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2분할채비 비율..

안녕 하세요~원봉돌 채비로 하다가 2분할 채비로 한번 해볼까 해서 공부중 입니다~ 그런데 윗봉돌과 아랫봉돌 비율을 어떻게들 주시는지 궁금 합니다..ㅠㅠ 많은 조언 부탁 드립니다~

2분할이면 좁쌀채비를 말씀하시는 듯 한데요.

본봉돌로 찌몸통 상부와 찌톱이 만나는지점.. 혹은 찌몸통이 살짝 보이게끔 맞추시고

밑에 좁쌀로 찌탑이 내려앉을정도면 되겠습니다.

그다음 케미목이냐 수평이냐는 개인 취향이구요..
원줄에 편납홀드 2개를...물론중간에 멈춤고무2개넣어 분리 조절 하게하구요..

다른분들은 모러겠으나 전 6대4정도로 아래봉돌이 무겁게...장대에만 사용...45대이상만...
말그대로 분할입니다..어렵게 생각하실필요없습니다.
원봉돌이 100%면 2개를 만들어서 50% 50% 씩 하시거나
70% 30% 하셔도 대고요 이것저것 해봐서 본인의 취향에 맞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2:8 이나 3:7 정도에 간격조절이
젤 무난한것 같습니다.
1:9이하는 여러가지 문제가 많아서...
보통 3 대 1 정도가 문안하지 싶은데요
부들과 뗏장사이님의 방법이 맞는듯하네요
저도 그방법으로 이분할 삼분할하거덩요.
좋은정보 잘읽고 갑니다
참조 하겟읍니다
제 경험상 붕어는 부들과 뗏장사이님의 방법으로 하구요. 하부봉돌에는 핀도래를 사용하여 오링을 가감합니다.
잉어는 밑의 봉돌을 좀 더 무겁게 4:6 정도로 맞춥니다.

붕어: 부들과 뗏장사이님의 방법
잉어,향어 : (밑)3:7(위) 또는 4:6 으로 합니다.

제 경험상 비율이구요. 가장 적당한 비율은 본인이 맞춰 가는것이 가장 좋겠죠.
참 전 분할간격을 50cm~70cm 정도 줍니다.
다들 감사 드립니다~ 근데 2:8 3:7 5:5 1:9 등등 여러 말씀이 계신데요..윗봉돌에 무게를 더주시는 말씀 이시죠? 아님 아랫봉돌에 무게를 더주시는 건지... 키큰붕어님 말슴 데로 1:9로 아랫봉돌에 조금 주고 해본 결과 저도 많은 문제점이 있드라구여.. 헛챔질도 많고요..
공갈찌올림님 말씀을 늦게 봤네요^^;; 붕어는 뗏장님의 방법으로 하고 잉어향어는 밑봉돌에 좀더 비율을 주는것이였군요..ㅎㅎ 궁금증이 이제야 풀렸습니다 ㅎㅎ 제가 잉어를 잡는데요.. 스위벨채비로 밑에 비율을 작게 줘서 했다가 낭패를 봐서리.. 모두 정말 감사 드립니다~꾸벅~
헛챔질이 많다면 봉돌간격을 좁혀줘야 합니다. 극단적일 경우 거의 붙을 정도로.... 특히 1:9 정도로 예민하게 한다면 봉돌 간격에 신경 쓰셔야 할 듯합니다.
강태공님 감사 드립니다~간격도 무시 하면 안되겠어요.. 정말 극단 적이면 붙이고 해야 안되겠나 싶네요..ㅎㅎ 입질하는 모습이나
후킹을 해보고 간격도 조절 하면서 해야 겠습니다 ㅎ 고맙습니다~
의견이 다분하시네요
찌톱이 짧은것도 긴것도 따라서 맞추나요
어렵네요
잘배우고 갑니다
분할채비 생각중이었는데

잘 배우고 갑니다

^^ 월님들 498하세요
분할채비는 원줄과 찌선택이 상당히중요합니다
5호~6호찌와 1.5~2호의 원줄을 추천드립니다

찌맞춤은 B봉돌정도 분할로다시고 표준 찌맞춤하시면됩니다
부들과땟장사이님처럼 찌맞춤을하게될경우 원줄이 물속에서U자형태로 가라앉을경우 찌가 한마디정도 가라앉거나 입질시 분할이들려도 본봉돌과 원줄이 찌를누르고있어서 오히려무뎌지거나 아예찌가안올라올수도있습니다 길게늘어진 원줄무게 무시못합니다
그리고 찌맞춤시 바늘은 빼고 하세요 바늘달고찌맞춤시 본봉돌이 바닥에 닿지않고 바늘만닿은상태가되며 내려가는입질이나옵니다 예민한입질받으려 예만하게채비하려다 오히려 낭패를볼수있습니다
자기채비로 완벽하게 만들면 옥내림보다 더 위력적입니다
그리고 간격이 찌톱길이라는것은 찌톱길이보다길면 사선입수가 생깁니다 분할채비의경우 사선입수가되면 수심맞추기도힘들고 안착됐다고해도 얼마후 찌가 입질시처럼 올라옵니다
그건 헛챔질이아니라 사선입수라고 보시면 될껍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