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스위벨 기둥줄 꼭 부드러운줄로 사용해야되는 이유?

대물 낚시만 하다가 내년에는 좀더 가벼운 채비로 시도 함 해볼려 하는데요 여러채비에 대해 공부하고 있는데 내림은 성격상 안맞고 부력 많이 나가는 장대에 스위벨채비를 해볼려 합니다^^ 이해 안되는게 딱 한가지 있는데 스위벨 기둥줄을 꼭 케브라,PE,당줄등 부드러운 줄로 해야 되는 이유가 뭔가요? 기둥줄을 원줄과 같은 카본줄이나 모노줄로 하면 편한점이 많을것 같은데...

제 경험으로는 별반차이 없습니다.

원줄보호 차원에서 하는것 같습니다.

목줄을 좀 더 낮은호수로 간다면

원줄 보호는 되는 것이니 언제나님

생각대로 하셔도 상관 없을듯 합니다.
오정우님께서 제가 원하는 답을 해주셨네요
즐거운 주말 보내시고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경심줄을 사용하는 타 분할채비에 비해 스위벨 채비는 목줄이 짧습니다. 부드러운 합사계열을 사용하기 때문이지요. 반면 상대적으로 딱딱한 경심줄을 사용할 경우 이물감, 직립성 등을 보완하기 위해 목줄이 길어질 수 밖에 없겠습니다. 이런 채비의 원리와 줄의 특성, 미끼와 바늘의 종류, 포인트 환경 등에 따라 목줄 소재를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다만, 저 같은 초보는 아직 그런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기에 그냥 따라할 뿐입니다.
전 배스터에서 입질받아 랜딩중에 기둥줄 터지는 불상사(?)를 겪어서 ㅠㅠ...

바늘은 자주 교체를해도 기둥줄은 소흘해지더군요.
해서 전 바늘 원줄 카본2.5호 바늘당줄3호 기둥줄 합사3호로 사용해요. 노지에서는 별차이 못느껴요

관리를 자주 안하실꺼면 굵은.기둥줄 추천합니다 ㅎ

문천지에서 내꺼 터트린그놈 갑자기.생각나네요 ㅠ
대부분 스위벨기둥줄로 부드러운 합사줄이나 당줄 사용하시는데 빳빳한 카본줄이나 모노줄 사용하면 불린한점이 있는지
궁금해서 질문 드렸는데 스위벨 고수님 고견 부탁드립니다
전 찌올림때문에 모노줄만 사용합니다.합사줄하면 웬지모르게 빨리는 느낌이 나서요..
카본사용시 단차를 많이주게 될경우 기둥줄이
구부러집니다 이렬경우 사각지대가 생기게 되지요
무거운줄 말고 모노나 세미는 상관없습니다
정수수초가 빼곡히 있는곳에선 당줄이 약해
정수수초에 의해 줄터짐이 많이 있었네요
그래서 세미나 모노줄 추천드립니다
벌헤는밤님 단차를 많이 주면 카본줄이 무거워서 기둥줄이 구부러진다는 말씀인데...
고부력찌 사용시는 본봉돌에 작용하는 부력이 커서 상관없지 않나요?
가장 이상적인 스위벨의 무게가 찌톱을 올릴만큼..이기 때문에 고부력찌라 하더라도 경심줄의 구부러짐을 커버할 만큼 스위벨이 무거워질 수는 없습니다. 허나, 경험상, 양어장을 제외하고는 저 정도의 스위벨로 채비정렬이 가능한 경우는 1년에 몇번 없기 때문에 채비운용은 가능하겠죠.. 그런데 말입니다, 예민함이 장점인 스위벨 채비에서 직립성 커버를 위해 스위벨 비율을 올려야 할 만큼.. 기둥줄을 경심줄로 사용하는게 매력적인 걸까요?.. 물론 미끼와 바닥 상황에 따라 경심줄을 사용해야 하지만, 그런 상황이라면.. 2차 목줄을 경심줄로 사용하거나, 다른 채비를 쓰는 것도 한 방법이지 말입니다.
lecore님 답변 감사합니다
가장 이상적인 스위벨의 무게가 찌톱을 올릴만큼이란거...채비안정을 깨지않는 한도내에서 스위벨 무게가 가벼울수록 붕어 이물감이 줄어들거라는거 맞지요?
스위벨채비 장점을 100% 활용은 못하더라도 3호 카본원줄에 4.9그램의 원봉돌을 사용하는 저로서는 1그램의 스위벨을 사용 하더라도
50%이상의 효과를 볼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이정도 채비면 기둥줄을 경심줄 사용해도 무난하지 않을까요?
기둥줄이 구부러지지만 않는다면 경심줄이 부드러운줄보다 채비꼬임이 줄어들거고 더좋은거 아닌가요?
기둥줄을 부드러운줄로 사용하는 이유가 구부러지는거 예방외에 이물감이라던가 다른이유가 있나요?
맞는 말씀이세요. 당연히 효과 보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목줄 소재 하나때문에 제 역할을 못하는 채비라면 이렇게 보편화 될리도 없지요. 그저 많은 의견 중에 하나라고 생각해주세요. 낚시에 정답은 없으니까요..^^.. 그리고, 저도 부드러운 줄이 직립성이 좋고, 이물감이 작고, 전달력이 빠르기 때문에 1차 목줄로 사용한다.. 그래서 목줄을 상대적으로 짧게 사용할 수 있다..라고 알고 있습니다.
lecore님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어느정도 궁금증이 해소 된거 같네요
며칠남지 않은 한해 마무리 잘하시고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노지 낚시 스위벨일경우 그의가 스위벨 1그람를 사용합니다.
1그람일경우에, 스위벨 목줄은 그닥 영향이 없다고 보시면됩니다.
여기서 영향이없다는것은, 이왕이면 원줄만큼 부드럽고 질긴걸 사용해도 무관하다는것입니다.
바늘목줄만 원줄보다 약하게해서 사용하시면 무난하리라봅니다.
저같은경우는 원줄 카본3호, 스위벨목줄 PE합사2호, 바늘목줄 모노or카본 2호로 사용중입니다.
황금붕어야님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저도 인터넷에서 본 기억만 있는데요. 모노줄이든 카본줄이든 인장력이 발생하는 길이가 약 20cm이상일때
발생한다고 본 기억이 있는데요.
스위벨채비에서는 기둥줄을 10~15cm 사용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렇다고 본다면 인장력이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끈어지는 현상이 발생해서 그런거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아~ 25cm이상이어야 인장강도가 유지된다고 하네요.
그리고 퍼머현상 발생시 직진성도 떨어지고요....
스위벨 전문가는 아니고 시작한지 얼마 안됩니다만...
원줄 모노(나일론)4호, 스위벨기둥줄 모노3호(15센치), 목줄 모노2호 사용합니다.
스위벨은 0.62g 한가지 쓰구요.
만족스럽게 찌올림도하고 조과도 좋았습니다.
합사, 당줄 안써봐서 모르겠습니다만 이정도면 모노 기둥줄도 괜찮을 것 같은데요.
부력체인 찌와 침력체인 봉돌 사이는 부력제가 없는게 좋죠. 카본줄 추천 합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