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지용 이시면 바늘만 안달고 원줄 충분히 잠긴 상태에서 캐미 머리 수면일치 하시면 될거 같구요.
양어장 등의 입질이 약한 곳에서는 바늘 안달고 1~2목정도 나왔다가, 원줄이 잠기면서 께미고무 하단 부분이 수면까지 잠기는 딸깍맞춤 하시면 돼겠습니다.
그래도 입질이 약하다 판단 되시면 바늘까지 달고 다시 딸깍맞춤으로 해보시구요.
쓰고나니 또 쓸게 있네요.목줄 길이와 단차는 노지 5~9cm 가 예신과 찌올림이 가장 좋다고 성귀섭 선생님 께서 말씀 하셨구요, 양어장에서 저 같은 경우 빠른 반응을 보기위해서 묶을수 있는 최대한 짧게에서 부터 6cm 정도로 사용합니다. 단차는 같거나 떡밥달때 한바늘만 잡기 쉽게 바늘크기 1~2배 정도로 사용합니다.
현장에선 어떻게 찌맞춤하면 될까요?
네이버에 군계일학 치셔서 현장 찌맞춤 동영상 참고바랍니다
양어장 등의 입질이 약한 곳에서는 바늘 안달고 1~2목정도 나왔다가, 원줄이 잠기면서 께미고무 하단 부분이 수면까지 잠기는 딸깍맞춤 하시면 돼겠습니다.
그래도 입질이 약하다 판단 되시면 바늘까지 달고 다시 딸깍맞춤으로 해보시구요.
찌톱이 10cm미만으로 나오게 봉돌을 조절하고 오링을 껴서 케미꽂이 하단에 잡히게 오링을 추가 합니다.
봉돌로는 표면장력때문에 케미꽂이 하단에 맞추기 힘들더라구요.
그리고 바늘달고 한마디 내어놓고 낚시 합니다.
저녁이나 입질이 이상할때 오링을 가감해서 타이밍을 잡는게 가장 편하더라구요.
양어장 기준입니다.
2. 수면위에 캐미끝이 살짝 보일때까지 투척-> 풍덩-> 봉돌깍이 를 반복
3. 원하는 포인트의 수심체크 찌톱 1목이상 나오면 수심기억
-> 노지 수초 붙이거나 맹탕 생미끼면 바로 낚시 시작해도 무방
4. 떡밥낚시라면 수심에서 봉돌을 30cm정도 띄움(수심체크한 찌고무 위치에서 찌고무를 30cm정도 봉돌쪽으로 내림)
5. 카본 2호줄 이하 3.2칸 이하 투척->퐁당->봉돌깍이를 반복하여 캐미와 캐미고무와 봉돌만나는 지점에서 멈춤
-> 1목정도 내 놓고 낚시
6. 카본 3~4호줄 3.2칸~4칸 투척->퐁당->봉돌깍이를 반복하여 캐미중간(캐미가 살짝 더 나오게)에서 멈춤
-> 1목 정도 내 놓고 낚시
7. 카본 4호줄 이상, 4칸 이상은 2번 정도로 찌맞춤하여 낚시 (어짜피 잦은 투척불가하므로 기다리는 낚시로 가는게 마음 편함)
제가 전천후대에서 사용하는 무난한 찌맞춤 방법입니다.
참고만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