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곡지 붕어는 몸매가 주로 미스코리아 대회에나온 아가씨 몸매인데 제가 아는 두곳은 쭉죽빵빵이 아니고 그냥 빵빵입니다.즉 강호동 몸매 아니면 청도 소싸움에 나온 숫소 몸매이지요.
한곳은 양배수형 저수지로 계곡지고요.수초 전무하고 수심 40미터정도이고요. 물을 들녘수로에서 양수하는곳입니다.
또한곳은 전형적인 계곡지로 양수는 하지않고 산계곡물을 담수해놓은곳입니다. 여기도 역시 신영이 또는 봉선이몸매이고요. 참,배스가 서식하고요.
제가 궁금한것은 훌쭉한 계곡지 특성이 나타나지 않는것이 배스나 적으로 부터 살아남기위해 몸을 키우는것인지 ?
영양분이 충분해서인지, 유전적인지 궁금합니다.
땅콩의 궁금증 ? 이것이 알고 싶습니다.
-
- Hit : 3204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2
육식어종인 배스한테 이기려고 헬스열심히해서리 자기몸을 그렇게 관리하는거 같습니다
언제나 안출하시고 즐낚하십시요
계곡지에 배스넘이..
붕어 헬스 열심히해서 다 족쳐야합니다..^^
제가 갈까요...ㅋㅋㅋ
후자설이라고 하는분들이 많이 계시더군요
늘 안출 하십시요....^^*
매복을 했어 덩어리 한수식 하시는지요,?? ^^*
님에 글에서와 같이 아직까지 뚜렸한 정답은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우리꾼"들이 아~ 그럴 것이다 추척을 하고 있을 뿐이지요...
통상적으로 계곡지에와 협곡지에 붕어는 날씬할 것이다...수심이 깊고 붕어들이 이동량이 많고 동 식물성 플랑크톤이 수심이
얕은 평지형에 저수지 보다는 작고 수초가 없었어 먹이가 풍부하지 않아 그럴것이다...우리가 통상적 으로 생각하지요...
먹이 사슬에서 위에 있는 배스 가물치 등 폭군 들에게 목숨을 보전하고 경쟁에 대열에 서기위하여 인위적으로 몸집을 키운다...
타당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그의대부분 폭군들이 많이 서식하는 저수지 일수록 대체로 붕어에 체고가 (빵)굉장히 높은것이
사실입니다...
평지형에 저수지에 폭군들이 전혀 없고 수생 곤충이 엄청 스럽게 많고 새우 반 물 반 먹이가 넘처나고 하루 종일 해빛이 비춰
지는 평지형에 저수지에 배스터와 같이 엄청난 체고 (빵) 가 있는 저수지가 많습니다...
움직입이 적고 먹이는 풍부하고 일족에 비만 붕어라고 생각해 봅니다...이런곳 4짜가 많아도 낚시가 잘 않돼는 현상이 있습니다
전형적인 계곡지에 배스가 있어도 날씬한 붕어가 있는 반면에.....배스가 없는 계곡지에 붕어에 체고가 (빵)이 좋은 붕어 또한
있는곳이 많습니다...
아직까지는 정확한 답은 없습니다 만...
먹이 사슬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몸집을 불릴 수도 있거니와...영양이 풍부하여 비만이 있을 것이고 유전적인 영향도 매우 클것
으로 생각합니다...
우리에 토종 붕어는 어느 정도에 체고가 잇고 쭉~빠진 붕어도 보기가 좋지만요...
진량에 신제지에 붕어같이 (빵이) 향어같이 빵빵한 붕어도 참 보기는 좋습니다...
대구리 하십시요...
다양한 의견들이 나올것으로 생각합니다. 확실한 정설이 없으니......
제 생각은 토종붕어도 여러가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체고가 높은 붕어 낮은 붕어 등으로.......
환경에 의해서 변했다고 본다면 그기서 생활하는 다른 어종들도 그렇게 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같이 살아왔으니.......
특히나 배스에 의한 것이라는 것은 너무 억지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배스가 우리나라에 수입된 오래 되지는 않았으니까요. 적어도 환경에 의해서 변화가 생긴다면 수세기(?)에 걸쳐서 조금씩 변하지 수십년만에 그렇게 변한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특히나 체고가 다른 붕어는 골격(뼈)의 변화가 와야 하는데 그게 그렇게 쉽게 오지는 않을듯 합니다.
즐기는 낚시 하십시요.
가설이 아닌 진짜로,,,,,,,,,,,
감사합니다.
궁금한것이 달과 붕어 활성도, 수온과관계.바람의영향, 기압의 영향등등 한도 끝도 없네요.
답글 주신 회원님, 장마철 안전운전하시고 손맛보세요.
걘적이지만,, 윗 님들중~ 역시나님의 말씀이 제일 공감이 가는말씀을 해주셨다 봅니다 고로,, "역시나님~"께 추천일방~~^^
얼마전에도 이곳"월척"에서 날렵한 계곡지붕어를 못먹어서 삐쩍말랐다고하여..
저와 많은월님께서 논쟁아닌 논쟁을 하였었지요!! ^^;
토종붕어는,, 옛부터 "터" 에따라 체고가 각기 다른형태로 자생하고 있습니다.
불과 몇년전부터.. 배스가 울나라 전국각지에 전파~ 되면서부터,, "붕어들이 잡혀먹지않기위해 스스로 체고를 불린다.."란
속설이 전국각지에 급속도로 유행처럼 전파가 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얘기가 상당히 길어질것만같기에 미리 겁먹고~~^^; 이하생략하고,, 결론부터 말씀 드려본다면..
일반적으로 저수지분류를 해본다면~
1.누구나가 쉽사리 접할수있는,, 평지형저수지와..
2.지형적으로 평지보단 산 중턱에있는,, 준계곡형 저수지..
3.산중턱보단 더욱 윗쪽에 위치하거나 산새가 좋은곳에 위치하고있는,, 계곡형 저수지~~ 등으로 분류를 합니다 ^^
4.한가지더 보태본다면,, 양수형저수지가 있겠지요.. 주로,, 양수형터는~ 99%이상 평지형저수지가 대부분입니다!!
체고나 빵이좋은 붕어는,, 1번 2번 4번의 저수지에 주로 빵좋은 붕어가 서식을하며..
체고가 날렵하고 체형이 길어보이는 붕어(특징:입이상당히크며 지느러미가 크고길고 특히,, 꼬리쪽근육이 굵직하고 유난히
발달됨..)는,, 2번 3번의 저수지에 주로 분포를하되.. 매년 해가 바뀔수록~ 그 개체수가 현저하게 줄고 있습니다 ^^;
이유인즉슨,, 날로변해가는 저수지의 오염원이 원인이겠으며.. 또는,, 알기론
몇년전부터 점차 줄어드는 어자원고갈로 인한 전국의
무단 치어대량방류사업이(전국의 시.군) 또다른 토종붕어들의 체형이변하는 주된 원인이라 저는 봅니다!!
대부분의 계곡지붕어는,,
옛부터 체형이 날렵하고 상당히 빠르지요..
옛부터 그러하듯,, 평지형의 토종이라 할지라도 계곡지토종의 파워나 스피드를 감히 따라올수가 없습니다.
생명력또한 더욱 좋고요~~!! ^^
주로,, 평지형저수지는..
치어방류시,, 진입이 한결~ 수월하여.. 잦은출입 방류가 행하여지곤 있는게 사실입니다!!
이것이 제일 문제시 된다보며~~
이러한 치어들이 터에 서식을하되,, 커가며 점차 체형이 변한다기보단..
체형이 변해진 어미붕어들의 알을 부하하여 치어로 키운다음.. 무단 방류를하니~~
이때 전형적인형태의 토종종자가아닌,, 이미 체형이 변화된 토종의종자가 "방류된 터~"에서 자라.. 세월이흐르면 흐를수록
전~~파 되어가는 형태라 보여집니다.. ^^
하여,, 지극히 걘적이나.. 빵이 좋거나 체고가 좋은곳의 "터~" 보단..
본인은.. 주로 산속의 발길이뜸한,, 경치좋고 운치있는~~ "계곡지"로 주로 출조를 합니다..!!
평지형의 체고가좋은 같은 씨알이라도.. 전형적인 토종종자의 요놈들은,,
붕어를 등위로 볼때~ 상당히 굵직하고.. 입이 상당히크지요.. 또는~~
지느러미가 더욱길고 넓으며.. 꼬리쪽근육이 상당히 굵고넓게 발달되었으며.. 채색또한 황금색이거나 검은색과 황금색의
채색이좋은 투톤채색이 특징입니다.. 고넘들~~~ 상당히 근사하지요 ^^
참고가 되었길 바랍니다.. -shimanoman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