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분납채비..문의드립니다.

떡밥낚시를 주로하며 찌올림,찌입수를 굉장히 중요시하는 스타일입니다. 꽝치는줄 알면서도 찌입수보러 낚시갈때도 있구요.. 각설하고 질문드립니다. 분납을 배워볼려 하는데,채비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본봉돌과의 간격은? 찌맞춤은어떻게? 7호봉돌인경우 분납과 본봉돌의 비율은? 찌맞춤시 깎는다면 본봉돌을 깎는지? 본봉돌밑에 스위벨을 달면 괜찮은지? 넘 궁금한게 많네요. 고수분들의 많은 가르침 기다립니다. 늘 즐거운 일만이 생기기를...

본봉돌과 스위벨사이는 10CM 정도면 됩니다.
가능하면 본봉돌을 구멍 봉돌을 이용하시면
스위벨과 간격을 자유로이 조정할수 잇습니다..
떡밥낚시의 경우는 저부력찌에
봉돌과 스위벨이 15cm정도로 하시고 납봉돌(본봉돌)을 깍아 냅니다.
조금 마이너스 채비(케미가 조금 나오게)이때 바늘은 달지 않습니다.
떡밥의 경우는 스위벨 3호 이내것을 사용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봉돌과 스위벨 묵음줄은 일요낚시에서 판매하는
비선1호줄 이면 아주 강한채비 입니다.줄이 조금 고가 입니다 30m에 18.000원
본봉돌과 분할봉돌의 차이는 3:7정도로하면 가장 이상적인것 같네요
제가 질문이 넘 중구난방이다보니 혼선이좀 있네요. 지금 현재 스위벨 사용중이고요. 스위벨방법을 묻는게아니라, 본봉돌위로 원줄에 유동봉돌이나 편납을다는 방법이 알고 싶거든요.
지호아빠님! 3대7이라면 본봉돌이 3이란 말씀인가요? 찌맞춤시 윗봉돌은 놔두고 본봉돌을 깎는가요?
본봉돌위 유동봉돌을 찌몸통살짝보이게 마추시고 본봉돌로 수평맞춤이나등등 원하는 찌맞춤하시면됩니다 본봉돌과유동봉돌 간격은 보통30센티인데 입질이 약할시 전60까지 유동줍니다
윗봉돌 먼저깍고 아랫봉돌깍아요 비율은 그냥 무시하시고 이방법대로하심됩니다 이님 나루예 홈피 일미터 찌 창공2동영상보시 면 자세히나와있어요
최상은 아랫 봉돌이 찌탑을 상쇄하는 정도의 무게면 좋습니다
하지만 잘못하면 너무 아래 봉돌이 가벼워서 안정감이 떨어질수 있기때문에 본봉돌과 아랫봉돌의 비례를 7대3이나 8대2의 비율로 사용을 많이하지요
이 상태에서 아랫봉돌은 그냥 두시고 윗봉돌을 깍으면서 찌맞춤을 하면 됩니다
직접해보고 느끼는게 빠르겠네요.
답변주신 횐님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유동봉돌로 찌를 세우기만 할정도로 무게를 맞추구요
아랫 고정봉돌로 찌맞춤을 하면 되는걸로 압니다.
찌 입수와 올림만을 보기 위한 채비로는 하셔도 좋을거 같으나.
각 양어장과 각 노지 각 특성에 따라서 그런채비가 독이될수도 있다는건 아시겠지요
아랫봉돌이 쉽게 들어올려지기 때문에 본입질이 아닌 예신에 헛챔질을 할수도 있구요

여튼 찌올림을 위해서라면 괜찮을거 같네요
개인적으론..튜닝의 끝은 순정이라지요.
원봉돌로도 무난한 찌올림 볼수 있고 입질 분별하기도 좋고
채비 분실했을경우에 복구 하기도 쉽고..

그냥저냥 제 생각입니다.
저도 현재 분할채비를 사용합니다.

1. 주로사용하는 찌의 부력을 알아야합니다.(몇호 또는 몇푼~~)
2. 찌 부력에 맞춰서 노지든 양어장 대략 3:7 ~ 4:6정도 조정해서 씁니다.
3. 롤링스위벨, 일*스위벨 이있는데요.. 전 핀도래 핀 제거후 그 도래 사용합니다.(두리뭉실 하이 괜춘해서요..)
핀은 링(소, 중, 대)을 추가하기위한 목적으로 다시는데 전 그냥 편납약간 뜯어서 감아줍니다.(개인적인 방법입니다.
낚시줄에 매듭을 최소한으로 하기위해서요..초릿대 1, 아랫봉돌 1 총 2군대만 매듭이 생깁니다.)
(일*스위벨은 경남지방에 찾기 힘들어서 인터넷 주문하면 배보다 배꼽이 더크다는..ㅎㅎ 그렇다고 대량 구매할 수도 없고)
4. 본 봉돌은 편납을 씁니다. 부력조정 정말 편해서요.(손으로 뜯어 씁니다..ㅎㅎ)
특히 관통형 편납홀도를 쓰고 스토퍼를 이용해서 봉돌간 간격을 내맘대로 조정해서씁니다.(단점 : 목줄개념이 없어집니다..)
양어장 10~13cm, 노지 7~10cm 정도.. (대충 중지 길이를 숙지하고 있어서 중지 아래 손금가지 저는 10cm 나오드라구요.ㅎㅎ)
* 참고로 부력조정시 바늘 없이 부력 맞추시면 되구요..(바늘 호수 상관없이 아랫 봉돌이 바닥에 닿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한마리학레져 싸이트 찾아 동영상자료 보시면 설명도 자세하게 친절히 설명하시드라고요..
저두 거의 매일 보고 있습니다. 본거 또 보고, 본거 또 보고 혹시 응용할수 없을까? 좀더 편한방법 없을까?하고요..^^
일딴 분할채비 변경후 예민해 졌다는것을 느끼고 있습니다. 조과의 차이도 있구요.
저도 초보지만 목줄길이든.. 봉돌 분납 기준이든.. 이것저것 해보시고
자신의 기준을 잡는것이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다른 월님들의 지식과 정보 잘참고해 보시고.. 님께 꼭 맞는 채비법 찾으시길 바래봅니다..
웁쓰님 한마리학레져 사이트 검색이 않되는데
사이트 주소 좀 알려 주실수 있나요.
http://www.ilhak.co.kr/ <== 요기입니다. 한마리학레져 입니다. <br/>
"낚시교실" 가보시면 동영상으로 준비물 부터 채비하는법 찌맛춤법 등등..... (제품선전까지.. ㅎㅎ ^^;;)

업로드 잘 해놨습니다. 제가 하루에 한번씩은 꼭 봅니다.. 이래저래 공부중입니다.. ㅎㅎ
아~~~
군계 일학 이군요...
웁쓰님 감사드립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