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찌맞춤과 찌높이관계가 이해가 안됩니다 ㅠㅠ

낚시 초보입니다..친구따라서 다니다가(늘 친구가 해주는대로) 오늘 날씨가 좋아서 혼자!! 낚시를 하러갔는데 ...이게 이해가 안됩니다... 일단 찌높이를 맞출려고 낚싯대를 투척했는데 찌가 딱 물높이와 거의 일치했습니다 (전 바닥에 닿게하지는않고 그냥..바닥살짝위에 떡밥이 위치하게 낚시를 합니다) 그래서 떡밥무게를 계산(?) 해서 봉돌을 살짝 깍아냈습니다. 그래야 떡밥달아도 찌가 물위로 올라와잇을테니깐요 좀 깍은후 투척했는데..어랏?? 찌가 안올라옵니다...높이가 같네요 그래도 많이 깍으면 찌가 많이 올라올꺼같아서 그냥 떡밥달고 투척을했는데 어랏?? 찌가 안잠깁니다 이상해서 떡밥을 달고 던지고, 안달고 던졌는데 높이가 같습니다 ㅠㅠ 다른대가 하나 더 잇어서 똑같은 수심으로 맞추고 테스트해봤는데 이 대는 떡밥달면 더 잠기고 떡밥빼면 뜹니다.. (이게 정상이라고 생각합니다) 두 낚싯대의 차이점은 떡밥에 따른 찌높이가 달라지는 낚싯대는 찌가...좀 길고 가운데가 살짝 볼록하고(3호추 하나로 해결 ..저부력인가요?) 찌높이가 일정한 낚싯대는 찌가 좀 짦고 가운데가 좀더크게 볼록합니다 (3호추+좁쌀봉돌로 해결...) 줄 바늘 다 같습니다 낚싯대길이도...거의 비슷하구요 뭐가 문제일까요?

찌맞춤에 있어서 캐미가 차지하는 부력은 엄청납니다.
또한 캐미가 차지하는 무게도 엄청납니다.
찌맞춤할때 캐미가 수면에 딱 걸릴때서부터 캐미가 완전히 올라오고 찌톱 한마디가 나올때까지는
봉돌을 엄청 깎아야 됩니다. 그런데 한마디가 나온상태서 두마디가 나오게 할려면 은어의 표현을 빌자면
진짜 씨가리 x만큼 깎아야 됩니다.
앞서말하신 찌는 아직 덜 깎은것 같습니다. ㅎㅎ
제 생각에는 수심을 잘못 맟추신것 같습니다
수심 측정 다시 해보심이 어떤지
다음은 고수님게 패스~
바닥낚시를 하고 계신것 맞으시나요?

큰 오류를 범하고 있습니다

떡밥을 달아도 찌의 위치는 변하지 않아야 합니다

즉 봉돌은 어떤형태이던 바닥에 닿아 있어야 바닥 낚시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얼레벌레나 내림에 가까운 형태의 낚시를 하고 계신것이구요

살짝 떡밥만 바닥에 닿아 있다면 절대적으로 안정적 찌올림을 보실수 없습니다

간혹 찌가 환상적으로 오른다 해도 소위 말하는 공갈포가 될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예신으로 빨리는 형태의 움직임도 자주 나타날것이구요

님의 생각대로 봉돌을 깍아냈지만 찌가 올라오지 않는다면

수심체크시 잘못측정한것으로 생각 됩니다

아니면 무거운 맞춤인지라 봉돌이 바닥에 안착되어 있는 형태일수도 있구요

찌의 형태에 따라 맞춤이 틀려지는것은 아닙니다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자기만의 방식으로 한마리의 붕어와 만남이

즐거워 지실겁니다
제가 생각해도 바로 윗분께서 말씀하신것처럼 딱 그런 생각인데요 !..
조언 감사드립니다^^:; .....추가로 더 말씀드리자면
첫번째 찌 높이가 너무 같아서 수심조절을 하고 테스트해봤으나 역시 높이가 같았습니다(내용이 생략되있네요)
(1.5m정도수심이였는데 70cm정도로맞추고 던져봤습니다)

아무래도...봉돌을 좀 덜 깍지않았나 다시 한번 생각하게됩니다.

P.S::바닥에서 조금 띄우는듯한 낚시가 바닥낚시가 아니였네요..ㅠㅠ
저수지 가면 일단 수심을 맞출때(수심체크용 채비는없습니다 그냥 낚시용 대로합니다)
수심을 조금씩 높이거나 줄여가면서 찌높이가 늘 일정하다가 어느순간 찌가 올라오면 바닥에 닿았구나 생각하고
최초의 올라오는 높이로 맞추고 낚시를 시작했엇습니다. 그리고 떡밥의 무게에따라 찌높이가 올라가거나 내려갔엇는데
이게 바닥낚시가 아니였던 모양입니다...

여기 웹사이트 글들을 살펴보니 떡밥의 무게와 상관없이 찌높이는 일정해야된다고 나와있네요
봉돌이 바닥에 닿는순간 떡밥은 찌의높이와 상관없어지니...뭔가 크게 배우고 갑니다 ...ㅠㅠ
현지에서 바늘다달고 케미 끝과 수면이 일치되게 맞추고 낚시할때는 한마디 올려놓고 낚시하세요,,내공이 쌓일때까지 그대로 낚시하세요,,,,참고로 고수일수록 찌를 무겁게 맞추라고 한 선배조사님 말씀이 생각납니다,
어제 낚시했던 형님꺼하고 동일한 증상이네요.
일단 떡밥을 달아 던지면 1마디찌탑이 보였는데 웬일인지 고기가 한번 입질을 하고 찌를 들어 올리고
뱉으면 거짓말처럼 찌탑이 2, 3마디가 보이는 겁니다. 처음에는 그쪽에에 돌이 있어 고기가 떡밥을 물고
올리면서 돌위에 납이 떨어졌거나 고기가 물고 있는줄 알았는데 자세하게 관찰을 해보니 그 형님 투척형태가 이상했습니다.
아마도 사선입수에 때문에 그런거 같습니다. 원칙은 투척후에 낚시대를 뒤로 30cm정도 뒤로 뺐다가 찌가 서면
그때 낚시대를 앞으로 밀어넣으면 수직입수가 되는데 투척후에 그냥 낚시대를 받침대에 두면 떡밥이 무거우면
무거울수록 빨리 가라앉게 되는게 이때 사선입수가 되어 떡밥이 무거울수록 찌탑이 더 많이 가라앉게 됩니다.
원래 봉돌이 바닥에 닿는 낚시는 떡밥크기에 관계없이 찌탑이 일정해야 한답니다.
이론적으로 배우는 것도 좋지만

실전으로 배우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현장에서 다른 사람이 낚시하시는 것을 보고

살짝 조언을 구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듯 합니다.

그동안 낚시터에서 나눠드린 채비(원줄/봉돌/바늘/찌)만 해도

한 살림은 될 듯 하네요! ㅎ
저도 무진장 헤깔려요.
수심 깊이에 따라 다르고, 흐르는 물에 따라 다르고, 저부력 고부력 찌에 따라 다르고..
해서 전.. 다 귀찮아서리. 걍 집에서 수조 맞춤하고 현장에 따라서 핀도래에 O링을 가감합니다.
흐르는것 같으면 O링 추가.. 안흐르면.. 봉돌 조정..
월척 무수한 글을 읽어봐도 거의 원점으로 돌아오더군요.. 자기 채비에 확신을 가지고. 조금씩 조정해나가는게 맞지 않나 싶네요.
이것 저것 하다보면.. 넘 힘들어요.
^_^ 쏘렌토님을 낚시터에서 꼭 만나고 싶습니다.!!

!! 찌맞춤(내채비)을 의심하게 되는 시기부터 조과는 떨어지더라구용!! 이방법 저방법 다 써봤지만...........그닥~~ㅋ

저수온기에는 분할채비 또는 좁쌀채비를 쓰지만.....아닐땐 그냥~~ 바닥쿵!! 찍고 무겁고 둔하게 합니다......

너무 깊이 빠지지 마세용~~ㅋ 소모품비용 무시못해요~~ㅋ
'낚시는타이밍님' 주위에 낚시좀 하신분중 아무나 한분을 스승으로 받들어보세요. 실력이 쑥쑥^^:: 안출하세요~
아직 낚시를 시작하신지 얼마되지 않아서 나름 고생이 많으시네요...
글쓴이께서 원하시는 채비는 바늘만 바닥에 살짝 착수되는 채비를 하실려고 하는것 같은데..
그리고 떡밥달 필요 없습니다.. 모든채비에서 찌맞춤시 미끼를 달고 찌맞춤하는것은 없습니다.. 제가 알기론...
그냥 캐미+봉돌+바늘을 다 셋팅하신후 수심을 측정하시지 마시고 캐미고무가 잠길때가지 찌맞춤하시고
그리고 수심측정(캐미머리)후 떡밥달고 하시면 됩니다... 이때 물속에 바늘은 바닥에 착수되어 잇고 봉돌은 살짝 떠있을 겁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