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하는 간단한 찌맞춤..
수조통에서
바늘 빼고 사진처럼
케미꽂이 바로 아래에서 1목사이로 찌를 맞춘다..
낚시가서
바늘 달고 미끼 끼워서
찌맞춤한 만큼 찌를 노출시켜 낚시한다..
수조에서 사진처럼 찌맞춤 해서
현장에서 던져보면
아마 케미고무 정도까지 찌가 잠기게 됩니다..
(수조와 현장은 대충 2~3목 정도 차이가 나더군요..)
그래서 케미꽂이 바로 아래에 찌맞춤을 했다면
똑같이 케미꽂이 노출해서 하시면
편안한 낚시가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10점 만점은 아닐지라도
9점 이상은 약속합니다..^^
집에서 간단히 찌맞춤하기..
-
- Hit : 15251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25
저도 5호 부력 이상은 위의 사진처럼 한 목에 찌맞춤하여 사용합니다, 현장 찌맞춤은 아예 안 합니다.
1,2,3호 부력 찌들은 두 목에 맞추고요.
이름이 기억이 안 나지만 어떤 유명한 낚시인은 수조에서 두 목에 맞추고 찌맞춤은 잊어라 한 얘기도 들은 것 같습니다.
카본줄은 무게로 인하여 적용하면 오차가 크게 발생합니다.
무슨글인지 이해못하시는분들은 패쓰......
줄은 새미플로팅쓰고 현장찌맞춤안해도 올릴녀석들은 다 올려주더군요 개니 어쩡쩡하개 현장맞춤하는것보다
스트레스안받고 하는게 좋은방법같아요
많으시길래 짧은 지식으로 끄적끄적 했습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답글들 감사합니다..^^
현장에서는 한마디 내 놓고 해야지 케미꽂이만 내 놓고 하게되면 수심체크가 안되어 찌가 흐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반목따서 (수조)------> 현장에선 1~2목 노출 후 사용하면 붕어,붕애 모두 잘 잡혀요
채비에 믿음을 가지지 못하면 피곤한 낚시가 될것 같아서...
수조 대자에 수평맞춤하면 현장에서도
그대로 수평맞춤입니다.
찌맞춤은 현장이나 노지 둘다 봉돌 깍고 시간을 들여야 하다는 점은 똑같습니다.
전 오히려 수조 맞춤이 신경이 더 쓰이던데..
욕조에 수돗물받아함니당
멋있다고 느낀 후...(난 그날 낚시 가게 사장님이 수조에서 맞춰준걸 들고 갔거등요..ㅎ)
아무도 안 알아주지만...혼자 그걸 멋있다고 생각하며..늘 현장에서 찌맞춤하고 있음..ㅋㅋ
난
솔직히 인정. 안 합니다.
수도크기.수조에 물 넣은 시기 등 변수가 존재합니다.
월척.4자를 원한다면 필히 현장 맞춤을 원칙으로 하심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