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수심이 깊으면 봉돌의 무개는 그리 상관이 없다고 봅니다.
차라리 바늘의 크기를 함 바꿔보세요... 저의경우 입질은 진짜 므찌게 환상적으로
들어오는데 전 챔질을 하면은 빈바늘만 올라오구요 옆에 같이 동행하신 형님은
7치 전후로 해서 다 올라옵니다..... 전 감성돔 6호를 썼구요..
형님은 좀더 큰바늘 늘을 사용했습니다.. (무신 바늘인질 잘 모르겠구요)
그래서 담날 바로 바늘사서 다 바꿨습니다..... ㅋㅋㅋㅋ
아직까지는 붕어들의 활성도가 그리 나쁘진 않기 때문에
좀 더큰바늘을 사용하셔도 무방할듯 싶네요..... 날씨가 좀더 쌀쌀해지면
다시 작은 바늘로 바꿔주시는 센스...ㅎㅎㅎ
대물 하세요.. 그럼
안녕하세요^^; 초보지만 쪼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바라면서..
챔질이 잘 되질 않을때는 쓰시는 바늘 보다 작은 치수의 바늘을 먼저 사용해보심이
맞을꺼 같습니다. 제 경험과 생각이지..바늘이 크다고 후킹이 잘되는건 아니라 봅니다.
먼저 바늘을 작은 치수로 낮춰보시구요.. 챔질을 한단게 빨리 해보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 몸통까지 진행,찌톱이 다올라와서 챔질 했는데도 헛 챔질이면.
좀더 작은 치수 바늘로 똑같은 시기에 해보시고.. 아니면.
찌톱이 몸통까지 올라오기전..솟아오르는 진행 중간에해보심은 어떨까 합니다.
저는 감성돔 5호6호를 쓰는데요..5호가 제일 적당하다 봅니다.
6호는 써보니 큰새우를 달기에는 좋지만. 단점이 좀 있는듯 하더라구요,^^;
초보라 제생각과 경험상 말씀드렸습니다.
챔질 타이밍은 여건상 물속 상황 모두에 따라 틀리다 봅니다.
여러가지 분석해보면 제일 정확한 타이밍이라고 할까요?
때로는 찌가 다올라오고 쓰러질때까지 기다려도 된다..?
다올라와서 끌고 갈때 채면된다.
깜빡깜빡 두번이상 하고 한마디 올라오다 멈췄을때?
올리다가 어느정점에 섯을때,,
등등 여러가지 상황에 따라 틀려지는데'
이런것들 경우는 모두 경험에서 몸소느끼고 경험에 의해 상황에 따라
순간 몸과 마을 판단이 자연스레 생기면 되는것이라 생각합니다.
똑같은 입질이라도 여러대를 펴도 다같을수는 없다 봅니다.
보통 보았을때 찌가 솟아 오르는데.
대부분 입질이 떡밥낚시처럼 찌가 몸통까지 올라온다면,
진행중,,(찌톱이 반이상올라와서 더올라가는 (진행중) 채시면 맞지않나 싶습니다.
찌가 몸통까지 다올라와서 쓰러지고 끌고 간다면 거의 걸려있겠지만.
찌가 몸통까지 올라 왔다하지만. 보통 다른 잡어나 수중 생물체 들이아니라면
그 시기에는 거의가 흡입하고 바늘이 밖으로 빠져나가 뱉어있는 상황이라는데..
100% 맞는건 아닐지라도
모 오랜경험과 노하우로 대물낚시에 자타가 공인하는 분과 챔질 시기의 대해 많이 여쭈어 보았는데,
물론상황에 따라 틀립니다. 하지만 거의가 진행중일때가 가장 적합하다 하시고
저또한 필드에서 그렇게 해서 헛챔질은 거의 없었던거 같습니다.
초보인지라 틀릴수도 있는데 감히 아는데로 적어보았습니다.'
고기가 물어주고 입질이 왔다면 제일 중요한게 챔질이 아닐까 합니다.
윗분들의 말씀도 참고 히시어 즐겁고 좋은 찬스가 왔을때 실수없이
대물한수 하시고 즐낚하시길 바랍니다. 꾸벅!
감성돔 6호 또는 그 이상이라~~~ 그건 바늘이 아니라 무기라는 생각이 드네요...ㅋㅋㅋ 제 생각으로는 맨 먼저 생각해볼건 바늘의 크기라고 봅니다. 큰 바늘에 대물용 미끼를 썼다고해서 잔챙이가 덤비지 않는건 아니거든요. 또 봉돌이 7~8호라도 찌맞춤을 했기때문에 잔챙이라도 찌올리는데는 상관이 없을 듯. 감성돔 5~6호 바늘에 걸맞는 대물이라면 벌써 입질 패턴부터가 다르질 않겠습니까?
훔.... 바늘에 크기는 미끼에 크기와 미끼를 어떻게 끼우느냐에 맞추어야 한다 생각합니다. 엄지손가락만한 큰새우를 등꿰기를 한다고할때는 감성 4~5호가 적당하겠지만, 저 같이 배꿰기를 할경우에는 감성 7~8호까지 씁니다. 빼꿰기에 4~5호를 써보시면 이해가 가실듯~!
저는 활성도가 조금 안좋다 생각될때 감성 7~8호에 배꿰기를 합니다. 좋을때는 4~5호에 등꿰기를 하구여. 개인 차이~~ ^^;
봉돌 7~8호라도 가볍게 맞춘 채비니 잔챙이도 쉽게 올릴수는 있습니다. 이럴때는 좀더 무겁데 좁쌀을 달아주시던지 하시구여.
가벼운 채비에도 입질 형태를 보면 잔챙이인지. 준척이상인지 알수 있습니다. 7치급도 가벼운 채비라 할지라도 입질형태는 제법 느긋하게 올린다고 봅니다. 물론 아닐경우도 있겠지만여..^^;
수심이 깊으면 봉돌의 무개는 그리 상관이 없다고 봅니다.
차라리 바늘의 크기를 함 바꿔보세요... 저의경우 입질은 진짜 므찌게 환상적으로
들어오는데 전 챔질을 하면은 빈바늘만 올라오구요 옆에 같이 동행하신 형님은
7치 전후로 해서 다 올라옵니다..... 전 감성돔 6호를 썼구요..
형님은 좀더 큰바늘 늘을 사용했습니다.. (무신 바늘인질 잘 모르겠구요)
그래서 담날 바로 바늘사서 다 바꿨습니다..... ㅋㅋㅋㅋ
아직까지는 붕어들의 활성도가 그리 나쁘진 않기 때문에
좀 더큰바늘을 사용하셔도 무방할듯 싶네요..... 날씨가 좀더 쌀쌀해지면
다시 작은 바늘로 바꿔주시는 센스...ㅎㅎㅎ
대물 하세요.. 그럼
챔질이 잘 되질 않을때는 쓰시는 바늘 보다 작은 치수의 바늘을 먼저 사용해보심이
맞을꺼 같습니다. 제 경험과 생각이지..바늘이 크다고 후킹이 잘되는건 아니라 봅니다.
먼저 바늘을 작은 치수로 낮춰보시구요.. 챔질을 한단게 빨리 해보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 몸통까지 진행,찌톱이 다올라와서 챔질 했는데도 헛 챔질이면.
좀더 작은 치수 바늘로 똑같은 시기에 해보시고.. 아니면.
찌톱이 몸통까지 올라오기전..솟아오르는 진행 중간에해보심은 어떨까 합니다.
저는 감성돔 5호6호를 쓰는데요..5호가 제일 적당하다 봅니다.
6호는 써보니 큰새우를 달기에는 좋지만. 단점이 좀 있는듯 하더라구요,^^;
초보라 제생각과 경험상 말씀드렸습니다.
챔질 타이밍은 여건상 물속 상황 모두에 따라 틀리다 봅니다.
여러가지 분석해보면 제일 정확한 타이밍이라고 할까요?
때로는 찌가 다올라오고 쓰러질때까지 기다려도 된다..?
다올라와서 끌고 갈때 채면된다.
깜빡깜빡 두번이상 하고 한마디 올라오다 멈췄을때?
올리다가 어느정점에 섯을때,,
등등 여러가지 상황에 따라 틀려지는데'
이런것들 경우는 모두 경험에서 몸소느끼고 경험에 의해 상황에 따라
순간 몸과 마을 판단이 자연스레 생기면 되는것이라 생각합니다.
똑같은 입질이라도 여러대를 펴도 다같을수는 없다 봅니다.
보통 보았을때 찌가 솟아 오르는데.
대부분 입질이 떡밥낚시처럼 찌가 몸통까지 올라온다면,
진행중,,(찌톱이 반이상올라와서 더올라가는 (진행중) 채시면 맞지않나 싶습니다.
찌가 몸통까지 다올라와서 쓰러지고 끌고 간다면 거의 걸려있겠지만.
찌가 몸통까지 올라 왔다하지만. 보통 다른 잡어나 수중 생물체 들이아니라면
그 시기에는 거의가 흡입하고 바늘이 밖으로 빠져나가 뱉어있는 상황이라는데..
100% 맞는건 아닐지라도
모 오랜경험과 노하우로 대물낚시에 자타가 공인하는 분과 챔질 시기의 대해 많이 여쭈어 보았는데,
물론상황에 따라 틀립니다. 하지만 거의가 진행중일때가 가장 적합하다 하시고
저또한 필드에서 그렇게 해서 헛챔질은 거의 없었던거 같습니다.
초보인지라 틀릴수도 있는데 감히 아는데로 적어보았습니다.'
고기가 물어주고 입질이 왔다면 제일 중요한게 챔질이 아닐까 합니다.
윗분들의 말씀도 참고 히시어 즐겁고 좋은 찬스가 왔을때 실수없이
대물한수 하시고 즐낚하시길 바랍니다. 꾸벅!
저는 활성도가 조금 안좋다 생각될때 감성 7~8호에 배꿰기를 합니다. 좋을때는 4~5호에 등꿰기를 하구여. 개인 차이~~ ^^;
봉돌 7~8호라도 가볍게 맞춘 채비니 잔챙이도 쉽게 올릴수는 있습니다. 이럴때는 좀더 무겁데 좁쌀을 달아주시던지 하시구여.
가벼운 채비에도 입질 형태를 보면 잔챙이인지. 준척이상인지 알수 있습니다. 7치급도 가벼운 채비라 할지라도 입질형태는 제법 느긋하게 올린다고 봅니다. 물론 아닐경우도 있겠지만여..^^;
모든분들 워리하나 분양받으시길 빌겠읍니다
감싸ㅡㅡㅡ 꾸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