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에관한 문의 입니다.
지역은 경기도 남부권이고
약 2000평정도의 준계곡지형태입니다.
전체적으로 20대 기준으로 2m 이상이며
제방권과 그 좌안은 폭1미터 정도로 수초군이 둘러져있습니다.
제가 워낙 초보인지라 수초이름이 정확치가 않은데요...
뗏장은 확실히 아니고 부들이나 줄풀정도로 추측합니다.
제방 맞은편은 약 50cm의 폭으로 수초군이 형성되있습니다.
그리고 제방 우측이 문제인데
제방에서 가까운부근은 다른지역과 마찬가지로 1미터 정도의 폭으로 수초군.
그리고 조금 상류쪽으로 가면 수초군이 없어지면서 약간 만곡진형태의 지형과
수몰나무 그리고 새물유입구와 모래톱 그리고 다시 수초군 입니다.
수몰나무는 육지쪽에서 물쪽으로 나무가 쓰러져서 약 3m~7m 정도까지
나무의 잔가지들이 전부 수몰돼어있고 수심은 2.5~5m 정도...
그리고 그위쪽의 수초지대는 다른데와는 다르게 폭이 3m 정도 길이가 15~20m 정도..
그리고 제방 좌안이 도로쪽 우안이 산쪽입니다.
저는 주로 수몰나무지역에서 낚시를 합니다.
이유는 그 지역에서 회유를 할때 다른 특이할만한 지형지물이 없기때문에
반드시 수몰나무쪽을 거쳐서 가지않을까 하는생각에서 입니다.
그리고 그위쪽의 수초군도 다른지역과는 다르게 폭이 넓어서 탐이 나긴하지만 그쪽은 자리가 워낙 불편하기에 포기.
질문입니다. 여러분은 어느쪽 자리에서 하시겠습니까?
1.평이하지만 수초가 있는 제방권이나 좌안상류쪽에서한다.
2.수초는 없지만 특이지형인 수몰나무지역에서 한다.
3.자리는 좀 불편해도 수초가 가장 잘 발달한 수몰나무위쪽 수초지역에서 한다.
두번째 질문 입니다.
산란기에 주로 부들이나 갈대등 비교적 대가쎈수초에서 산란을 하고
그 수초들이 있는 수심얕은곳으로 회유를 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리고 수초가 없는 곳이면 수몰나무나 심지어 바위에도 산란을 한다고 들었는데
만약 수심 깊은곳에 적당한 장애물이 있다면 그런곳에서도 산란을 합니까?
그리고 만약 그렇다면
제가 설명드린 저 소류지에서 수초지역에서도 산란을하고 수몰나무쪽에서도 산란을 할까요?
준계곡지 포인트에관한,,,
-
- Hit : 2850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4
좋은 소류지 발견에 감축드립니다.
말씀하신 소류지에 관찰력 높이 평가합니다.
2000평 정도에 소류지라면 말씀하신 포인트 3군대 모두 좋은 자리라 할수있겠습니다.
저라면 비록 자리는 불편하지만 수몰나무와 수초군이 잘형성된 자리를 선택할듯합니다.
자리는 삽으러 조금만 신경쓴다면 문제가 될까요?? 바위나 돌이라면 마대 준비해서 자리만드심 될듯한데요...
두번째 질문에 대한 답은 "러지"님께서 아주 잘알고 계시는것 같아 제가 오히려 배워야할것 같습니다. ^^ 구지 한가지 보태자면 ...
요즘 잡히는 붕어모습을 보자면 아랫배 비늘이 벗겨져 있음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얼마나 비벼됬음 밑이불그스레 하고 비늘이 벗겨지겠습니까. 분명 산란할땐 먼가 장애물이 필요한것을 확인할수 있는 증거입니다. 하지만...
수심이 깊으면 수온상승에 민감한 붕어로썬 산란장소로는 기피할듯합니다. 볕이 잘들고 수온이 잘 오르는 1미터 내외위주에 산란장소를 물색하는 붕어들을 노리셔야 될듯,
산란을 위해 연안으러 나온 붕어보단 산란 전후로 1주일 기간을 두고 낚시를 하시면 아마 좋은 조과가 있을껍니다. 산란하고 있는 소리가 요란하게 들릴땐 낚시가 잘 안되는게 대부분이거든요.이날은 피하심이 ... 변변치 안은 답변에 송구스럽습니다. 즐 낚 하 세 요.
그리고 한가지만요 ^^;; 발견한 소류지에 빠트리지 안아야 할 상황입니다. 동네분에게 물마름이 있었는지를 꼭 확인 해야 믿음이 가겠습니다.
제
방
무
너미 수초군 맹탕 수몰나무 만곡지형 모래톱 새물유입구 맹탕 수초군
이렇습니다.
1m~2m정도 되는 포인트에 갓낚시를 담가 보는것도
좋은 방법인듯 싶습니다
저도 가르쳐 주세요 ㅠㅠ
010-6257-1787
E : naver15y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