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수심 3~4m 정도되는 급심 계곡지는 데체 어떻게 공략해야하나요?ㅎ

보통 계곡지마다 수심 3~4m되는 급심지역이 많은데요... 찌가 거의 초릿대에 붙어있던데 제가 이런 포인트에서 고기를 지금까지 제대로 잡아본적이 없습니다 ㅎㅎ 간혹 낱마리로 2~3마리정도 잡곤 하는데요... 미끼는 떡밥과 옥수수를 사용합니다... 이런 포인트는 원래 입질받기 힘드나요? 어떤식으로 극복해야 좋을까요?

정면은 짧은대... 양가쪽으로는 조금 긴대로... 갓낚시 위주로 공략해보시지요...아무래도 수심깊은곳은 좀 불리하지 싶습니다... ^^
연안에서 길게 암반이 이어졌거나 큰 바윗돌이 바닥에 많아 빠가나 메기가 드문드문 나올 자리라면 모를까 계곡지일지라도 급심 3~4m는 될 수 있으면 피하는 편입니다.
급심 3~4m를 이루다가 2.5m 정도로 수심이 낮아지는 턱이 진 자리나 좌측이건 우측이건 수심 1m 정도로 낮은 곳이 있다가, 다시 급심지대로 연결되는 곳을 주로 노리는 편입니다.
아예 수위가 3~5m 정도 낮아져 홈통이 수심 3~4m 정도로 유지될 때는 4.0칸 장대 초릿대 수심에도 고기가 줄줄이 물고 올라오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만...

계곡지를 가뭄 때문에 상류를 준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5~2m 정도 수심이던 곳이 4~5m로 급심을 이루게 되면 붕어도 쉬 연안으로 접근을 하지 않아 포인트 잡는데 정말 애를 먹습니다.
그래도 제방 양끝은 3~5m 급심대라도 고기가 붙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6월달인가 계곡지를 갔었는데 그곳은 급경사로 정면으로 36대도 찌를 못세울 정도로 깊더군요.
좌우측 두대씩 1~1.5미터권에 맞추고 중간중간 대각으로 4미터 이내로 대를 편성 했는데
옥수수 미끼로 좌우측 1.5미터 이내에서만 입질 들어오더라구요.
7~8치로 8수 했는데 물이 빠진 상태에서도 수심 깊은곳보다 낮은쪽에서 먹이활동을 하나봅니다.
깊은곳에선 미세한 움직임만 있을뿐 입질다운 입질은 못보고 왔네요.
직벽인가요?
만일 전체가 수심이 너무 깊은 경우 찌를 최대한 직벽에 가깝게 붙여 보세요.
참조하실 것은 떡밥낚시인 경우에 한합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