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칭에 대한 여러 이야기를 접하고,
"꾼"과 "조사"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합니다.
"꾼"과 "조사"의 사전적 의미는
꾼: 무엇을 일삼아 하거나 직업적으로 하는 사람임을 나타내는 접미사입니다.
조사(釣師): 낚시꾼의 명사입니다. (선비 士가 아님)
낚시를 즐기는 저로써는 "조사"보다는 "꾼"이란 말이 더 정감어린 말입니다.
예전엔 낚시 좀 한다하는 사람들은 자신을 부를 때나, 남을 칭할 때
자랑스럽게 "꾼"이라고 했습니다.
낚시에 있어서 "꾼"이란 사전적 의미도 아니고
"도박꾼, 사기꾼, 난봉꾼, 싸움꾼"과 같은 천박한 의미가 아닌
그야말로 낭만이 깃든 정감어린 단어였습니다.
낚시터에서 쓰레기를 버리는 사람이거나 예의를 모르는 사람에게는
"저 사람은 진짜 꾼이 아니군." 라고 했습니다.
그 것은 " * 놈" 들이나 하는 행동으로 치부하였습니다.
정도(正道)를 걷지 않는 낚시인들을 "꾼"으로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꾼"은 그런 행동을 하면 안 되는 것이었습니다.
"꾼"인걸 자랑스러워했습니다.
진정한 "꾼"이 아닌 걸 부끄러워했습니다.
요즘에 와서는 손아래사람이 연장자에게 존중의 의미로
"조사(釣師)님"이라고 높인 말로 쓰이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조사님"이라고 하면
"조사는 무슨 조사냐, 나는 낚시꾼이야"라고들 하였습니다.
"조사"보다는 참된 "꾼"이길 바랬고,
"꾼"인 걸 자랑스러워했습니다.
"꾼"인 걸 부끄러워하지 않았습니다.
비슷한 말로 "쟁이"가 있습니다.
쟁이의 사전적 의미는
"그 행동을 잘하거나 그 특성 따위를 가진 사람을 홀하게(다르게) 일컫는 접미사" 입니다.
낚시 쟁이..
"낚시 쟁이" 보다는 "낚시꾼"이 더 어감이 좋은 것 같습니다.
"꾼"과 "쟁이"는
순수한 우리말로써 어떤 일에 능통한 사람을 일컬은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조금도 저속한 평가나 부끄러워 할 말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꾼"이란 말을 저 평가하지 맙시다.
"꾼"이란 멋을 알고, 낭만을 알고, 정도를 아는 낚시인을 지칭하는 말입니다.
그래서 저는 "꾼"입니다.
아니 "꾼"이길 바라는 것입니다.
진정한 "꾼"이 되고자 노력하는 것입니다.
언제나 안출하시고 498하십시오.^^*
낚시 “꾼”에 대한 이야기
-
- Hit : 2678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0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님은 ..... 낚시인 ...^^
아직까지 월척에는 참 꾼"이 너무나 많습니다.
2~30년 전에는 꾼"이라는 말은 아무나 들을수 없는 아주 덕망을 가진 고수님 들에게 꾼"이란 존칭을 쓰곤 했습니다...
저도 월척에서는 꾼이란 글자를 많이사용 합니다...
꾼" 존경 받는사람... 저수지 환경에 전도사>>> 월척에 안개장터님 같은분 이런분에게 저는 항상 장꾼" 꾼이라 부럽니다.
이미지 와는 다르게 꾼" 항상 좋은 쪽으로 생각하고 밀고 갈렵니다...
건강하십시요...
오랜만에 좋으신 글 보며 반성과 다짐을 하고다녀 갑니다.
발자국만 남기려 노력해야 겠습니다.
주변 조우에게 잔잔한 웃음만 남기고 오려 노력해야 겠습니다.
반성합니다.
그러나 우리 낚시인이 우리 낚시꾼 스스로한테
"꾼" 이란 칭호를 관대하게 표현해서 그런것은 아닐까요?
낚시를 싫어하시는 다른분들 즉 비 낚시인들은
우리 낚시인을 통틀어 낚시꾼이나 혹은 낚시질 간다고 표현을 많이 하죠
그 뜻은 과연 좋게 표현한 것 일까요?
아닐겁니다.
우리 낚시인 스스로가 "꾼"이란 개념을 좋게 생각하고 관대하게 생각하기 때문일겁니다.
오래전부터 지금까지 우리 낚시인들은 많은 발전을 해왔습니다.
그러나 ~!!
변하지 않은것도 있습니다.
예나 지금이나 비낚시인들이 우리 낚시꾼을 보는 시선은 여전히 곱지 않다는 것 입니다.
우리가 우리 스스로 만족해하고
우리 스스로를 높게 생각하는 부분은 좋은 생각입니다.
다만 우리가 더욱 더 성숙해 질려면
우리가 아닌
비 낚시인들로 부터 먼저 인정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말없는 벙어리가 어쩌면 더 현명할수도 있다는 생각입니다.
대통령도 국가 브랜드 가치를 올린다고 난리아닙니까?
올해안에 세계 몇위까지 올린다나!
이제 낚시도 브랜드 가치를 오려야 할때가 되지 않았나 싶네요
우리를 자연파괴의 주범으로 인식하고 있는 일반인들의 시선에서 벗어나
고급 취미생활하는 자연인으로....무슨 방법이 있을까요?
작은것부터 제발! 자기쓰레기는 되가져 옵시다
우리 "꾼"들의 행동양식이 먼저 변해야 겠지요.
지금의 낚시꾼은 "쓰레기를 버리고 자연을 훼손하는 사람"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 슬픈 현실입니다.
이것이 개선되지않는 한, "낚시꾼"에 대한 일반인의 의식은 영혼히 부정적일 것입니다.
"낚시꾼"의 자존심은 "낚시꾼"이 찿아야 합니다.
낚시인 모두가, 우리 "꾼"들 모두가 언제나 깨끗한 자연환경을 조성하여
부정적 인식에서 긍정적 인식으로 전환되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말로만 구호하지 않고 저부터 열심히 실천하겠습니다.
"낚시꾼"이란 단어가 아름다워 지는 날 이상으로 계속, 영혼히...
부족한 부분이 있으면 점차 고쳐나가면서
"꾼" 이란 말을 듣도록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이 듬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