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찌멈춤고무의 역할에 대해서 질문합니다.
유동채비시 초릿대에서 찌멈춤고무 , 찌멈춤고무, 유동찌고무,찌멈춤고무,찌멈춤고무 , 봉돌, 바늘 이런식으로
채비를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초릿대에서 가장 가까운 찌멈춤고무의 역할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수심측정용이라고 하던데.......어떻게 수심을 측정하는지....
자세한 설명을 부탁합니다(개인적으로는 위의 찌멈춤고무는 한개만 있어도 될 듯한데.)
유동채비의 찌멈춤고무
-
- Hit : 7653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0
저는 멈춤고무로인한 원줄의 손상 방지를 위해 조금 헐거운 멈춤고무 2개를 사용합니다
아니면 빡빡한 멈춤고무는 반으로 잘라 2개로 만들어 사용합니다.
말그대로 위쪽에 수심을 낚시하기전에 체크를 해놓는다는의미로 보여집니다.
장애물이 많은곳을 공략하다보면 채비가 장애물에 걸려 강한 챔질에의해 멈춤고무를
사용한다해도 찌가 봉돌쪽으로 내려가는 경우를 볼수있습니다...
그러면 다시 찌맞춤을 해야하니 번거로움이 발생하게되고 소음발생을 최소화기켜야하는
야간낚시에는 아무래도 불필요한 행동이라 생각됩니다...
그러기에 낚시 시작전 미리 준비하는것이 좋을듯합니다...
수심을 체크하는 방법은 말그대로 낚시준비시 수심을 체크하시면되구여
처음에 수심을 체크하시고 찌를 원줄과 함께 잡으시고
캐미상단 아니면 님이쓰시는 찌와 수면이 만나는 부분에 찌고무를 맞추어 놓으시면 됩니다..
낚시 시작전에 준비해놓으시면 혹시 라도 채비가 장애물에 걸려 수심이 흐트러지게되면
수심측정을 다시할필요도 없고 그위치만 기억해두셨다가 바로 그위치에 찌를 맞추시고
바로 낚시를 하시면 되는거지여...
저도다야 더낳은 방법으로 사용하시는 님들도 있으시리라 믿습니다...
제가 알고있고 사용하는 방법이지 정답은 아닙니다...
좋은 방법찾으시구여 항상 어복 충만하시길...^^
주옥같은 글들이 많이 있는데 여기에 보시면 대물낚시채비에서 멈춤고무의 역활 및 재사용 방법등이 다양하게 나타나 있으니
참조하시구요. 저의 경우는 찌고무를 행낚의 구멍이 큰 유동찌고무를 사용하다보니 아래 위쪽 모두 원형+일자형의 멈춤고무를
각각 2개씩 끼워 사용하고 있답니다. 이렇게 사용하다보니 왠많큼의 강한챔질에도 멈춤고무가 밀리는 현상은 없답니다.
즉 대물낚시에서 멈춤고무의 용도는 별도의 수심측용 보다는 단어의 뜻 그대로 유동찌고무의 유동폭에 대한 멈춤역활에 있다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대물낚시의 수많은 고수분들 중에는 아직까지 이 멈춤고무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면사 또는 초릿실로
매듭을 주어 쓰시는 분들이 많답니다. 참고로 멈춤고무 사용시 처음 원줄에 끼울때는 침 또는 물을 필히 묻혀서 끼우고,
출조시 마다 수심측정할때도 먼저 채비를 물에 담갔다가 올리고 내려야 원줄에 손상(열에 의한)을 입히지 않는답니다.
[낚시로 인하여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추운날씨에 건강에 주의하세요
미흡하나마 제 상식으로 답변 드립니다.
위에 2개의 찌멈춤고무를 끼우는건 첫번째로 수심측정용이 맞습니다.
수심 기억용이라 해야 더 맞는 용어인지도...
두번째는 찌멈춤 고무의 헐거움 보강입니다. 이건 아시니 생략하구요...
낚시를 하다 보면 캐스팅 완료후 입질이 뜸할때
더 나은 포인트가 눈에 확 들어 올때가 생길때가 많습니다.
낚시대를 추가로 펼수 있습니다만, 기존의 대를 옮길때가 많지요.
그러면 당연 수심체크를 다시 해야하는데 제일 위것 하나는 그대로 두고
두번째것만 이동해서 수심을 맞추면 되지요.
다시 원래 포인트로 이동시엔 수심 맞출 필요 없이 두번째 찌 멈춤고무를
첫번째 찌멈춤 고무까지 쫙 올리면 간단하게 끝납니다.
또, 이럴때도 쓰입니다.
현장에 도착해 낚시대 깔기전 먼저 낚시대 한대로 수심을 체크할때 활용합니다.
처음 원하는 지점에 투척해 맨위 멈춤고무로 수심을 맞춘후
다른 지점 여러곳을 투척할때 두번째 멈춤고무로 맞추면 수심 차이를 쉽게 알아 볼수 있다는 겁니다.
강한 챔질시 움직이는 멈춤고무는 찌 밑에 있는 거지요. 그래서 밑에도 멈춤고무를 2개 끼우는 거구요...
위에것은 웬만해선 안 움직입니다.
글이 조잡해 이해가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이상 저의 짧은 상식이었습니다.
궁금해 하시는 윗쪽 초릿대 쪽에 가까운 첫번째 것은 아시는 바와 같이 수심측정용 입니다.
대물낚시에서는 어떨지 모르겠지만, 일반 바닥낚시에서는 중요한 부분이라 생각됩니다. 특히나 양어장 같은 유료터의 경우에서는 활성도가 좋지 않을 경우 찌를 한두마디 올리고 내리고의 운용에 따라 조과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수심측정 방법은,(봉돌이 바닥에 닿아 있다는 전제로 말씀드립니다.)
'기맥힌찌올림'님께서 말씀하신 바와 같으며, 현장에서 찌맞춤을 하기 전에 필히 거쳐야 하는 과정입니다.
1) 찌톱을 어느 정도 내어 놓고 낚시 하실 것인가를 정하신 후 투척하시어 원하시는 찌톱위치를 수면과 일치시킵니다.
2) 예를 들어, 찌톱 한 마디로 정하셨다면, 찌를 초릿대쪽으로 최대한(찌멈춤고무 2번째에 걸려 올라가지 않는 부분까지) 올렸을
때 찌톱을 초릿대쪽으로 세워서 찌톱의 한 마디 부분이 수면(즉, 수심)이므로 그 부분에 1번째의 찌멈춤고무를 위치하게 하
시면 수심측정이 되겠죠.
3) 확인하시는 방법은, 수심측정용 찌멈춤고무의 위치를 위아래로 조금씩 움직여 투척해 보시면 수면과 일치하는 찌톱의 위치가
움직여진 길이 만큼 변화하는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낚시터에 가 보시면 유동채비를 사용하면서도 수심측정은 하지 않거나 대충 하거나 하는 분들을 의외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심지어 어떤 분은 봉돌이 바닥에 안착되었는지 떠 있는지 모르는 분들도 계시더군요. 이럴거라면 굳이 2개의 찌멈춤 고무가 필요없을 겁니다.
결론적으로, 바닥낚시에선 '현장찌맞춤'과 더불어 '수심측정'은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라 생각되며, 채비를 현장상황에 따라 변화를 주며 운용하는데 기본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항상 즐낚하시고 건강하세요.
고수님들이 말씀하셨듯이 수심측정시 찌 멈춤고무를 오르락 내리락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낚시줄과 찌 멈춤고무 사이에 열이 발생하여.. 찌멈춤고무가 찢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즉 예비용으로 보셔도 좋을 듯 합니다..
수심측정용 찌고무에 대해선 위엣분들 많은 답글 주신 그대로 맛습니다..
물론 대물낚시에선 하나만 사용하시는 분이 거의 대부분인걸로 압니다....
대물낚시에선 수심측정용이라기 보단 예비용 또는 주간야간 캐미노출용으로 보시는분도 계십니다..
주간과 아침엔 캐미를 물밖으로 노출시키기고 야간에 물속에 담궈 사용하기 편하게 사용하시는 분도 계시더군요..
떡밥낚시에선 수심측정용으로 반드시 필요하구요..
수심 측정 방법으론 바늘에 지우개 달고 포인트에 투척해서 찌끝이 수심측정고무 제일 윗부분 위치입니다...
개인적으로는 하나만 사용합니다만...
아래쪽 스토퍼는 두개글 권장합니다..
강한챔질시 아주 가끔은 아래쪽 스토퍼가 움직이는 경우가 간혹 있더군요...
위에 찌멈춤 고무는 조금 헐거워져도 유동이 별로 없는 반면...아랫쪽 스토퍼는 강한챔질이 조금 영향을 받습니다..
그래서 두개를 사용하니까 아주 도움이 되더군요..
수심별 조과 탐색할경우에만~ 사용할수있습니다.
하류에서(깊은수심) 상류(얕은수심)로 가야 깊은수심측정후 맨윗 고무는 고정한상태에서 상류 얕은수심대에서 탐색.....
조과에 따라 수심대를 정하는것입니다.
결론은... 중층,전층낚시를 하시는분들에게 맞게됩니다.
한자리에서 가장윗쪽 고무는 바닥층... 아래로는 입질 좋은 수심층을 찾아가며 미끼를 바닥에서 띄우는 겁니다.
대물이나 일반떡밥 낚시에는 유동채비 위치(수심)가 변하지않게 단단히 잡아주는정도로 생각하시면 될듯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