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바늘에 걸려 있는 붕어

밤낚시 도중에 찌도 올리지 않고 총알도 그대로인데도, 미끼를 갈기위해서 대를 거두어들일때보면 붕어가 바늘에 걸려있는경우가 가끔씩 있는데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7치 붕어도 그런경우가 있네요!) 찌는7-8호봉돌의삼나무찌이며,미끼는 캔옥수수2-3개를 주로 사용하는데, 옥수수미끼의 경우에 붕어가 걸려있는 경우가 많은것으로 생각됩니다. 월척회원님들의 많은 지식 부탁합니다!

자동빵 말씀하시는 거 같은 데..^^;;

전 단순히 생각한 부분인데..님이 고민하시는 거 보면 그게 아닌가 봅니다...ㅠ.ㅠ

붕어가 미끼를 흡입시 먹었다 뱉었다 먹었다 뱉었다를 반복하는 움직임을 보여 준다 하더군요.

생미끼의 경우 말입니다.

이럴 경우 바늘이 붕어의 입속으로 들어가고 이물감을 느낀 붕어가 뱉는 과정에서 바늘이 입에 걸리고

놀란 붕어는 달아나고 그래서 총알을 차고...ㅠ.ㅠ

그런 과정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혹은 깊은 흡입이 될 경우에도 삼킬려고 보니..어라 가시가 있네 뱉을 려고 보니 이미 늦어 이동하면서

자연스레 총알이나 브레이크에 고정된 힘으로 인해 자동 후킹이 되어...차고 나가거나..혹은 연안쪽으로 접근하여

그대로 있는 경우가 더러 있었습니다...(사실..자주..ㅠ.ㅠ)

옥수수는 흡입이 용이한 크기이기 때문에 자주 그런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 아닐런지..싶습니다.

사실 저도 옥수수 미끼에 그런 경험이 많았거든요.

이게 아니라면 저두 할말 읍슴다..ㅠ.ㅠ 너무 복잡해져용...
위에분 설명 옳습니다.

또다른 경우일수도 있구요....

사용하시는 채비가 어떤지 몰라도 목줄 길이와도 상관있습니다.

봉돌과 바늘사이 길고(10cm이상) 무거운 채비라면

아마도 붕어입질시 사각지대 때문은 아닐지......

목줄길이 만큼의 여우가생겨 그안에서 만큼은 찌가 올라오지 않습니다.

이런경우라면 붕어가 물고있어도 모름니다.

토종 떡붕어 다 그런경우 있지요.

그냥 제 경험입니다.

참고만 하시길.....^^
전 경력이 얼마 안되서 그러는지..몰라도 ..
그대로 있는 경우는 없었던 거 같습니다..
졸다가 일어나 보면 구석에 쳐박히던지..수초에 감겨 있던가...낚시대 두개가 엉켜 있더군요,,

굳이 그런 비슷한 경험이 있다고 하면......
붕어가 입질이 들어 올때....
챔질도 안하고 그대로 있다 보면,,,붕어가 입속 깊이 물고도 가만히 있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아마도 낚귀님이 말씀하신대로..먹이를 삼키고도...바늘에 대한 이질감을 느끼지 못해서 그런 거 같습니다..

붕어가 바늘을 물고 몇 분 안되었을 경우.. 가끔 있을 수 있는 일 같지만....
장시간 그렇게 있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렇게 있어만 준다면야 너무 고무운 일이죠^^)
미루치님 반갑습니다.

마루치님의 질문을 보면 찌도움직이지 않고 총알도 그대로인데

미끼를 갈려고 보면 붕어가 달려 나오더라...이런 현상은 무엇때문인가? 에대한 질문인거 같습니다.

저도 그런 경험을 한적이 있는데요....

수심 맞출려고 던지는데 찌가 둥둥 떠서 건져 보면 붕어가 딸려 나오고....

또, 찌에 미동도는데 들어보면 고기가 딸려 나오는경우가 있더군요...

붕어는 지렁이든, 떡밥이든, 새우든 이것이 무엇인지는 알지 못하죠...단지, 먹이처럼 보이면 일단 흡입하고 먹을수 없을때는

뱉어내고 먹을수 있으면 으깨어서 먹죠...

빈바늘을 무는 것도 물속에 서서히 가라앉는 물체를 보고 혹시 먹이가 아닐까 하여 본능적으로 물어 보고 뱉어내다가 걸리는 겨우구요....

찌의 미동도 없는데 땡겨보면 고기가 달려 나오는 경우는

붕어가 먹이를 취이할때

대물 찌맞춤상 봉돌이 바닥에 완전히 닿아 있으므로 바늘을 물고 봉돌쪽으로 고개를 들어 움직일때

목줄의 길이 만큼은 붕어가 움직여도 찌에는 나타나지 않는 거지요...이때 챔질을 하면

찌에는 반응이 없고 붕어는 달려나오는 경우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만약, 0점이나 -찌맞춤을 했다면 분명 찌에 어신이 표현되었을꺼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시지요 마루치님.

방금 갓골 늪에 낚시갔다 7~8치 5수 잡아서 메운탕 끓일려고 불올려놓고

컴앞에 앉았습니다. 오늘 님과 같은상황으로 2마리나(ㅋㅋ)낚았길래

댔글 달아봅니다

막 얼음이 녹은 곳에 지렁이 글루텐 짝밥체비로 던져놓고 캔 맥주 한잔까고

밑밥 갈아주러 당기니 한마리 걸려있네요.

밑바늘 지렁이 윗바늘 글루텐 그런데 윗바늘을 물었는데도 찌는 미동도 없더라고요

아마 경사면 놓인 미끼물고 차가운 수온 탓에 먹은 체로 있었는 것 같네요.

된장 고추장 풀고 씨라기에 파 미나리 고춧가루 얼큰 하게풀고

소주 한꼬뿌 할겁니다. 생각 있음 달려 오세요
플라톤님

제가 메운탕하나는 기가차게 끓이글랑요

내년 물가에서 메운탕 대접 한번 할게요
제가 질문하신 분의 의도 파악을 제대로 못 한 듯...--;;;

대의 차고 나감 없이 달린 붕어란 말씀이시였군요..

그렇담...낚시시인님이나 플라톤님 말씀 처럼 목줄의 사각내에서 움직엿단 말씀인데..요...

목줄의 원 반경 그러니까 바닥을 기준으로 봉돌을 원의 중심이라 하여..그 안의 움직임이거나..

약간의 이동이나 찌의 예신이 있었음에..보지 못했을 경우도...

여튼 두분 말씀처럼 목줄의 사각지대일 가능성이...

시기적으로 목줄을 조금은 짧게 매심도 좋을 듯 합니다.

조금은 예민한 채비에 짧은 목줄...^^

설왕설레 합니다. 전 지금 아버님이랑 맥주 한잔 하러..휘리릭...

붕어와춤을님이 쇠주 드신다 하여 낚귀도 가만 있질 못하겄네요..ㅎㅎ
궁금증이 해소되었네요! 대물낚시를 주로 하다보니 목줄의 사각지대를 간과했던것 같군요.
이렇게 댓글을 남겨 주셔서 고맙습니다.
저는 떡밥 낚시 할때는 군계일학 학2와 물방개찌를 씁니다.
채비는 2봉에 좁쌀 분할봉돌.
바늘과 좁쌀의 간격은 3센티.
사각지대가 거의 없는 이 채비도 그러한 현상이 있더군요.
몇번을 경험 했읍니다. 이채비가 아닌 일반 보통 채비에서는 수없이 경험을 햇구요.
그런데 걸려 나오는 고기를 보면은 아주 작은 것들이었읍니다.
붕어가 아니고 붕애라고 해야겠지요. 3치 미만~
제 생각엔 이 작은 고기들이 아마도 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많은 위험을 느끼나 봅니다.
그래서 숨어 잇는것 처럼 미끼를 먹고 이물감에 바늘엔 이미 찔렷고 해서 마냥 있는것이 아닐까 생각 합니다.
대물 낚시에는 전 목줄을 12센티 정도 씁니다.
사각지대~~~ 이것은 저의 생각엔 불필요 하다고 생각 합니다.
붕어가 미끼를 물고 거기서 이탈을 할때에 사각지대 만큼만 행동 하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자기 안방이 아닌 이상에야~ 사람도 가만히 누워 있어도 한곳으로만 있지 않치요.
단차 슬로프 낚시나 내림낚시 같은 경우에는 사각지대를 말할것 같어면 무지 넓지요.
수조통에 채비를 다 같추고 넣어서 바늘을 들어 보면은 찌에 전달하는 시간이 봉돌의 움직임과 같이 동시에 움직입니다.
봉돌의 움직임이 찌에 전달하는 시간차 계산을 할려면 아마도 광학적인 계산이 있어야 할것입니다.
결론은 붕어 마음이라 생각 합니다. ㅎㅎㅎㅎ^^
무거운 찌맛춤은.... 예신이 없습니다. 확인하고싶어도.........

위 질문이 대물낚시가 아닌 떡밥낚시... 것도 겨울철이라면.... 정말~... 답이 없습니다.

조금만깍아도 떡밥풀리면서 뜨고... 다시 편납으로 조금 무겁게....

몇번을 반복하다 최적이다 판단되게 맞춰놓아도.... 떡밥 달아주려 들때 물려있는 상황이란...

결국은 중층으로 띄워놓으니... 빨려들어가는 입질이 미세하게 나타나더군요.

새우나 참붕어 낚시를 띄워놓고 할수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전라도에서 3~4월에 참붕어 띄울낚시를 합니다)

질문하신것처럼 옥수수는 가능합니다.

시험삼아 조금 띄워놓아보세요. 올리는 예신은 아니겠지만.... 확인하실수 있을겁니다.

(캐미고무 하부까지 수면위로 올라온상태에서 봉돌은 띄우고 일부 목줄과 바늘만 바닥에 닿게......)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