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배조사님들의 무탈함을 기원드립니다.
매번 좋은자료 배우고가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점은 제목과 같습니다.
1. 예시: 2.8칸 / 3.4칸 편성가정
1. 3.4칸 기준으로 풀스윙 후 찌서는 위치가 옆의 2.8칸의 초릿대 끝부분 정도라 가정
1. 풀스윙하지 않고 옆의 2.8칸초릿대 끝부분정도의 위치기억 후 살포시 투척
(찌가 멀리까지 안 날라가고, 투척지점 위치에서 자립 후 가라앉습니다)
1. 살포시 투척 후 수심이 10번 중 8번은 처음 풀스윙 시 수심보다 안 나와서 질문드립니다.
p.s. 복잡하게 생각하지 말고 그냥 편하게 즐기는 낚시하라는 선배님들도 계시리라 사료됩니다^^
근데...장대 편성, 바람영향 등 풀스윙할 여건이 안 될때 상기와 같은 방법을 주로 이용하는데...
이런 제 방법의 문제점 등등이 궁금해서 아침부터 질문드립니다.
두서없는 질문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증 해결되는 답변 주시면 더욱 더 감사하겠습니다.
배수철 대박조황을 기원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투척시 풀스윙하지않고 찌가 서는 위치기억후 살포시 투척시 문제점 등등...
-
- Hit : 11810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9
전체채비를 붙잡고 있는 초릿대 & 중간추(찌) & 미끼외 봉 돌등등의 무게에 따른 가라앉는 속도 & 캐스팅된 장소의 수심
에 따라 종합적인 것에 따라 가변성이 있어서 특히 수심이 깊은 곳(2미터 혹 3미터 이상)의 경우 최초캐스팅되서 수면에 떨어지는 위치에 따라 착지지점이 조금씩 달라집니다.
수심이 1.5m이하급 평지라면 크게 차이날일은 없습니다만.
수심편차가 대단히 큰 계곡지의 경우 수면에 드러나는 찌의 높이가 10cm이상 차이가 날 정도는 됩니다.
찌가 고정형이나 유동형이냐에도 조금 다르고요. 미끼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서도 조금씩 달라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떡밥(집어)낚시의 경우 세우는 자리에 대한 정교함을 중요하게 다루는데 캐스팅법을 항상 통일시켜야 거의 동일지점에 떡밥을 안치시킬수 있다고 봐야 됩니다.
이로 인해서 챔질 시에 옆 낚시대까지도 영향을 주더군요.
s모그님의 댓글을 몇번 읽어보고...'낚시는 과학이다'라는 생각을 계속 하고 있습니다...s모그님은 과학자시구요^^
알수록 어렵습니다...(가라앉는 속도까지 영향이 있을 줄 몰랐네요.
낚수생각님도 답글 감사합니다. 낚수 증말 어렵습니다^^
찌 밑에 일직선으로 봉돌이 있진 않다는 얘깁니다
쉬운 설명 감사합니다. 초릿대에서 비스듬하게 채비가 가라앉아 있다고 생각은 해왔었는데...
선배조사님들께 배운 사선입수도 해결되고 나름 제 방법도 장점이 있을거라고 믿었는데^^
득보다는 실이 더 많나봅니다~~감사합니다.
경사가 심한 지형이라면 멀리 던질수록 더 깊은 곳에 안착이 되며, 봉돌의 무게와 떡밥의 무게에 따른 입수 속도 차이로 봉돌이 안착되는 위치가 달라집니다. 빈바늘로 수심 체크할 때와 떡밥을 달고 던질 때가 다른 것도 그 이유입니다.
글로 설명하자니 어렵네요.. ㅎㅎ
팔을 쭉 뻗어서 정물의 비율을 측정하지요?
항상 같은 위치의 눈 앞에서 측정해야 같은 비율이
나오기에 팔을 뻗어서 하는 것이 가장 오차가 적겠지요.
매번 같은 위치에 투척 가능하시면 상관없습니다.
그 매번 같은 위치는
가장 길게 던져야 오차가 적겠지요?
하드락님 답글 감사합니다...낚수에 미술에 과학에 배울게 참 많습니다^^
한가지 배운건 제 방법이 득보다 실이 많다는 겁니다~~~항상 안낚즐낚하세요.
보이지 않는 생명체를 잡는다는것은 참 어려운 일인것 같습니다.^^
사람도 연애를 할때는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실패와 실패를 거듭하자나요..^^
하물며, 보이지 않는 물속에 있는 말도 안통하는 생명체와 연애를 해야하는데...
지극정성과 모든분야에 지식을 총동원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ㅎㅎ
낚시라는것도 알면 알수록 참 어려운게 맞는것 같아요..
쉽게 생각하면 쉽고 어렵게 생각하면 한없이 어려워지는게 낚시인것 같습니다.
즐길려고 하는 낚시 너무 어렵게 생각마시고, 기본에 충실하시어 즐기시다보면
자신만에 노하우가 쌓이는것 같습니다.^^
어복 충만하세요..^^
풀 스윙은 무조건 사선이 집니다 정도에 차이는 있지만요
사선을 없에는 방법이 반스윙인데 이것또한 똑같은자리에 투척하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풀스윙도 떡밥 크기에 따라 사선이 틀려지구요
그래도 가장 같은자리에 보낼수 있는게 풀스윙이고 떡밥도 항상 같은크기로 다셔야 사선도 비슷하게 떨어집니다.
수심이 같다는 가정하에, 투척방법(1번 풀스윙, 2번 목표지점 투척)에 따라서 A거리에서 B거리 뺀만큼 수심이 더 나온다고 느낄뿐입니다.
보시는것 처럼 실제로는 줄이 더 늘어난거지요
질문 : 풀캐스팅이 아닌 특정지점 캐스팅시 문제점은 어떤게 있을까요?
답변 : 1. 목줄을 길게 쓰거나 합사를 쓸 경우 목줄꼬임이 발생할 확률이 높습니다. (목줄이 봉돌과 수직낙하 각이 풀캐스팅보다 높아서 원줄에 꼬일 확률이 높아집니다).
2. 찌톱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상대적으로 힘듭니다. 평지지가 아닌 지면에서 멀어질수록 수심이 깊게 나오는 계곡지에서 심하게 나타납니다.
장점은 아시다시피, 떡밥의 탄착군 형성이 용이하고, 저항이 적어 오래 붙어 있으며 (글루텐계열이 아닌 탄계열), 사선이 상대적으로 적다보니 찌올림이 예쁜편이며, 예신과 본신사이에 어느정도 여유가 생깁니다.
갑작스레 쓰려니 생각나는게 여기까지네요, 나머진 다음분에게 부탁드립니다.
던져진 봉돌이 대부분 평지기준 사선형태로 안착되기 때문에 여러 요인에 따라 '착지오차'가 생기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착지오차를 줄이는 것이 조과와도 직결되구요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저는 투척후 봉돌이 물에 들어가면 바로 낚시대를 앞으로 일정간격 당겼다가 원위치 합니다^^
노지붕애님 답글감사합니다. 물속상황, 낚시 참 어렵습니다^^
노피맨님 답글감사합니다. 하나씩 배우고 있습니다^^
내방식만 고집하지는 않지만, 나름 장점이 있을거라 생각은 했지만, 흑단님 말씀처럼 장점이 있었네요^^
질문하나만 드리자면...단점 중 목줄꼬임현상이 풀스윙보다 더 많네요?? 사선으로 입수되면서 더 잘 꼬일꺼라 생각했는데...
미끼교환 등 채비 거두면서 풀스윙시 채비랑, 살포시투척후 채비랑 목줄꼬임은 풀스윙시에 더 많이 꼬여있었는데요...
그림까지 보니까 이해가 수월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항상 안낚즐낚하세요 흑단님~~~
예전에 미끼무게에 따라 수심차이가 난다는 질문에...사선입수를 배웠는데...
나름 제 방법이 사선입수에 도움이 될꺼라 생각했었습니다^^득보다는 실이 더 많다는 것되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산별그림자님~~~
부력이 무겁게 맞춰질수록 착지오차가 커집니다.
미끼(떡밥)을 크게 달수록 착지오차가 커집니다.
오차의 크기를 확인해보려면 찌가 완전히 입수 된 후 낚시대를 앞으로 내밀어 찌가 올라오는 높이를 보면 알수 있습니다.
떡밥낚시 시 떡밥을 크게 달 경우 떡밥무게로 인해 사선입수가 심해지는데 떡밥이 풀리면서 찌가 바로서려는 성질이 나타나며 바늘이 끌릴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바늘에서 떡밥이이탈되니 그걸 방지하기 위해 바늘이끌리지않게 찌를 무겁게 맞추거나, 떡밥을 좀 크게 달아도 사선입수가 심하지 않게 가벼운 찌맞춤을 하거나 해야 합니다. 그렇지않으면 생미끼, 옥수수 글루텐 등은 상관 없지만 일반적 떡밥낚시 중 떡밥이 풀리며 ㅣ가 약간 올라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 바늘이 떡밥에서 이탈된 것임.
사선입수가 좀 있어야 찌올림은 중후하여 보기 좋습니다.
경험상 계곡지에서는 바닥 상황이나 수심으로 인해 포인트에서 조금만 벗어나도 찌톱이 물에 잠기는 경우가 많이 발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