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두 편납홀더는 안쓰는 편인데 댓글이 안달리는것 같아서 일단 찌부력에 따라 달리지겠지요.
대략 편납을 찌부력 보다 무겁게 감고 잘라 내시면서 찌맞춤하시면 되구요. 고부력 찌을 쓰신다면 편납이
너무 두껍게 감겨 보기에도 않좋고 투척시 풀릴수도 있읍니다.
편납도 넓이가 여러종류라 찌부력에 따라 너무 많이 감기지 않도록 맞는 넓이의 편납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요즘은 황동 편납도 나오는것 같은데 편납은 규제한다는 이야기가 있어서 이왕이면 황동편납을 쓰시는것도 좋을것
같네요..
관통홀더를 구입하구요
멈춤고무 2개 관통홀더 멈춤고무2개 끝에는
매듭지시구 도래연결 그리구 낚시바늘
이렇게 사요하시면 평소 찌맞춤하고 사용하시다가 흐름이있는물에는 편납만 추가하시면
바로 중통채비 ㅋㅋ
편납은 접착식으로 사용하구있구요
도움이되셨나요.....
대략 편납을 찌부력 보다 무겁게 감고 잘라 내시면서 찌맞춤하시면 되구요. 고부력 찌을 쓰신다면 편납이
너무 두껍게 감겨 보기에도 않좋고 투척시 풀릴수도 있읍니다.
편납도 넓이가 여러종류라 찌부력에 따라 너무 많이 감기지 않도록 맞는 넓이의 편납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요즘은 황동 편납도 나오는것 같은데 편납은 규제한다는 이야기가 있어서 이왕이면 황동편납을 쓰시는것도 좋을것
같네요..
유동홀더 위쪽에 멈춤고무 한개
아랫쪽에 멈춤고무 두개
이렇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밑에 도래 달아서요
유동홀더랑 도래사이 간격은 그날 입질의 미세한정도에따라 다르게 힙니다
그런데 편납을 얼마만큼 감을 것인가? 하는 문제인데
고리봉돌보다 편납이니다보니 공간이 있고 눈으로 보아서 약간 더 감는다이고
현장 찌 마춤을 하셔야 할 일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