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희 동네에 아주 작은 소류지가 한개 있습니다
제가 가끔씩 짬낚시를 하는곳인데요
5~9치사이의 토종붕어가 아주 잘나오더라구요
계속하면 월척 할수 있을것 같아서 계속 다니고 있는데 이번 겨울에 동네
아저씨들이 물을빼고 가물치랑 붕어를 마니 잡더라구요
그후가 문젠데요?????
지금 그 저수지가 만수 입니다
월이를 상면할수 있을지???
고수님들 답변 부탁드립니다 ^^
동네 아저씨들이 물을빼고 고기를 잡은후에 대물이 나올까요???
-
- Hit : 3365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9
분명 있으리라 합니다 .. 붕어는 물이 없으면 본능적으로 땅을파고 들어간다고 들었습니다 ..
그 저수지가 만수라면 분명 월이 상면 가능할것 같습니다 ..
도전해보십시오~
저희 동네에도 3년전 저수지옆 축사 도로공사한다꼬 저수지 물뺏었는디..
당연 중간에 뻘층만 남아있었구요...
2년후... 월이 터졌습니다..
그래서 너무 좋아요^^
붕어는 본능적으로 물이빠지면 뻘속으로들어가서 물찰때까지 기다린다했습니다.^^
고기를 잡기위해 물을 뺐으면 그곳엔 붕어가 없다고 판단됍니다.
고기를 잡기 위함은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물을 순식간에 빼내기에
고기가 뻘을 차고 들어갈 시간적 여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만일,
물 뺄때 그물질 까지 했다면 그 못은 몇년은 있어야 원상태로 되겠지요.
그리고
뭐,또 고기 있을 만 하면 물 빼고 싹쓸이 할테지만............
작은 소류지에
그냥 물만 뺐다가 다시 채운것 하고는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위의 글은 개인적인 소견이니 참조만 하십시요.
감사합니다.
그물질을 피해 있다가
물이차면 다시 활동하는 녀석들도 많이 있을겁니다
6개월정도 물이 없다가
다시 물이 찬 저수지에서
이듬해 때월척을 만난적 있습니다
믿음을 가지시고....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참패만 여러번...
월척보다는 잔챙이 커야 8치정도밖에 없던데...
혹시나하는 마음에 2년째 접해봐도 거기서거기...
뻘까지 파서 잡아갔는가 봅니다...
뻘을 파고 들어가는데 오랜시간이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지는 모르지만..아시는분 답좀...^^
물을빼면 즉시 뻘을 파고들어간다고 생각합니다,..
충분히 가능성 있다고 판단됩니다.
그러나 개체수는 많이 줄었다고 생각합니다.
좁은 수면적이라서 물빼기도 쉽고 많은 개체와 굵은 붕어를 남획해갔다면 최소 2~3년은 기다리셔야 할 테구요.
2만평이 넘고 바닥이 뻘이 깊다면 물이 차오름과 동시에 굵은 붕어가 낚이기도 합니다.
남획된 붕어 씨알이 가장 큰 변수로 작용하겠지 싶습니다.
당연히.....상면할수 있을겁니다^^
뻘층을 파고들어가 은신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제가 최근 어느 농가 작은 소류지에 가족과 낮 낚시를 하고 있었습니다.
갑자기 농장 주인께서 오시더니 여기 붕어는 없습니다. 작년에 바닦이 완전 말랐다고
하시면서 말씀을 하시던데 제가잡은 붕어 8치 7치 3마리를 보여 드리니깐 자신도 깜짝 놀라 드라고요
이러한 내용으로 볼때는 물을빼도 붕어는 있다는 예기가 되는거죠 단 마사토 바닦은 저의 소견으로는
붕어는 없는 것으로 생각을 합니다.
청석바닥이라면 거의전멸이겟지만 뻘바닥이라면 관계가업을듯합니다
15년전쯤에 아주 극심한 가뭄이들어서 대내실지에 물을뺸적이있었는데 그떄 누가 고기를 돈주고 산다하여
그물질을 엄청했음니다 5번정도 박박끌어 조선천지 그리큰붕어도 있었구나 고기가 참 많기도많구나...
동네사람들도 이야 이제는 낚시 당분간안돼겟구나 싶었는데
그물질 바로다음날에도 고기나왔음니다;;
그물질을 하였어도 소류지에 뻘 바닥과 샘이 난다면 물이 차면 새물찬스 와 같다고 생각합니다
대물기원 드립니다
즐낚하세용
물을 빼두 장기간 바싹마른 저수지가 아니라면
뻘속에 은신했던놈들이 있을테니까요
하지만 벌속으로 못갔던놈들은 아저씨들 양도이루갔다 가마솥에,,,,,,,,
해서 개체수는 분명적으리라 믿습니다(저두10년전 교동에서 경험 2년전 물뺀 물깡)
하지만 한번 올렸다하면 일곱 이상이더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