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대물낚시 바닥낚시 찌 채비문의

오늘알앗습니다 대물찌는 30센티정도로 짧아 수심이 얕고 장대를 쓴다는거요 헌데 전 떡밥용 찌를 달아 찌가 긴편입니다 한 45센티 내외 긴찌로는 대물 낚시못하나요 아님 대물낚시 하려면 찌를 모두 대물찌로 바꿔야 하나요 전 /떡밥 낚시도 하고 외바늘 달아 장대로 생미끼 달아쓰기도 합니다 떡밥채비로는 대물낚시 못하나요 2번째 질문은요 대물낚시는 꼭 수심이 얕은곳만 선정하여 장대로 낚시하는 건가요 수심이 깊은곳은 대물낚시 못하는 건가요 대물낚시도 하고 떡밥낚시도 가능한 찌는 없는건가요

굳이 못할 이유는 없습니다

다만 장찌에 비해 단찌가 수초구멍이나 연밭 투척시 조금 유리할 뿐이죠.

대물낚시는 모든 조건을 무시합니다 심지어 찌맞춤까지도...그래서 아마 꽝이 많은것 같습니다.
저는 찌를30cm 이하를 쓰다가 요즘은 35~40cm를 사용합니다...
35cm 정도면 적당한 거 같습니다...
대물찌가 짧은 이유 중에 하나는 보통 낮은 수심에서 낚시를 하고, 수초 근처에서 낚시를 하기때문에 튼튼함을 위해서라고 알고 있습니다..
1.찌길이가길어도상관없습니다
다만 수초 마름 구멍치기 보다효과적으로찌를 세우기목적입니다
전 45CM로 잘만합니다 찌올림도 멋지게합니다 떡밥찌라고 하지말란법없습니다
2.때에따라 깊은수심 즉 하류권이나 제방권도 대물낚시하셔도됩니다
그리고 제가아무리 이찌 저찌써보아도 거기서거기 입니다 자기한데맞는 낚시스타일하시는게 좋아요
수초가 빼곡한 곳이 아니면 장찌를 사용하셔도 괜찮습니다.
수초대에서는 찌가 수초에 걸려서 제대로 일어나지 못 하기에 짧은 찌를 사용하는 겁니다.
장찌 사용에 장애가 없다면 가능하면 긴 찌가 좋겠죠, 찌올림이...
또한 내구성도 아무래도 단찌가 더 튼튼합니다.
수초대에서 장찌는 파손되기 쉽습니다.
윗 분들 말씀에 하나 더하자면

극저수심 50cm 이하 수심에서 찌를 새워야할 경우

장찌의 경우 찌가 봉돌에 다아도 새울수가 업조

대물낚시라고해서 꼭 단찌만 사용하는 것이 아닙니다

장찌를 사용하다 저수심에서 단찌로 갈아탈 경우 부력 조정하기 귀찬고 하니

단찌로 통일하면 깊은 수심이든 낮은 수심이든 부력 조정없이 사용하기 편하기땜시 단찌를 선호하는 편이조
진짜 이것저것 다 훌터봐도 어렵네요 ㅠㅠ
하루살이님 그럼 32에서 40대 까지도 약 35센티에서 40짜리 써도 무방한가요 만약 수심이 깊은곳
이라면 찌가 입질을 잘못받을수도 잇지않나요
깊은수심 단찌 전혀상관없습니다...
저는 16대부터~4.8칸까지 전부 30쎈티짜리찌씁니다..
보통대물낚시는 깊은수심대 보단 얕은수심대를선호합니다
물론 때에 따라서 배수기나 저수온기나 이럴때는 깊은곳을선호합니다
찌가 길면 수초에 많이 걸리죠 그렇다고 짧은단찌로 바꾸실필요없습니다
에스고리 낚시방가면 엄청 싸게팔죠 보통 원줄과찌를잡아주는역활을합니다 장착도 쉽고 해체도쉽습니다
허나 수심이너무얕은곳에서는 긴찌들은 무리가좀있습니다
대물낚시를하면서 짧은찌경우 찌가간신히스는곳에서도 월척이 나옵니다...
그런경우를제외하고는 전혀 상관없습니다
그럼 동절기 말고 하절기나 봄에는 얕은 수심을 공략해야 하나요 꼭 대물낚시 말구 떡밥낚시도요
하절기나 봄에는 깊은수심은 포인트가 안좋은가요
장대낚시를 하시는 분들을 보면

낚시대길이가 최하 6칸부터 사용합니다

이분들이 장대를 하는 이유가 대가 길어 폼나서가 아닙니다

장대낚시의 묘미는 *장찌* 이넘의 찌올림이조 ^^

30cm 짜리 단찌가 몸통까지 올라오는 입질이라고 해봐야 (절반이 올라온다는 가정하에)

끽해야 15cm 올라오조

1.5m 짜리 장찌를 사용하면 !!!???

쭈 ~~~~~ 우~~~~~ 욱

찌 올라옴이 예술이조 ^^
(밤에 보면 진짜 예술입니다 )

대물낚시라고 해서 " 단찌에 무식하리만치 무거운 채비"가 정답은 아닙니다

어신을 정확히 읽을수 있는 길이

수조에 걸리지 안고 일어설수 있는 방법

수초를 뚤고 바닥에 봉돌을 안착 시킬고

잔챙이가 들이대도 자리를 지켜주는 채비

결론 단찌를 사용하면 깊은 수심이든 얕은 수심이든 중우한 찌올리만 없을뿐

낚시를 하는것은 같읍니다

장찌 필요 수만 큼 + 단찌 필요 수만큼 = 가격 부담

귀찬이즘을 커버 하신다면 필요에 딸아서 사용하셔도

전 가격도 부담이고 귀찬이즘도 있고해서 29cm 짤 단찌로 ^^
일단낚시하고자 하는 저수지를 설명을해주셔야합니다 수로형인지 저수지인지를요 ^^
일단저수지든수로든 여건이 중요하겠죠..떡밥이라고 얕은수심깊은수심 딱히 정해진건없습니다..
앞전에말씀드렸다시피 선호를 많이하는편이지 여름이라고 얕은수심 동절기라고 깊은수심 이건 아니구요 ^^
대물낚시하시는분들의 대중성을 말씀드린것입니다
산란전이라면 얕은수심대가 유리하고요...물론정답은아닙니다
떡밥낚시도 수초가있는 얕은곳을공략해서 월척급이상 낚는경우도많고요.경험도했습니다.그리고 물색이 좋아야겠구요 물색이맑으면 붕어들은경계심을갖고 접근을꺼려하게됩니다..물색은 미숫가루를 풀어놓은듯한 뿌연색을 최고로칩니다 물색이맑으면 낮낚시는힘듭니다 낮낚시를하실려면 깊은수심대..밤낚시에는 물색이 맑아도 어둠기때문에 붕어들이경계심을 풀고 먹이활동하러나옵니다
여기서 얕은수심대라하면 수초가있는 보~통 상류 로 구분이되겠죠 물론중류 하류에도 수초는있지만 얕은상류를많이 노립니다
수초라하면 붕어들이 몸을비빌수있는 정수 수초가 좋고요.갈대.부틀.줄풀등등이되겠죠
허접한 답변이도움이되셨을려나 모르겠습니다...그럼 홧팅하세여^^
여름이라고 얕은 곳이 정답이 아닙니다

물이 너무 더우면 고기는 시원한 곳으로 숨고

너무 차면 따스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낚시에서 정답은 없읍니다

물색이 아주 맑고 수심이 엄청 깊고 직벽형 계곡지에서

붕어가 먹이 활동을 하는 밤에 수심 1~2미터권 벽을 타고 찌를 새우는 같낚시도 있읍니다

확실한건 잛은대로 얕은 곳을 노리시면 소음에 아주 주의를 하셔아 한다는 것

물이 맑으면 고기가 더 예민하다는 것
어떤 찌로 어떤 낚시를 하냐 보다는
어떤 상황에서 어떤 찌를 쓰느냐를 인지 하시는게 맞을것 같내요.

찌는 부력만 맞는다면 어떤 스타일이건 표현을 하지요.
다만 얼마나 적절한 채비 운영을 하느냐가 중요 합니다.

싸이트에 고수님들 자료가 많이 있으니 참고 하시는것도 많은 도움이 되실겁니다.
쉽게말씀드릴깨요 대물의경우 장애물(부들,연,갈대,정수초)를 끼고 많이들하심니다 장찌의경우 좁은구멍에 세우기가 힘듭니다
또한 저수심에서 찌표현력또한 떨어집니다.. 보통수평마춤을하시는데 5목씩올라와있다면 그만큼 이물감은 클수밖에 없겟지요?
저또한 얕은곳은 30겨우나오는 그런구멍에 찌세우곤 합니다.. 이런 접시물에서 덩어리만나기도 했구요.
그래도 계곡지 깊은곳에서 걸어내는 손맛은 예술이더라구요 ^^ 이런계곡지에선 장찌의 끝없는 찌올림이 보고싶기도합니다 ..
교환의 귀차니즘으로인해 30센티짜리 찌로 통일해놧네요 ㅎㅎ 16~44까지.. 모두 동일합니다.. 짧은찌라고 깊은계곡지에서 찌올림이 나쁜건 아니거등요 ^^
긴찌라면 찌목에 줄잡이 하나 붙여서 사용하세요
줄잡이에 줄걸면 수초찌로 빼면 일반찌로 사용가능합니다.
대물찌가 짧은 이유 -> 50~80센치 내외의 얕은 수심을 주로 공략하기 때문
대물찌가 두껍고 튼튼한 이유 -> 주로 수초밭을 공략하기 때문

수심 얕은 수초밭이 아니면 대물이 안나오느냐? 나옵니다.
어떤 낚시터에서는 2~3미터 수심에서 대물이 나오는 곳도 있습니다.
다만 전반적으로 평균적으로 치자면 깊은 맹탕 포인트가 얕은 수초포인트 보다는 대물이 덜 나옵니다.
수초 구멍이 아닌 수초대 언저리의 1미터 정도의 수심을 노리신다면 45센치 정도의 일반찌로도 불편함이 없겠습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