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월님들의 가장 이상적인 찌올림 봉돌호수는?

월님들 이제는 바야흐로 내년씨즌을 준비할 시기가 온것같습니다. 오늘 개인 납회준비겸 내년씨즌 준비를 하다보니 바늘도 새로 묶고 찌셋팅도 새로이 하다가 문득 궁금한게 한가지 생겼습니다. 제 개인적인 볼때는 가장 이상적인 찌올림은 해동고리추기준으로 7.5~8호사이로 멋진 찌올림을 많이 보았습니다. 대물찌기준으로 )영점찌맞춤5대 /마이너스찌맞춤5대 /한마디 찌맞춤5대/ 대충찌맞춤 5대/예민한 찌맞춤4대 이렇게 찌맞춤을 셋팅하다보니 월님들께서는 출조시 몇호봉돌에서 가장 이상적인 찌올림을 보셧는지가 갑자기 궁금해졌습니다. 같은 고리봉돌이라도 옛날 생산되었던 고리봉돌과 지금 나오고 있는 고리동볼 무게가 상당히 틀리다는것을 오 늘 발견했습니다. 월님들의 가장 이상적인 찌올림의 보셧던 고리봉돌은 몇호인지요 ?

봉돌의 호수는 의미가 없습니다.
제조사마다 모두 무게가 틀리기 때문이죠. 그람으로 확인하시는게 맞을겁니다.
보통 고리봉돌 9호가 8g정도 나갑니다.
개인적으로 환상의 찌올림은 떡밥용 형태의 긴 찌톱을 가진찌( 총길이 60cm / 부력 7g정도)로 계곡지 수심 3미터권에서
새우 미끼에 받은 입질이었습니다.
밤낚시였으니까 육안으론 1미터가량 찌가 솟는것 같더군요!
찌올림의 멋만 따진다면 고부력 단찌보다는 역시 장찌였습니다.
특별히 봉돌(납추)로 인한 찌올림에 대한 차이는 못느꼈습니다,

다만, 수심 깊은(4m 이상)의 깊은 수심에서 찌가 올때는 숨이 멎는 것 같은 경험은 많이 했습니다.

하다못해 한마디 한마디 찌 올라오는 것이 너무 더디어 깜박 존적도 있습니다.(엄청 졸린 상태였음)
봉돌은 별로 찌올림에 영향은 없으나...
7~8호 봉돌먹는 찌를 가장 좋아라 합니다^^
저한테는 그 정도가 딱인듯 합니다^^
동절기엔 채비를 조금 부드럽게사용하지만
대물하는 저로서는 1년내내 5호원줄사용합니다
찌맟춤과 바늘에서 약간 조정하는것 외에는 별로..
안출하세요
열네치님께 한표 드립니다..
저랑 비슷하시네여..
봉돌무게와 찌올림이 관계가 있나요???
없습니다.
너무 예민하게 부력을 맞추지만 않는다면 관계없습니다.
전 고리봉돌 7호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번 겨울에 조금더 작은 6호 찌를 만들예정입니다
약한부력찌에 무거운 부력맞춤을 한번 해볼 생각중입니다
봉돌의 호수에는 관계가없다 사료됨니다 어떤찌든지 현장찌마춤하시면 최고라생각합니다....바늘.케미빼고 영점맞춤이요 즐겨쓰는 봉돌호수는 7~8호정도 전 장대위주 낚시를 합니다..^^*
주로사용하는 찌의 봉돌은 6~7호 사이인데 어떤 찌마춤이던 붕어 맘인것 같더라고요

허리급도 지저분하게 깔짝깔짝 올려주는놈이 있는가면 6치짜리가 스믈스믈 대물 입질 해주는놈도 있고

낚시를 하면 할수록 찌마춤 참 알다가도 모르겠네요

영점, 마이너스, 플러스, 찌 소재에 따른 찌마춤, 찌고무 및 부자제를 달고 하는 찌마춤등

여러번 시도해봤지만 이제는 그냥 똑같은 찌로 통일해서 똑같은 찌마춤을 해놨네요

다대편성시 다른찌 다른찌마춤을 해보니까 챔질에 있어서 조금 불편함이 없지 않아 있더라고요..

시즌 잘 마무리하세요 회원님들 ^^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