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귀신 곡할 노릇이네요

집에서 가까운 거리에 못이 있어 자주 가는 편인데 새우가 엄청 많은 곳인데 작년부터 많이 안보이더니 올해는 몇번을 밤에 채집망 담궈놔도 코빼기도 안보입니다. 누가 풀어놨길래 전혀 없던 가물치형님이 재작년부터 보이기 시작하여 올해는 가물이형님들이 저수지를 접수해버렸는데 이와 관련이 있을까요? 가물치형님들 들어왔다고 새우가 잠수타버리는 경우가 과연 있나요?

그럴 수 있다고 생각은 듭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낚시를 다니면서 보면 가물치가 때거지로 있어도
새우는
언제나 그 특유의 가날픈 몸매로 매번 그자리에 꿋꿋하게 잘 버티고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아는 계곡형 저수지에도 가물이가 그리 많은데

새우며 참붕어며 아주많던데요

제가 아는 다른 둠벙에도 예전에 그렇게 많던 새우가 없어져서

이유를 물었더니 정답이 올라 오지 않앗습니다

바닥 지형이 마사터에서 뻘로 바뀌면 새우가 없어진다는 말도 있구요

암튼 저도 궁금 합니다
가물치가 있다고하여 새우가 없어지거나 하지는 않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혹시 누가 베스를 푼건 아닐까요?....얼핏 듣기에는 베스가 있는곳은 새우부터 없어진다고 하던데요.
농약이 범인일 확률이 엄청 높을겁니다.
가뭄때문에 수심이 낮아져서, 그런것 같습니다.

작년에는 오후에 넣어놔도 굵직한 새우들이 나오던곳이 초여름 저녁에도 잘 안나오던데요...
새우가 잘 안나와서, 새우가격이 기본 5천원인가봅니다.
제 생각으로는 가물치 때문은 아니라고 봅니다

가물치가 없는 저수지도 있나요?

불루길이나 배스가 있는거 아닐까요

불루길이나 배스가 있으면 새우 찾아보기 힘들든데요

안출하세요.....(__)
아마..... 누군가 전부 채집해서 먹거나 팔지 않아을까 ?
내가 붕언지~~님 반가버요

구신이 곡하면 새우가 사라진다는 전설이 있죠 ㅎㅎ

말그데로 때죽음 당하는 경우가 있더군요. 거의 농약일 확률이 제일 높구요.

베스 블루길 있다면 당연히 사라지는 것이구요.

새우가 저수지 청소부인데 새우 사라지니 물이 탁해져요
짧은 소견으로는
.
배스나 부르길이 번식하면 새우의 개체수가
.
급격하게 줄어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외래어종의 소행이 아니라면
.
농약 또한 문제의 원인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
나머지는 고수님께 패쓰~
가물이 때문은 아닌거 같구요.
혹시 빠가사리(동자개)때문은 아닐까요?
새우에 빠가가 올라오길래 생각해 봤씁니다.
가물치 가 새우를 먹긴 합니다. 큰놈 보다는 작은넘이 산 새우보다는 죽은새우를 더 잘먹습니다.

또 새우가 주식은 아니기떄문에 많은 새우를 아작낼정도 는 아니라고 생각 됩니다.

저도 농약이나 다른 원인이 있을거라 생각 됩니다.
제가 볼때는 배스의 소행 같습니다
글쎄요.
민물새우는 매년 6월경 산란하고 죽는 걸로 알고 있구요. 그러니까 지금은 거의 없을 때가 아닌가 합니다.
그리고 부화하고 자라서 보통 9월, 10월쯤 되면 많이 자라는 걸로 압니다.
지금쯤에는 새우 채집망 담구어 놓으면 거의 안들겁니다.
(혹시 제 글에 잘못이 있으면 고수님께서 수정 부탁드려요)
1. 베스
2. 블루길
3. 농약 등 오염
4. 새우의 주기적인 증감(어느 해는 많고, 어느 해는 적고...)
5. 갈수로 인한 개체수 감소(시간이 지나면 회복)
.
.
.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농약은 아닌듯....
요즘 농약을 무개념으로 그렇게 살포하는 사람도 없고, 못에 영향을 줄 정도면 농약을 일부러 풀어야 할 것 같은데요...
다량의 농약을 풀면 뭐 새우 뿐만아니라 다른 물고기들도 피해를 입어야 하지 않나요...
반계곡지이고 주변에 오염원은 없습니다. 몰지각한 낚시꾼들이 버린 쓰레기 외에는요
가을이면 반딧불을 춤을 추고, 아직도 물속엔 게아재비같은 께끗한 물에 사는 녀석들이 더러 보입니다.
원래는 잉어와 붕어만 있는 곳이엇고, 2년전부터 가물치가 보이기 시작한 것일 뿐
안직 블루길, 베쓰 신고식은 없었구요
갈수로 인한 것이라고 보기엔... 한마리도 안들어와서...
원래 만수위때 제방쪽에는 만땅 잡히는데
물이 넘칠때 다시 던져보면 전멸인지, 잠시 외도였는지 답이 확실히 나오겠네요
비록 정답에서 멀어지신 분들이 계시지만 ㅋ
답변 감사합니다
ㅎㅎ
나도 깜짝 놀란일이 발견되었습니다.

보통 외래어종 특히나 블루길과 배스가 같이 서식하면 새우와 참붕어가 제일먼저 멸종된다고 생각했었습니다.

지난주 모 저수지에 대물블루길이 돌돔처럼 시커먼게 올라오고 배스꾼들이 장사진을 치는 저수지에 대를 널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저녘에 발밎을 보니 잔 새우가 우글거립니다. 근처에 떡밥낚시하는 사람이 있어서 이야기를 하다보니 새우망 넣으면 큰 새우도 잡힌다고 합니다. 그런데 참붕어는 보질 못했습니다.

외래어종에 새우가 멸종된다는것은 아닌듯 합니다. 단지 개체수가 줄어들수는 있겠지요....
외래어종 있으면 새우 참붕어님 시간이 지나면 멸종 합니다 우리자원을 지킵시다 ...
제가 가물이면 새우를 양식해서 더많이 불려서... 마르고 달토록 먹겠습니다.^^
아닐꺼라 생각됩니다^^
채집망에는 안들어와도 9~11시사이에 물가에 후레쉬를 비춰보세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우가 없다면 진짜 없습니다. ^^;;
저도 낚시를 자주가는데 갈때마다 새우사가는게 부담백배입니다.
그래서 요즘은 옥수수한통들고 가서 자생새우를 채집해 사용한는데
자생새우가 입질이 더 빠릅니다. 문제는 채집망에 새우가 안들어올때가 있는데
그때는 전 9시까진 옥수수로만 버팁니다.
9시가 조금 넘으면 뜰채들고 새우채집하러갑니다. ㅋ
희한하게 망에는 맛있는 떡밥이면 라면을 넣으도 안들어오는데...
제가 이런 경험이 있었습니다.
몇년 전 소보의 어느 저수지를 자주 다녔습니다. 그런데 어느날부터 제방에서 공사를 하였습니다. 제방 중간에 구멍을 뚫고 콘크리트를 그 안에 넣더군요. 아마도 제방을 튼튼히 하기위해서인 듯 했습니다. 우연인지는 몰라도 그 후로 그많던 새우가 잡히지 않더군요. 계속해서 관찰을 못해서 그 공사때문 인지는 모르겠지만 그런 일도 있었습니다.

다른 한곳은 새우망 넣으면 한 두 마리 들어오는 정도인데 원래부터 새우가 없는가 보다 하고 낚시를 했었는데 어느날 보니 배스 치어들이 많아 있더군요.
베스나 ㅡㄹ루길이 없다면

새우 장사꾼들 소행 입니다.

한번 왔다 가면 저수지 새우 씨 마릅니다,

한번에 통발 50~100여개 보트타고 들어가

중간중간에 놓습니다.

통발에 넣는것도 일반 어분 계열이 아니고

암모니아 냄새가 많이나는 무언가를 넣어 둡니다.

새우 싹쓸이 합니다..

불법 입니다.

보시면 신고 하세요...

이 사람들 낚시꾼 있으면 그냥 갑니다...

아무도 없으면 채집망 걷어 갑니다.

그래서 낚시꾼들이 잘 못보는 것 입니다...
어떤 지역에 있는 저수지 인가요
서식하고 있는 어종은 확인하셨는지요
저수지 상황에 좀더 자세하게 올려주시면
훨씬 좋은 의견 나올겁니다

저수지가 바닥을 드러내 버리면 새우 전멸합니다
오염되면 새우가 젤 먼저 죽는답니다

참고만하세요^^ 즐낚과 안출을 빕니다
안녕하세요~ 전 가물치루어낚시를좋아하는 늪지사랑의 회원입니다.물론 주말엔 빠짐없이 붕어대물낚시를다니죠^^*제가 이름없는 소류지나 저수지르 찾아다니면서 보고 느낀것을 한마디해볼까합니다.가물이있는곳에새우가 없는것은아닙니다 .가물이치어의 천적(배스.블루길등등)이없는곳에서의 가물이는 그개채수가 엄청나게 늘어납니다왠만한저수지는 2~3년이면 접수하죠.하지만 새우의 개체수는 더엄청나게 늘어난답니다.다만 새우의개체수가 줄어드는 조금의차이는있겠죠 느낄수없을정도쯤......많은저수지에 가물이가있지만 새우도 엄청나게많은곳도 많답니다.새우가 확연히 줄어든다는것은 월님들이 말씀하신 농약이나 물의 오염이가장큰 원인일것입니다.새우 는 물이더러운곳에서는 살지못합니다 (우리 인간들은 잘살아가죠 ㅎㅎㅎ) 지금은 쉽게볼수있지만 언젠가는 월척들만큼이나 쉽게 구경하지 못하는 그런자원이 되지않을까 쉽네요...새우의 개체수가 줄어든다니 슬픈소식이네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