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긴찌와 짧은찌의 차이???

기나긴 겨울 잘 보내고 계시지요? 유독 올해는 더 추워 낚시 엄두도 못내고 있습니다 항상 궁금 했던 점 문의 드립니다. 같은 소재로 만든 긴찌와 짧은찌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1. 찌올림이 찌탑의 길이 만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2. 찌길이만큼 더 멀리 투척 된다. 이외에 다른 차이가 있나요? 근데 왜? 저도 자꾸 긴찌에 손이 가는줄 모르겠습니다

만년대리님의 2가지 외에는
저부력 찌의 경우 찌탑의 길이에 따라 바로 서지 않는 문제가 있을듯 하고요
낚시하면서 넘 신경쓰시지 말고
즐겁게, 넉넉한 마음으로 하시면 건강에도 ++++++++++ 됩니다.
현장 상황에 ( 수심 ) 따라 찌 길이를 달리합니다.

좀 긴찌가 쬠더 올려주겠지요 .ㅎㅎㅎ
특별한 상황이 아니라면

조금 긴 찌 저부력 찌를 선호 합니다
긴찌를 선호하지만 낚시대 길이와

수심에 따라 선택합니다...
1. 찌올림이 찌탑의 길이 만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붕어의 활성도에 따라서 찌올림의 높이가 결정됩니다.
그러나 보통은 긴 찌가 좀 더 높이 올라온다고 봐야지요.


2. 찌길이만큼 더 멀리 투척 된다.

그렇지만 않습니다. 오히려 장애가 될 수 있습니다.
더 멀리 투척에 유리한 찌는 찌 부력에 따라서 달리합니다.

낚싯대의 길이, 수심에 따라서 적절한 길이의 찌가 더 유리합니다.
저같은 경우, 45cm정도를 선호하고 55cm이상의 찌는 사용하지 않는 편입니다.
찌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서 사용하시면 되는 것 아닐까요?

“꾼들의 자존심은 자연환경을 해치지 않습니다.”
1번 찌톱이 길면 몸통까지의 거리 즉,중심점이 먼만큼(찌가늧게 자빠짐)

찌 상승의 희열감을 그만큼 더 맛볼수 있다...


2번 찌톱이 길면 찌무게가 추가되고

공기 저항을 더 받으므로 앞치기에 불리하다..
단,대부분 스윙이나 휘대를 쓴다

찌의 길이에 분류에 있어서

장찌-50~100CM
주용도로는 수심이 매우 깊고 수초가 없는곳 더불어 바닥이 꺠끗하여 찌솓음폭이 큰곳
예를 들면 충주호,계곡지,장대 유료터

중찌-30~40CM
찌톱이 가늘면 떡밥용
찌톱이 굵으면 생미끼 수초 대물용

단찌-25CM미만
수심 50CM이하에 주로 사용
갓낚시,얼음낚시,수초의 작은 구멍을 노릴떄

추가적으로

장찌의 경우
휘둘려치기나,휘대를 이용하여 캐스팅 하므로
앞치기와는 달리 무게가 투척에 도움을 주는 측면이 있고

일반적으로 찌톱이 가벼울수록
당연히 찌상승에 도움을 주나

장찌의 경우

깊은수심,찌톱의 굵기에 따른 시인성,투척과 사용의 편리함에 있어
두껍고 무거운 찌톱의 불리함이 상쇄되고 장소의 특성상 유난히 찌올림이 좋은곳에서 사용하므로
찌톱의 무게에 따른 둔함이 커버된다...로
간단히 정리 해 봅니다

따스한 봄날 대박 나시길..
일단 다른건 잘 모르겠구요..
찌에서 부력을 담당하는 부분이 찌몸통이죠... 케미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물보다 비중이 무겁습니다...
이말은 결국 몸통을 제외한 다른 부분이 커지다 보면 자중 대비 부력에서 손해를 보게 됩니다(자중 대비 부력이 어떤 역활을 하는지는 잘 이해가 안됩니다만 대부분 자중 대비 부력이 큰 찌가 예민하다고들 하시더군요.. ^^:)
고로 다른 분들의 예기를 참고하면 결국 긴 찌는 자중대비 부력에서 손해를 보게 되지요...
그러나 찌가 길게 되면요... 찌의 부력을 담당하는 찌 몸통이 물에 잠기기 시작한 그 이후 부터는 봉돌이 바닥에 닿아서 찌가 완전히 안착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지요... 이말은 찌가 봉돌과 떡밥의 입수 시간을 길게 해준다는 말인데 그렇게 되면 아무래도 찌와 봉돌간의 사선입수 라고들 하시던데 요 부분이 줄어들게 됩니다... 아무래도 찌가 봉돌과 떡밥을 수심 중간에서 잡아주기 때문이죠..
물론 과도하게 길게 되면 오히려 손해를 보게 되는 경우도 생깁니다... 찌 입수 하는 모습을 보면서 떡밥 내려가는 모습을 상상해 보세요 쉽게 이해가 되실겁니다..
나머지 부분은 위에서 다른 분들이 언급하셨기에 패스... 하겠습니다..
1. 찌올림이 찌탑의 길이 만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매번 그렇진 않지만 찌탑이 길면 긴만큼 멋진 찌올림 볼수도 있다고 봅니다..
시흥에 새*낚시공원에서 2 메타에 가까운 장찌(일명 더 더 더 찌?)사용 하시는분들 본적 있는데
제 눈에는 그 찌올림이 환상적으로 보였었고 그래서 한동안 장찌 애용했었습니다..

2. 찌길이만큼 더 멀리 투척 된다. ???

이론상 찌가 길면 투척후 바늘안착 위치가 더 멀다고 알고 있습니다만..
여러 장점,단점이 있으니 수심및 환경, 본인취향에 맞는찌 사용 하심 되겠죠...
저는 저수지,손맛터에서는 보통 60~80 센치 정도의 찌 사용 합니다..
저의 짧은 소견입니다.
저는 45~50센치(찌길이),영남추5~6호정도부력의 찌를 선호하고 사용중입니다.
제가 느낀바로는 찌톱이 길면 대체적으로 찌올림이 좀 더 올라오는것 같습니다.(항상 그런건 아닙니다)
저는 고정찌채비 사용합니다.그래서 수면위에 똑같이 케미부분만 나오게 한다면
긴찌가 같은길이의 낚시대,같은수심일경우에는 짧은찌보다는 좀더 나아갑니다.
항상 월척은 정확한 답변으로 궁금점을해소해주시네요.
항상 건강한 낚시 즐기시기 바랍니다.
그림 처럼 멋지고 긴 찌 올림을 보고자 꾼들은 긴찌를 선호하게 되는거고요..

수심이 낮거나 장애물이 많은 곳에서는 긴찌 올림을 보고 싶지만

여러가지 불편 사항 때문에 짧은찌를 선택하게 되는 이치입니다.
1)깊은 수심에는 짧은 찌를 사용할 수 있지만,
얕은 수심에는 긴찌를 사용하지 못하는 점이 있습니다.

2)짧은찌는 수초구멍이나 건너편 수초언저리(가장자리)에 최대한 가까이 붙일 수 있지만,
긴찌는 곤란합니다.

3)붕어의 시원한 입질일 경우 짧은찌는 빠르게 오르고 찌길이에 한정되는 올림이지만,
긴찌는 천천히 길게 올려줍니다(찌맛이 환상적임)

따라서 특별한 경우(50cm이내 수심)를 제외하고는 긴찌를 선호합니다.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긴찌를 사용해야 합니다.
입질에 챔질찬스를 짧은찌는 못찾아서 찌가 드러눕고 지*합니다.
3-4미터정도 수심되면 감당안됨니다. 1미터 이상 넘어가면 긴찌로 가야 할듯 합니다.
낚시대의 길이에 따른 찌의 선택이 중요합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