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바닥낚시 하는데 미끼에 궁금한게 있어서요

보통 짝밥쓸때 떡밥 지렁이 쓰시잖아요 떡밥 글루텐이나 근데 왜 새우는 외바늘만 하나요? 새우 + 지렁이 / 새우 + 떡밥 / 새우 + 글루텐 이렇게 짝밥 쓰시는분 없으신가요? 그냥 항상 낚시하다 궁금해서 여쭤보네요 전 5대 피면 2대 새우 3대 떡밥 + 지렁이or글루텐 으루 짝밥쓰는데 새우 짝밥 안쓰는 이유가 너무 궁금합니다 ㅠ-ㅜ

짧은생각으로는...짝밥은 잔챙이들이꼬이니.. 새우외바늘은 대물잡으려고 쓰는것같아요..
새우시에 외바늘만 ? ..ㅡ_ㅡ;; 이 내용이 조금 이해가 안됩니다. 채비의 방법의 차이일뿐입니다. 새우도 이봉채비시엔
떡밥과 새우를 같이 쓰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이봉는 기본적으로 떡밥이 집어용으로 새우,글루텐,지렁이 등이 입질용으로 들어가는 채비입니다.그러나 단점이 있다면 대물 낚시시에 여러 잡어 들이 떡밥에 의해 꼬이는 현상 ... 다대 편성이라 그런 입질 보고 있자면 상당히 힘든 낚시가 됩니다. 그래서 보통 대물시에 이봉채비에는 두개 바늘에 전부 잡어가 꼬이지 않게 할수 있도록 새우 + 글루텐 , 글루텐 +글루텐 , 지렁이 + 글루텐 등 여러가지 조합으로 이용하기도 합니다.
새우시에 외바늘?....-_-그런 단정은 없습니다. 다만 어떤 미끼를 사용하더라도 외바늘시에 미끼의 바닥 착지및 정확한 입질 표현,
챔질 시나 고기를 걸고 댕기는 과정중에 다른 장애물에 걸려버리거나 감아 버리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정통 바닥 대물 낚시 시엔 외바늘 선호 현상이 생기기도 합니다. 허나 요즘은 방랑자채비 및 일학 채비 , 호리병 채비 , 슬러프 등 여러가지 대물 채비가 있는것도 참고 !!! 짧은 소견 입니다 ㅠ_ㅠ
새우미끼라서 하나만 쓴다기보다는
외바늘로 수초대를 노리는 대물낚시에서 새우를 많이 쓰기때문에
새우는 짝밥으로 안쓴다는 오해가 생기신듯 합니다
지금도 새우와 떡밥 짝밥으로 쓰시는 분들 많습니다
음성의 모란지같은 경우엔 한때 새우짝밥이 공식 애용미끼였기도 합니다
다만 새우를 짝밥으로 쓸땐 집어개념으로 빨리 풀어지는 떡밥이 아니면
입질올땐 대부분 떡밥 물고 나오더군요
처음 참붕어 미끼를 사용할때가 생각나는군요
떡밥 낚시만 할때여서 찌도 예민하게 맞추고 했는데 채집된 참붕어가 있어 한번 사용해봤죠 입질도 없고 좀 지루한 낚시였거든요
입수시키자마자 잔챙이 입질처럼 계속 찌는 깔딱거렸습니다...음..활성도 살아 나는건가?
하지만 본신없는 꾸준한 잔챙이 입질 회수했다 다시 넣어도 상황은 같은 결과
원인은 미끼로 쓴 참붕어가 문제였더군요
그래서 강하고 간결하게 딱밤한대 때리고 투척했더니 그담부터 찌는 말뚝 ;;

그때 느낀게 새우와 참붕어를 미끼로 쓰시는분들이 왜 풍덩채비를 하는지 알겠더라구요.
대부분 대물낚시 하시는분들이 수초를 많이 끼고 하는데 외바늘 쓰는 이유는 붕어를 걸었을때 빈바늘이 수초에 걸려 제압이 힘들기 때문이 아닌가 봅니다. 추가적으로 찌오름이 지져분하거나 목줄꼬임등 여러 이유가 있다고 봅니다.
새우 +떡밥 안쓰는 이유는 가지 각색이지만,,,
떡밥은 자주 갈아조야 한다는 문제가
새우는 한번 집어너면 세월아~~네월아 기다림일듯합니다
수초지대는 새우 외바늘 채비가 대세구요.

맹탕에서는 새우+떡밥 낚시 많이 합니다.

집어제로 떡밥을 쓰겠죠.

새우+글루텐 새우+지렁이 미끼 쓰시는 분은 거의 없습니다.

굳이 두바늘 다 입질용으로 쓸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