 방해가 될 요소를 제거 할 수 있습니다.
(유료터 여름에 장마지면 타이어 개인 나무좌대 기타 쓰레기 엄청 들어갑니다.저는 60~70CM내외 찌를 선호하는데 거의 1m내립니다 항상)
오링사용 - 실전에서의 오링 가감은 각자의 판단과 운용 능력에 맞기겠습니다만 찌맞춤시 한목에서 두목 내어놓은 상태에서
오링을 사용하면 찌가 내려가는 것을 보고 찌맞춤이 제대로 되었구나 판단할 수 있는 좋은 근거가 됩니다.
(물론 찌 부력,오링사이즈,원줄 굵기,수심 수압등의 영향요소가 있지만 체리쥬빌레님 그렇게 둔탁한 채비를 쓰시는거 같지 않은데
오링 중자정도 달면 찌가 한목내외로 내려갈것으로 판단됩니다.정밀 찌맞춤 하실때 오링은 도움이 됩니다.
찌가 혹시 파손으로 인해 부력을 상실했는지도 한번 살펴보시구요
좁쌀봉돌에 바늘단채로 수심측정하실때는 옥수수 한알 달아보세요. 흔치는 않지만 수심측정에 방해될 바닥층의의 어떠한 부유물같은게
쫄쌀봉돌을 바닥에 닿지 않게 할때가 있는데 바늘에 옥수수 한알 달면 조금더 정확한 수심측정할때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저만의 생각인데 좁쌀봉돌은 예민함을 위한 채비라고 하지만 수심측정시만은 아래 좁쌀봉돌 무거워도 상관없을거 같은데요)
찌맞춤과 수심측정을 잘 하신후에 물속으로 들어가는 그 채비에 떡밥대신에 양바늘에 옥수수 두알 달아서 한 5번 투척을 해보세요
내가 찌맞춤을 다시해야할지 판단하신다거나 조금더 정확한 수심 조정을 위해 찌고무를 위로 올린다던지 내린다던지 조정도 해보시고
글루텐을 쓰시는지 상대적으로 무거운 떡밥을 쓰시는지 모르겠지만 떡밥 달어서 투척후 원하시는 찌 맞춤목 -2이상 벗어나는
상황에서 옥수수 달아봤는데 원하시는 찌 맞춤목이 나오면 찌맞춤 수심 다 잘 하신거고 사선입수가능성이 제일 클겁니다.
이상 저의 허접한 의견이였습니다.
자연자연님 질문 있습니다(태클 아닙니다)
"찌맞춤 시 평소 달고자하는 떡밥의 무게만큼 지우개를 달고 찌맞춤을 하셔도 도움이 됩니다."
라고 말씀하셨는데 이렇게 찌맞춤하면 떡밥이 풀리면 찌가 변화기 있을거 같은데요
혹시 하실려고 하셨던 말씀이
"수심맞춤 시 평소 달고자하는 떡밥의 무게만큼 지우개를 달고 수심맞춤을 하셔도 도움이 됩니다."
가 아니신가 해서 여쭈어봅니다.
자주보는 현상인 목줄엉킴을 생각 못했군요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유료터 가운데 다리있는곳에서 아들넘 삼포로 앞치기할때 옆에서보니 찌의위치보다
멀리 날아가 찌가 세워지는 과정에 앞으로 댕겨가면서 원위치 되는걸 보며 낚시줄 이 사선으로
형성되는걸 옆에서 봤습니다 너무 멀리 던져도 안되겠구나 생각했죠 이상 허접한 생각이었습니다
“복잡한 설명은 오히려 헷갈리므로 간략히 한 부분만 설명 드리겠습니다.”라는
말씀을 상기하시고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체리쥬빌레님의 질문의 핵심은
떡밥(특히 크게 달면)을 달고 투척하는데 님이 원하시는 만큼의 찌톱이 항상 동일하게 수면에
올라오지 않는다는 질문으로 해석됩니다. 라고 저는 해석했습니다.
그 현상과 해결에 관한 의견을 말씀드리는데 있어서 그때그때 일어나는 현장상황별로
상세히 설명드릴 경우 설명이 너무 장황하거나 또 다른 숙제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낚시인에게 또 다른 문제 제시나 숙제가 도움이 될 수도 있고 독이 될 수도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어느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인가의 판단은 댓글을 올리는 사람의 몫이죠.
그에 따라 도움(댓글)의 방향이 결정되겠지요.
체리쥬빌레님의 질문 요지에 따른 제안 설명 중 “찌맞춤 시”와 “수심맞춤 시”와의 표현에 따라서
오판할 정도의 큰 차이는 아닐 거라 생각합니다.
‘찌맞춤 시“라고 표현할 때 저 역시 나름 생각하고 말씀드렸습니다.
‘현장’을 넣을까? ‘현장 찌맞춤과 수심맞춤‘이라고 표현할까? 라고 말입니다.
작금에 “찌맞춤”과 관련하여 과열된 논쟁이 되고 있는 와중에 또 다른 불씨가 될 것을 염려해서입니다.
또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낚시하기 전 ‘찌맞춤 한다.’ 고 하면 수심(수심측정)에 맞게 찌 높이를 조정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닌가요?
즉, 수심측정을 포함한 찌맞춤을 말하는 것으로 순수한 현장 찌맞춤(부력)과는 구별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떡밥이 풀리기 전과 떡밥이 완전히 풀린 경우의 찌 높이 변화를 말씀하셨는데요.
낚시시작 후 밑밥(집어)을 주기위해서 평소의 떡밥보다 크게 달 경우를 제하고 일반적인 떡밥에서는
전부 풀어져도 찌의 큰 변화는 없습니다. 봉돌이 바닥에 닿아있는 바닥 낚시의 경우에서는 말입니다.
그 정도의 변화는 부력(봉돌무게)으로 상쇄 될 정도일 것입니다.
다만, 유속이나 바람, 그리고 장시간 방치 시 낚시 줄의 무게로 찌가 앞으로 끌어 올 경우 등을 제하고는 말입니다.
따라서 "찌맞춤 시 평소 달고자하는 떡밥의 무게만큼 지우개를 달고 찌맞춤을 하셔도 도움이 됩니다."라고
말씀드려도 큰 무리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체리쥬빌레님의 전문을 보면 그 정도의 작은 변화는 충분히 알고계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잉어들어뽕님 이정도의 답변이면 잉어들어뿅님의 지적에 답변이 되지 않았을까요?
혹시, 제 댓글에 또 다른 의문점이 생기시면 미천한 제 낚시 실력의 한계로 여기시고 이해하셨으면 합니다.
“꾼들의 자존심은 자연환경을 해치지 않습니다.”
제가 봤을땐 사선 입수라 하기보단 미끼 안달고 투척했을 때보다 집어제를 달고 투척했을때 원래 포인트보다 조금더 멀리 떨어져서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사선입수라 한다면 뒷줄( 찌 에서 낚세다 까지의 줄이 긴장되어 댕겨지는 것) 낚시대를 앞으로 밀어도 그대로 이다 하면 더 먼 곳에 안착되어 그렇습니다.
제가 질문하는 것마다.. 댓글이.. 제 글보다 길어지는 현상이 나오네요..^^
답변해 주시는 횐님들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일일히 감사하다고 하지 못한 죄송하구요..^^
쪽지로도 답변해주신 횐님들도 감사합니다~~~~
지금 맘 같아선.. 이제 낚시만 가면 대박 칠 수 있겠다라는 생각에 잠겨 있습니다.ㅋㅋㅋ
실제론 그게 아닌데 말이죠...ㅎㅎㅎ
암튼 모든 횐님들 감사합니다~~ 하나하나 알아가는 기쁨이 꽤나 즐겁습니다~~
건강하세요~~
사선 안착 시에는 앞으로 좀 당겼다 밀어서 낚시를 하고, 목줄 엉킴 시에는 다시 투척을 합니다.
저의 허접한 질문이였습니다 ^ ^
체리쥬빌레님 저희 관리형 유료터 허접 조사 모임이라도 한번 추진해볼까요 ㅋㅋㅋ
생각해본 행동강령
1.한마리라도 더 잡고 싶다.
2.최소한 우리가 낚시한 자리는 깨끗하게 치운다
3.주변 조사님께 방해가 될 정도로 떠들지 않는다
4.월척의 선배님 및 어르신들을 존경한다
5.어디가서 월척 회원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전 평생 그 모임에 가야 겠는데요.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