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관리형저수지)에서 O연속 꽝조과입니다.
집어에 문제가 있는 듯 한데..
집어제는
-어분(아쿠아2) : 100cc
-어분(아쿠아3) : 100cc
-보리(향맥) : 100cc
-보리(찐버거) : 100cc
-새우4000 : 50cc
-물 : 200cc
이렇게 배합합니다. 이렇게 배합하면 한바가지 딱이네요, 일단 다 넣습니다. (1바가지)
그뒤에 다시 갭니다.
-어분(아쿠아2) : 100cc
-어분(아쿠아3) : 100cc
-보리(향맥) : 100cc
-보리(찐버거) : 100cc
-새우4000 : 50cc
-물 : 200cc
캐미 꺾기 전까지 넣습니다. (2바가지) 다시갭니다.
-어분(아쿠아2) : 100cc
-어분(아쿠아3) : 100cc
-보리(향맥) : 100cc
-보리(찐버거) : 100cc
-새우4000 : 50cc
-물 : 200cc
캐미꺾고도 입질용미끼와 계속 넣습니다.(3바가지)
입질 없습니다.
선,후배님들은 집어 몇바가지 하시나요? 어느 글에서 6바가지를 넣으셨다는 분이 계셔서.. 제가 넘 조금 넣고 있는건 아닌지...
집어 몇바가지 하세요?
-
- Hit : 8974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31
관리형저수진데 그정도면 문제가있는듯 하네요;
조황사진보면 다른 쪽으로는 잘 나왔다고 올리긴 하던데 재탕하는건 아닌지도 의심스럽고..
후.. 내일 또 출조예정이데 꽝이면 그곳은 앞으로는 안가야겟네요
시도 해보세요~ 채비도 좀더 예민하게 해보시구요~
다니는 양어장에 따라서 많게는 100여수 에서 꽝칠때도 있습니다.
지금은 잘 안나오는곳에서 채비 변경해서 테스트 해보고 있습니다.
안나오는곳은 안나오더라고 생각하는게 맘이 편합니다.
그래도 심심해서 집어는 꾸준히 해줍니다.
활성도와 포인트가 9할, 1할은 미끼운용,채비 아니겠습니까..
저는 잘 모르는 관리터가면 조황 여쭤보면서 돌아다니다가 무조건 밤새우신 분 자리 기다렸다가
바톤터치 합니다. 밥질 따로 할 필요가 없어요 ^^
어떻게 집어를 하느냐가 더중요합니다.
집어에 실패하면 꽝을 면치못합니다.
양어장 고수님께 자문해보셔요!
10번 던져서 입질안오문 쉬다가 다시해보고. 몇번해보다 안되뭄
꽝은 집어보다는 자리의 문제 아닌가 싶습니다,,,,
아무리 집어가 안된다고 꽝이라면,,,,.,.
10번가서 8번 꽝 치고왔습니다.두번은 딱 두마리씩...그 낚시터는 동내에서 이미 소문이 났습니다.고기드럽게 안잡히고 고기도 안푸는거 같다고...ㅎㅎ장황하게 글을 썼지만...저의 결론은 집어는 한바가지면 충분 한바기지 했는데도 입질 없으면 자리옮김 그래도 안나오면 그날은 전체적인 조황부진인 날..더 중요한건 고기 개체수가 많은곳으로 가야된다고 생각합니다.
채비를 예민하게하시고..일단 입질은 있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겠네요..채비가 무거워서 입질확인이 안되는 경우도 있으니 바늘목줄 좀 짧게하시고 찌맞춤 아주 가볍게 하시고 과연 건들기는 하는가 지켜보실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혹, 다른분들이 잡는 걸 보셨는지요?
만일 다른분들은 잡고 님만 못잡았다면 투척의 문제일수도 있으나 그건 아닌듯하고....
집어의 문제가 아닙니다.
원인은 고기의 개체수가 부족한듯 싶습니다.
노지 떡밥낚시 경우 밑밥안줘도 부지런히 1시간정도 투척하면 찌 이쁘게 올려줍니다
자리 바꾸시든가 생미끼로 느긋하게 하세요
입질 할라고 왔는데 미끼가 사라지고,,, 먹으라 했는데 미끼가 사라지고...붕어가 맨붕이 올 수도 있습니다.
쓰느냐에 될수록 연연하지 마시고...
군**학 성** 씨가 말하는 뭔 3합이라든가...
집어제는 뭐얼마에 뭐얼마에 절대 낚이시지 마십시요.
내가 믿음이 가는 밑밥이 있다면 떡밥이든 구루텐이든 새우 지렁이...
단품으로 자신의 믿음을갖고 낚시하셔도 붕어 잡습니다.
우리 여러 낚시인들이 대물낚시라는 낱말에 낚이여 언제부터 열서너대씩 폈습니까?
이번엔 밑밥장사에게 낚이여 그렇게 여러가지의 밑밥을 섞어서 무엇 하시겠습니까?
떡밥낚시를 하신다해도 한자리에서 두시간 정도 밑밥을 넣었는데
입질이 없다면 미련없이 낚시대의 길이를 바꾸시든
자리를 옮기십시요.
지렁이를 먹는 붕어는 떡밥도 당연히 먹습니다.
어자피 먹으러 온놈이라면 먹이의 대상이 무엇이라도 먹는다는 믿음을 갖는게 우선입니다.
옥수수만 먹는다는 저수지에 떡밥으론 조금 덜 잡더라도 꽝은 아니라는 겁니다.
몇박아지 아니라 몇박스를 넣더라도 붕어가 올수없는 여건이라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우선 자기를 믿으세요.
옆사람이 열대를 폇다하더라도 두대를 고수하셨다면
두대를 펴고 눈먼 열대보다 더많이 더큰붕어 잡을수 있다는
믿음을 갖으세요.
낚시대회사 밑밥회사의 마케팅에 넘어가지 말자는 얘기입니다.
유료터는 그만큼 자원이 많다는 겁니다.
몇박아지씩 노동해가며 밑밥장사 주머니 채워주며 스트레스 받지 마셨으면 합니다.
몇박아지 넣어가며 있을때 대피고 얼마되지않아 붕어 잡으시는분도 틀림없이 보셨을 겁니다.
-어분(아쿠아2) : 100cc
-어분(아쿠아3) : 100cc
-보리(향맥) : 100cc
-보리(찐버거) : 100cc
-새우4000 : 50cc
-물 : 200cc
이거보면 저말고도 웃으실분 많이 있으실겁니다.
돈이 얼마가 문제는 아니지만 이렇게 피곤하게 낚시 한다면
앞으로 20대이상 낚시대 피는 낚시인도 생기지 말라는
법이 있겠습니까?
책을 보아도 대충 빨리보는것과 조금 늦더라도 정독을 하는 두가지 방법이 있듯이...
내 채비를 믿고 찌에 집중해 붕어와 싸워 이기시는 방법을...
가끔은 일년에 한두번 양어장을 찾습니다.
제 생각인대 날뜨거워지면 어분보다 보리 계열은 주로 두시는게
제가 이시기에 양어장간다면 보리 계열 90%에 어분계열 10% 정도로
배합 하겠습니다.
짧은 견해의 짧은 소견입니다.
장사꾼들한테 속아 맹신하며 따라하면 호구됩니다...
그리고, 떡밥낚시가 아무리 집어낚시라지만, 입질 없다고 몇 바가지(?)씩이나 넣어 집어를 시키려는 생각은 장박도 아닌 1박 이하의 낚시에서는 의미없는 헛수고 같습니다. 사실 장박을 하더라도 입질 없다고 5짜님처럼 무한정 떡밥을 투하하진 않습니다.
포인트를 옮기면 옮겼지, 하룻밤낚시에 떡밥 한그릇 이상 쓰시면 낭비입니다. 그리고, 단품이나 2합 쓰면 고기 안 나오고 누구누구식 3합이나 5합 쓰면 안 나올 고기도 나오고, 남들 한두마리 낚을 때 나만 떼고기로 낚는다? 누구누구식 무슨 합 때문에? 고기가 입질할 때까지 떡밥의 양을 무한정으로 퍼부어야만 한다? 그런 거 없습니다... 뭐든 맹신과 욕심은 금물입니다.
물론, 그 상황에 따라 채비법이나 떡밥의 점성과 크기 조절 등에 의해 마릿수 차이는 날 수 있겠습니다만, 특정회사의 특정 떡밥으로 만든 특정인의 무슨 무슨 합(?)이란 건 그저 상술에 지나지 않습니다. 해 보시면 아시겠지만요...
붕어의 속에 들어갔다 나온듯이 기압이 어떻네 달의 크기가 어떻네 동풍 북서풍...
붕어를 잡지 못하였을때 그이유를 그럴듯하게 합리화를 잘시키는 사람이 특히 조사들에게
인정을 많이 받던데...
낚시대 10대이상펴고 대물낚시하면 대물만 잡나요?
이름이 어울리지 않을지 몰라도 다대낚시라고 이름 바꿔야 합니다.
낚시방송에선 왜 한두대 펴고 떡밥낚시하는 방송은 보기 힘들까요?
채비가 예민해야만 붕어가 잘 올려준다?
좋은채비에 3마듸 올려줄때 예민하지 못한 채비라도 한마듸는 올려줄테니 집중하여 입질을 놓치지 않는다면
붕어와 만날수 있다고 봅니다.(원봉똘이든 분활채비든 채비가 무어라도 붕어는 거의가 올려줍니다.)
과연 10대씩 펴고있는분들중 예민한 입질을 볼수있는 확률이 얼마나 될까요?
10대 이상 펴고있는분들을 비하하자는 말씀은 아닙니다.
동시에 세대에서 입질이 온다면 어떻게 하시겠냐고 묻고 싶은...
내가 뿌려놓은 밑밥을 먹으러온 붕어는 그냥 돌려보내지 말고 정면 승부를 하여 걸어내자...입니다.
지금처럼 낮과 밤의 온도차이가 심한 경우는 더욱 그렇습니다.
물론 집어는 많이 할 수록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집어시 같은 자리에 계속 투척이 되어야 하는데 저는 잘 않되네요.
양어장은 고기가 잘 나오는 자리가 있으며 잘 나오는 자리는 항상 조사님이 앉아 있더군요.
지난주 양어장에서 대박난 조사님의 경우 보리계열에 아쿠아 약간 번데기가루 첨가하신 조사님이 대박....
양어장의 경우 포인트가 관건 이라고 생각합니다.
주말 다른쪽 포인트에서 별로 집어도 안하고 조과가 좋았습니다. 4짜까지^^
역시 집어도 효과가 있겠지만 붕어들이 먹이를 물어주나 안물어주나의 차이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