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늘매듭 목줄이 바늘귀 앞쪽있느거랑
뒤쪽에 있는거랑 어떠한 차이가 있나요?
그림은 앞쪽
즐거운 성탄절 보내시기를...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06-12-22 23:04:19 낚시용품 Q&A에서 이동 되었습니다]

짧게 설명하면 목줄의 손상을 방지하기위함입니다. ^^;
동쪽나라입니다.
목줄이 앞쪽에 있는 이유는 크게 두가지라 생각됩니다.
붕어단속중님이 설명하신대로
목줄이 바늘귀에 걸려 목줄손상이 되는데
이 목줄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첫번째이구요,
두번째는
목줄이 바는귀의 뒤에 있을 경우
바늘에 붕어가 물어 챔질을 할 경우 바는끝이
재껴지는데 이는 붕어가 빠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목줄이 앞에 있을 경우 바늘이 붕어의 입에
후킹이 되는데 도움을 주게 되어 목줄을 앞으로 가게 합니다.
그림없이 설명하기는 참으로 어렵네요.
겨울철 건강 유의하시고
즐거운 성탄되세요.
바늘을 설계(?) 할때 무게 중심 및 목줄의 매듭위치(바늘귀에서의 매듭)까지 포함하여 만들지 않을까요?
예를들어 미끼(바늘)가 수중에 떠 있을 경우, 바늘을 중심으로 좌,우 360도 각도에서 흡입을 하였을때
바늘의 침부분이 대상어의 입부분을 향해서 방향을 돌릴거라고 생각했었습니다.. 쩝
진공 청소기를 사용하여 테스트를 해보니 생각했던것 만큼 바늘머리가 휙 돌아서 진공청소기 속으로
들어가지는 않더군요... ^^;;
바늘의 미늘 부근에 미끼가 있다면 그 미끼의 부피(체적)로 인해 흡입시 미끼 부분이 바늘의 다른 부분보다
먼저 붕어의 입으로 들어갈 테죠...(예로 녹아 내려 붙어 있는 글루텐 및 지렁이)
이런 모든 것들이 바늘을 설계시 고려해야 할 부분이지 싶습니다~ ^^;
이 부분에서 중심축이 귀를 중심으로 바늘의 몸통으로 향하는 목줄과의 일직선이라고 생각되는데요...
귀의 뒷부분으로 목줄의 매듭이 되어 있다면 동쪽나라님께서 설명하신 두번째 현상이 나타날거라 생각되네요~
주절 주절 얘기가 길어졌습니다~^^;
그럼 즐거운 휴일 보내세요~
이유는 잘모르겠습니다만 30여년전부터 뒷쪽에 ~~~~ ????????????????
전 좀 다른 각도에서 접근해 볼까 합니다.
물론 제 나름의 추측입니다.
위의 님들의 말씀이 틀리다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먼저 바늘을 한 번 자세히 보십시요.
다들 보시니 아시겠지만 바늘귀가 뒤쪽으로 약간 눕혀져 있습니다.
일자로 만들면 더 쉬울 것을 굳이 굽혀서 만든 이유가 아마도 목줄을 앞으로 묶게 하기 위해서 일 거라고 생각합니다.
조금 더 과학적으로 추측해 봅니다.
바늘이 붕어의 목에 걸려서 힘을 받을 경우를 생각해 봅시다.
이럴 경우 바늘 끝이 힘의 고정점이 되고 목줄의 방향이 힘의 방향이 됩니다.
다르게 설명하면 바늘 끝 부근과 목줄의 연장선이 거의 비슷하게 만나게 됩니다.
어렵게 말씀드리면 목줄의 방향이 힘의 방항이 되고 그 힘의 방향의 연장선에 힘의 고정점인 바늘끝이 있습니다.
그네로 설명을 드리면 그네줄이 고정되어 있는 점이 고정점이 되고 바늘끝이 됩니다. 그네줄이 목줄이 되고요.
조금 더 설명을 드리면 고기가 요동을 치면서 방향을 바꾸고 하더라도 고정점과 목줄의 방향이 항상 일치하여 바늘이 항상 일정
한 힘을 받게 됩니다.
그네를 타는 것을 생각하시면 이해가 쉬울듯 합니다.
이게 중요합니다.
고정점(바늘끝)과 목줄이 같은 연장선 상에 있으려면 그림에서 보시듯이 바늘귀가 약간 뒤로 눕혀져 있어야 목줄과의 마찰이 최소
로 줄어 듭니다.
결국은 바늘귀가 뒤로 눕혀져야 한다는 말입니다.
바늘귀가 앞으로 눕혀지고 목줄이 뒤로 가도 되기는 합니다.
이럴 경우는 위의 그림으로 상상해 보시면 아시겠지만 바늘귀가 앞으로 툭 튀어나와 이상하고(목줄의 방향과 많이 어긋나서......)
이물감이 더해질 수도 있다고 보여집니다.
지금과 같은 바늘귀의 형태가 되고 목줄이 앞으로 매어져야 가장 무난하다고 생각되어 집니다.
제 이야기는 어디까지나 저의 개인적인 추측입니다.
나름대로의 과학적인 근거도 상상해 보았습니다.
틀린 부분들은 여러분들이 교정해 주십시요.
님들의 여유로운 낚시를 기원합니다.
새해에도 복 많이 받으세요^^
꾸~벅
각각의 바늘에 무거운 것을 꿰어 위쪽으로 들어보시면 바늘 끝의 움직임이 서로 다릅니다.
결론적으로 매듭을 앞쪽으로 묶은 것이 입걸림에 더 유리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즐낚하세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제생각엔 매듭이 앞쪽에 있는게 맞을듯 합니다....
그리고 바늘귀 부분을 뒤로 젖혀놓은 이유는 고기가 걸렸을때 목줄의 끈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뒤로 젖혀놓은거구요
그로 인해 뒤쪽 매듭보다는 앞쪽 매듭부분이 유리해 집니다...
고기를 걸때 뒤쪽 매듭과 앞쪽 매듭을 같은 경우로 실험해 보시면 앞쪽 매듭이 훨씬 빠르게 반응이 오고 더 깊숙히 들어 갑니다
예전에 일산제품중에 바늘귀 앞쪽에 홈이 파여져 있던 제품이 있었는데 요즘은 안보이더군요..
그것을 보더라도 역시 일본도 앞쪽 매듭을 선호하는듯 합니다.....
그리고 바늘을 바닥에 놓구서 45도 각도 이상에서 자석을 대어보면 바늘끝이 위로 올라오면서 자석에 붙습니다.
이것은 우리가 고기를 걸었을때 윗 입술에 바늘이 걸렸을때 정확한 타이밍이라고 하는것과 같습니다..
즐낚들 하세요~~~^&^
제조업체에서는 앞쪽으로 해서 쓰라고 귀를 뒤쪽으로 해 놓은거 같더군요 근데 제 결론은 그게 아니다라는겁니다 이유를 설명하자면 길어지니 바늘 묶어서 수건이라든거 뭐든지 걸어서 당겨 보십시요 귀와 줄의 방향을 보시면 알것입니다 그리고 바늘끝의 방향을 보시면 어떤 각도가 더 그런지....
뒤쪽의로 매어사용해도 바늘귀에 목줄손상은 특별하게 느끼지는 못했습니다.
후킹된 붕어을 들어보면 목줄이 바늘 목에 닿지는 안던데요.
잉어 향어 등등 입이 큰넘들 상대 할때는 뒤쪽에 ....바늘이 펴지는등의 단점은 있으나
뒤쪽에 하믄 일단 거는데는 더 나은것 같음 ^^
고기잡습니다.
줄 잘 안터집니다.
하지만, 앞으로 맨것이 후킹율이 제일 높고(설계상)
목줄 손상이 적습니다.
굳이 추천한다면 앞으로 매시라고 권장합니다.
바늘귀 생각보다 줄 잘갉아 먹습니다.
하지만,,,선택은 자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