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원봉돌채비 4호찌 찌맞춤 방법

여러채비해보다가 원봉돌로 돌아왔습니다 찌는 녹수로써 3.2 입니다 찌맞춤은 어떤식으로 하는게 좋을까요? 자세히 설명 부탁드릴께여 (찌맞춤시 케미와 바늘 끼고인지 빼고인지...) 또한 목줄길이와 단차는 어느정도로 주는게 좋을까요?

찌 케미꼽고 봉돌까지다시구 수조에 넣으세요 그리고 수면일치로 맞춤하세요 그리고 찌를 수조에 맞게 수심 맞쳐주면 봉돌이 딱 바닥에 데여있고 찌톱이나와있습니다 한두목내놓고낚시하시면되고 요새는 목줄 10-15 가 대세입니다
수조가 없고 현장에서만 찌맞춤하는데
현장에선 어떻게 찌맞춤하면 될까요?
마찬가지입니다 왠만하면 낚시방수조 맞춰서가세요 초보자에겐 시간절약 멘탈관리됩니다,,, 같은부력의 찌를사용하거나 찌에맞는 부속품을들고다닌다면 현장에서맞출때 금방하지만 초보자는 힘들거든요
네이버에 군계일학 치셔서 현장 찌맞춤 동영상 참고바랍니다
노지용 이시면 바늘만 안달고 원줄 충분히 잠긴 상태에서 캐미 머리 수면일치 하시면 될거 같구요.
양어장 등의 입질이 약한 곳에서는 바늘 안달고 1~2목정도 나왔다가, 원줄이 잠기면서 께미고무 하단 부분이 수면까지 잠기는 딸깍맞춤 하시면 돼겠습니다.
그래도 입질이 약하다 판단 되시면 바늘까지 달고 다시 딸깍맞춤으로 해보시구요.
그리고 낚시 하실때 노출 정도는 노지는 큰 상관은 없지만, 양어장의 경우는 케미 고무가 수면에 안잠길 정도의 1목 이하가 좋겠습니다. 아무래도 표면장력이 찌 상승을 방해하니까요
쓰고나니 또 쓸게 있네요.목줄 길이와 단차는 노지 5~9cm 가 예신과 찌올림이 가장 좋다고 성귀섭 선생님 께서 말씀 하셨구요, 양어장에서 저 같은 경우 빠른 반응을 보기위해서 묶을수 있는 최대한 짧게에서 부터 6cm 정도로 사용합니다. 단차는 같거나 떡밥달때 한바늘만 잡기 쉽게 바늘크기 1~2배 정도로 사용합니다.
바늘을 달지 않은 상태에서 원줄끝에 핀클립과 봉돌을 답니다.

찌톱이 10cm미만으로 나오게 봉돌을 조절하고 오링을 껴서 케미꽂이 하단에 잡히게 오링을 추가 합니다.

봉돌로는 표면장력때문에 케미꽂이 하단에 맞추기 힘들더라구요.

그리고 바늘달고 한마디 내어놓고 낚시 합니다.

저녁이나 입질이 이상할때 오링을 가감해서 타이밍을 잡는게 가장 편하더라구요.

양어장 기준입니다.
1. 찌를 봉돌에서 30~50cm 정도에 위쪽에 위치시킴 (찌와 원줄 엉킴 방지)
2. 수면위에 캐미끝이 살짝 보일때까지 투척-> 풍덩-> 봉돌깍이 를 반복
3. 원하는 포인트의 수심체크 찌톱 1목이상 나오면 수심기억
-> 노지 수초 붙이거나 맹탕 생미끼면 바로 낚시 시작해도 무방
4. 떡밥낚시라면 수심에서 봉돌을 30cm정도 띄움(수심체크한 찌고무 위치에서 찌고무를 30cm정도 봉돌쪽으로 내림)
5. 카본 2호줄 이하 3.2칸 이하 투척->퐁당->봉돌깍이를 반복하여 캐미와 캐미고무와 봉돌만나는 지점에서 멈춤
-> 1목정도 내 놓고 낚시
6. 카본 3~4호줄 3.2칸~4칸 투척->퐁당->봉돌깍이를 반복하여 캐미중간(캐미가 살짝 더 나오게)에서 멈춤
-> 1목 정도 내 놓고 낚시
7. 카본 4호줄 이상, 4칸 이상은 2번 정도로 찌맞춤하여 낚시 (어짜피 잦은 투척불가하므로 기다리는 낚시로 가는게 마음 편함)

제가 전천후대에서 사용하는 무난한 찌맞춤 방법입니다.
참고만 하세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