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유동찌 형태에따라 입수 속도가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초보조사입니다. 다름이 아니옵고 유동채비 사용시 제대로 찌맞춤을 했다 가정하고 찌의 형태에따라 입수속도 차이가 큰지 알고 싶습니다. 예전 고정찌의 경우 입수속도를 보고 어느정도 파악을 했었는데 유동찌의 경우 입수속도가 빨라 찌맞춤을 제대로 한건지 불안감이 없어지질 않습니다. 가르침을 내려주십시오 참고로 찌는 나루예 앵두를 사용합니다!! 감사합니다~

유동찌는 유동간격에 따라 찌내림이 달라질수 있고..
말씀하신대로 찌 형태에 따라서 달라질수 있고..
찌 맞춤에 따라서도 달라질수 있습니다.

고정찌일대는 입수속도를 보고 판단하셨다면
유동간격없이 고정찌처럼 딱 붙여서 입수속도 보시고, 판단하시고, 조정하시고
유동간격을 주면 되는거 아닌가요?
유동찌에 장점이 사선입수 줄이고 고정찌처럼도 쓸수 있고 야간에는 랜턴없이 바늘 잡기도 편하고 머 그런걸로 알구 있는데
질문자의 의도를 잘 모르겠네요^^

참고로 고정찌나 유동찌나 찌 내려가는건 차이가 없는데 ^^
안출하세요
수심이나 물온도에 따라 차이가 나는걸로 아는데요~~^^;

고수님께 패스~~~
유동이냐 고정이냐에 따라 입수속도가 크게 달라지지 않습니다.
다만 입수하기 전의 과정이 차이가 있어 그렇게 착각 하시는 것 같습니다.
고정의 경우 찌가 누워서 한참 있다가 일어서며 내려가는 경우를
유동의 경우 일어서서 앞으로 끌려 오다가 어느 지점에서 정지하며 내려가는 경우와
이 정지점을 기준으로 비교하시면 입수속도의 차이가 거의 없을겁니다.

막대찌와 다루마찌간에는 입수 속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동일찌를 유동으로 하건 고정으로 하건 실제 입수속도는 크게 차이나지 않습니다.
고정찌와 유동찌는 당연히 차이가 있습니다.
고정찌 같은 경우는 투척시에 수면에 입수되는 봉돌과 함께 원줄을 같이타고(?)찌가 내려가면서 안착이 되는 반면에
유동찌 같은 경우는 찌의 활동반경이 최소180도이상이 되므로 봉돌이 내려가면 찌의 부력과 중력에 의해서 빠르게 서는 것이죠.
그래서 유동찌를 달고 투척을 해보면 봉돌이 수면에 다으면서 다음으로 찌가 서고 그리고 안착과 동시에 찌맞춤했던 찌높이에 안착을 하죠.이런 차이점입니다.
찌 맞춤을 정확히 하셨다는 가정하에 약간의 속도차이를 눈에 익히시면 되실듯 하네요 ^^;
일반적으로 떡밥낚시에서 다루마형 (몸통 둥근형)을 사용하는 이유는 채비 정렬시 수직 입수에 약간이나마 도움이 되기 때문이기도합니다.

콩알 낚시나 글루탄 외바늘 낚시등.. 집어제를 달지 않고 낚시하면 미끼 무게가 가벼워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집어제를 크게 달고 풀 케스팅하면 미끼가 바닥에 안착될때 찌가 잡아주질 못하기 때문에 사선 입수가 심하게됩니다.

실제로 같은 낚시대에 갈대찌와 같이 가늘고 부력이 낮은 찌레 집어제 크게 달아서 케스팅 하면
빈 바늘 던졌을때보다 찌가 많이 잠기는걸 볼수 있어요. 수심에 따라 틀리지만.. 이게 사선 입수가 심하게 된겁니다
미끼가 무거워 사선입수가 심하게 되는게 당연합니다만
찌의 형태나, 유동을 사용하고 않하고에 따라 이런 사선 입수 정도가 틀려지는걸 쉽게 확인할 수있습니다

둥근형 부력이 좀 있는 찌를 사용하거나, 유동 채비를 사용하면 이런 사선 입수가 많이 줄어드는걸 볼수 있습니다

사선 입수는 몇가지 방법으로 많이 줄일수 있지만.. 위에 말씀드린것은 그냥 풀 케스팅 했을때의 증상을 말씀드린거에요

이런 증상으로 볼때 아마도 찌의 형태나 유통 채비가 바늘(미끼)가 내려가는 시간에 약간이나마 영향을 주기 때문인것 같습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