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낚시에 관한한 인정을 받는 분을 만나 많은 배움을 얻었습니다.
그런데 그 분의 채비가 모두 관통찌 채비더군요.
그것도 45센티미터가량의
요즘은 대물낚시가 많이 보급되어 있지만 아직은 관통찌가 보편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 스타일이 거의 수초를 끼고 하지만 무디고 무겁고 찌오름이 자연스럽지 못하다는 선입관 때문에 주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초에 직공할 때 관통찌가 엄청난 위력을 발휘하는 것을 종종보았습니다.
고수님들
으째야 좋을런지요.
관통찌의 단점과 장점을 알려주십시오.
또 반관통과 관통찌의 장단점도요.
대물낚시에서 부력이 높은 유동찌채비와 관통찌 채비중 어떤게 낫을까요?
-
- Hit : 3636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4
먼저 관통이냐아니냐의 찌오름차이나조과와는 무관하다는걸말씀드리고싶고요.
관통찌가 나온이유는 좁은 수초대에서 보다 쉬운 채비입수를위해서 고안된거라할수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수초직공때는 위력을발휘할수있습니다.
어차피 수초대물 낚시를하실바에는 다소무거운채비가 잔챙이입질을피하고 수초대에서의 바닥안착은 쉬울거라보여지는군요.
관통찌의장점은 수초대의원활한공략을들수있겠고요,단점은 수초에걸렸을때 찌탑의부러짐이자주발생할수도있습니다.
반관통과관통의 차이는 비슷하다고 보여지는군요.
달사랑님 글 가운데 약간 첨부글이 있습니다.
관통찌는 아주 쉽게 뿌려지지 않습니다.그러나 반관통찌는 땟장이나 부들 ,연 이런곳에서는 사용상 뿌러질수있습니다.
특히, 땟장속에서는 조심스럽게 사용해야 될것입니다.
그외에는 별 다른것이 없는걸로 압니다.
수초낚시에는 나름대로 최대 장점을 이용하지만 맹탕에서는 야간 어색하지만 사용하는데는 아무 지장이
없습니다.
사용하는 사람마다 조금씩 틀릴수가 있습니다.
나름대로 분석한것이니 그냥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전조행으로 즐-낚하시길 바랍니다.
근데 한가지 궁금증이 남는군요.
관통이나 반관통찌의 입수나 찌올림이 거슬리거나 하지는 않는지요.
낚시에서는 찌맛도 무시하지 못하는 재미중의 하나인데 이에 대한
느낌이 어떠한지 궁금하군요.
유동채비 특성상 아랫쪽에 있던 찌가 원줄을 타고 오르면서
찔끔 찔끔 가라앉는게 별로 보기 안좋아서였죠
지금 유동채비 쓰신다면 많이 느끼셨겠지만
같은 무게의 봉돌의 사용하실때
깊은 수심에서의 유동채비와 반관통 채비의 입수 모습은 거의 비슷합니다.
하지만 어차피 대물낚시가 대부분 수심이 낮은곳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던지면 바로 쑥 들어가는 모습만 보실수 있을겁니다.
투척시 같은 8호봉돌 정도 사용한다 했을때
관통이나 반관통채비가 더 무거운 느낌이 듭니다.
물론 익숙해지면 훨씬 더 쉽습니다.
제가 관통찌를 쓰지 않는 이유는
관통찌 톱으로 나온 원줄때문에 찌가 비스듬히 있는 모습이 보기 싫어서구요
그래서 반관통찌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마름밭에서 마름사이에 집어 넣고 혹시 마름 줄기에 걸려
찌가 올라오지 않을까 걱정했던적이 많았는데
그런 문제점은 없었습니다.
어차피 대물붕어를 노리고 하는 낚시
대부분은 7치 이상만 돼도 10호봉돌이라도 찌 이쁘게 잘 올려줍니다.
수초가 밀생한 곳에서 낚시를 하신다면 반관통찌 추천해 드리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