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바닥낚시 시작한지 얼마안됐습니다.
채비는 일반 이봉채비쓰고요
군계일학 동영상 보면은 수심측정시 찌톱의 반정도로 보고 하라고 했는데..
이유가 있는건가요?
수심측정을 찌톱과 수면일치로 하면 찌고무위치가 정확한 수심이아닌가 하는 생각도 드는데..
현장가면 수심측정이 젤먼저인가요? 찌맞춤이 먼저인가요?ㅠ
동영상에서도 어려우면 그냥 외우래서 그냥 적어놓긴했는데.. 이해도 하고싶어요..ㅠ
수심측정 질문드려요
-
- Hit : 4860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4
원봉돌 바닥낚시와는 채비가 조금 다릅니다. 바닥낚시에서는 찌톱 한마디 정도로만 맞추면 수심측정이 완료됐다 할수 있습니다. 그 상태에서 미끼 끼우시고 낚시 하셔도 됩니다. 더이상의 설명은 고수님들께 패쓰요~ 즐낚하세요~
다만, 수심측정 후 찌맞춤을 해야 하기에 그렇다고 볼 수 있겠는데,
스위벨채비의 특성상 찌탑 반정도 나오게끔 수심측정 하고 찌를 맞추면 보다 편한함이 있어 그렇게 말씀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즉, 스위벨은 수심 맞추고, 본봉돌을 가감하여 케미 절반이 보이게 하든, 2/3가 보이게 하든...
줄의 두께와 종류에 따라 상황에 맞게 찌맞춤을 한 후 한두목 정도 찌탑을 내어 놓고 낚시를 하게 됩니다.
모든 찌맞춤이 마찬가지겠으나, 이렇게 먼저 수심을 찾아놓는다면 찌맞춤까지 모두 마치고 바로 수심측정한 만큼
찌를 올려 바로 낚시가 가능하게 됩니다.
이때 이미 처음에 찌탑 반정도 보이게 수심을 측정해 두었으니,
본인 스타일에 따라 한목이나 두목정도로만 찌탑이 보이게 낚시를 할 수 있으니, 조금만 수심을 조정하면 되는 겁니다.
찌맞춤과 수심맞춤이라는 것이 경험이 쌓이면 별로 어려운 일이 아니지만,
늘 사람이라는 존재가 실수나 착시등으로 인해 어이없게 수심이나 찌맞춤이 어긋날 수 있으니,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군계일* 성제* 대표도 늘 현장에서 수심측정 후 기존 찌맞춤을 점검하여 낚시를 한다 합니다.
찌탑 반정도 나오게나 한두목 나오나 최초 수심측정시에는 큰 의미 없습니다.
정확히 수심측정이 되셨다면 스토퍼 등으로 위치 확인하하여 찌맞춤 하시어 다시 본래 측정한 수심으로 찌를 옮겨주시면 됩니다.
찌맞춤이 먼저냐? 수심측정이 먼저냐? 역시 경험등으로 충분히 어느쪽을 먼저하던 크게 상관 없을지언정,
그래도 수심측정 후 찌맞춤을 하는 것이 먼저라 생각됩니다.
찌맞춤 후 수심측정을 한다면,
가벼운 찌맞춤의 경우 봉돌이 바닥에 닿지 않을 수 도 있고,
또 우리가 잘 모르는 물속상황이라든가 대류나 바람등으로 인해 원줄이 사선이 될 수 있는 경우도 있으니,
미리 찌보다 무거운 봉돌로 미리 수심측정 후 찌맞춤을 하는 것이 실수를 줄일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며
습관이라 생각됩니다!
즐낚하시길...
영점 채비를 한상태에서 낚시를 할경우 수심이 일정하면 괜찮겠지만 그러지않을경우 고기들이 미끼를 건드리면서 봉돌이 움직이게됩니다 이때 조금이라도 파인곳이나 깊은곳으로 옮겨놨을경우에는 봉돌이 영점마춤에 의해 떠있는상태가됩니다. 이경우는 바닦채비가아니라 내림채비로 변한겁니다. 이래서 찌를 마출때는 찌톱이 조금 올라오게 마추시는것이 바닦낚시하실때 정확한 입질을 보실수있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