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전부터 낚시를 시작한 허접한 낚시군 입니다
첨부터 좁살봉들채비를 배워서 쭈욱 쓰다가 오늘 채비를 스위벨 채비루 바꿔 밤낚시를 갔다왔는데여 ..의문점이 생기네여
좁살봉돌과 스위벨은 같은 원리인데 ...군계일학 스위벨 수조 찌맞춤을 보면 바늘을 안달구 캐미꽂이를 수면에 수평맞춤을 하구
좁살봉돌 채비는 바늘달구 캐미꽂이 수면 수평맞춤 하구... 그러면 좁살봉돌 채비에 비해 무거운 찌맞춤이 되는거져?
제가 스위벨 3호하구 4호를 셋팅 했는데 스위벨이 엄첨 무겁게 느껴 지더라구여
그동안 좁살봉돌 요즈리 2호만 써서 그러겟지만여 .... 이걸 붕어들이 흡일할때 무게때문에 이물감을 느끼지 않을까?.. 쉽게 들어올릴수 있을까?
어차피 스위벨 1호를 쓰나 5호를 쓰나 찌에대한 부력은 같은데 작은호수를 써야 하지 않을까여? 대류나 바닥안착 안정감을 위해 큰호수를 쓴다구 하지만 큰 호수를 쓰면 상대적으루 본봉돌이 그만큼 그 무게를 감하게 되구... 바람으루 인한 대류는 물속 바닥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거라 생각 되는데여 .... 어디 흐르는 물에서 낚시하지 않는이상은 스위벨 2호면 충분하다구 생각되는데여, 4호나 5호를 써야하는 이유가?
오늘 2.8 3.0칸 대에다 스위벨4호 셋팅하구 2.6칸대에 3호 셋팅해서 밤낚시를 했는데
찌올리는 입질을 한번두 못받았어여 .... 밑으루 빠는입질 옆으로 끌고가는 입질이 나오더라구여
잡아서 보니 붕어세끼 손바닥보다 작은것들이더라구여
붕어들이 넘 작아서 이런 입질이 나온건가여?
찌맞춤이 무겁구 스위벨이 무거워서 그런 걸까여?
오늘 입질이 시원하게 나왔으면 위에 같은 의문점이 안생겼겟져
그래서 제 생각에는 수조 찌맞춤을 바늘을 달구 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되구
그동안 좁살봉돌 요즈리 2호 사용한 무게와 같은 스위벨 2호를 사용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되는데.......
고수님들 .스위벨 채비 쓰시는 분들 한말씀 남겨 주세여
스위벨 채비 문의 드립니다
-
- Hit : 7758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8
스위벨 호수가 커져야 하는 이유 몇가지 적어 보겠습니다.
1. 찌와의 밸런스 :
본봉돌 만으로 투척시 찌 몸통정도 또는 찌탑 전체가 보이는게 좋습니다.
따라서 스위벨은 찌의 지탑 전체를 가라앉힐 수 있는 무게여야 합니다.
저부력 찌라면 스위벨 1~2호로도 충분하겠지만, 양어장에서 주로 쓰는 다루마형 장찌들은 이 부분 꼭 체크하셔야 합니다.
그래야 입질시 정확한 찌의 반응을 볼 수 있습니다.
2. 원줄의 굵기 :
군*일학 대표께서는 양어장 or 손맛터 등에서 모노 1.2호줄에 스위벨 2호를 권장 하십니다.
모노 1.2호라면 바람이나 대류등에도 원줄 자체의 굵기가 얇아 스위벨 2호로도 충분히 바닥에 닿아 있는 스위벨이
이래저래 끌려다니지 않을거라 합니다, 혹여나 끌려 다닌다면 쇠링등으로 커버가 된다 하고요~
그렇다면 일반 노지에서 카본 3호 정도를 사용한다고 가정할 때, 이때도 스위벨 2호면 될까여?
어려운 얘기입니다.
3호 정도 굵기의 원줄이라면 바람이나, 대류 등으로 스위벨 2호 쉽게 끌려 다닙니다. 즉 안정적으로 바닥에 안착이 안되죠!
3. 전체 채비의 무게 :
이는 2번의 원줄의 굵기와 일맥 상통하는 얘기입니다.
원줄이 굵으면 찌가 서는 곳에서 초리대까지의 원줄 자체의 무게가 늘어납니다.
이 무게가 투척 후 찌를 초리대 방향으로 끌고 오면서 바닥에 봉돌(스위벨)까지 끌려오게 됩니다.
따라서 이 역시 3호줄 기준으로 4~5호 정도의 스위벨을 사용해 주셔야 이런 부분 해결됩니다.
4. 사용하는 낚시대의 길이 :
이 역시 위에 2, 3번과 같은 얘기 입니다.
낚시대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찌가 서는 곳과 초리대까지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전체 채비의 무게가 늘어납니다.
당연히 이중 가장 큰 부분은 원줄의 무게고요!
따라서 낚시대 칸수가 길어질수록 같은 호수의 스위벨이라도 조금 더 무겁게 맞춰줘야 합니다.
이는 일반 찌맞춤 역시 마찬가지고요~
5. 수심
이번 역시 군*일학에 살펴보시면 3m이상 되는 수심에서는 2호를 넘어선 , 즉 2.5호 or 3호 스위벨을 사용하라 권합니다.
이는 수심이 깊어질수록 찌와 봉돌(스위벨)사이의 일자로 내려가는 원줄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물의 흐름등에 따른 영향을 더 받기에 수심이 깊어지는 만큼 스위벨 호수를 조금 더 늘리라 권하고 있습니다.
대강 이정도가 스위벨 호수가 늘어나야 하는 까닭입니다. (뭐 빼먹은건 없나...ㅎㅎ)
사실 보다 정확한 표현은 스위벨 호수가 늘어나는 이유가 아닌, 상황에 따른 적확한 스위벨의 사용일테지요~
스위벨 무게로 인해 조과가 떨어질거라는 다소 막연한 불안감 보다는,
정확한 스위벨의 바닥 안착에 대한 고민을 더 하시길 바랍니다.
그것이 스위벨이 바닥에 닿았을까? 닿지 않았을까? 하는 불안한 상황에서의 조과 보다는
확실한 바닥 안착과 함께 하시는 것이 조과가 훨씬 나을 겁니다.
더불어 과감히 보다 높은 호수의 스위벨을 사용하시다 보면,
점점 더 채비에 대한 이해와 적응이 늘어 가시면서,
다시금 무게가 가벼운 스위벨을 사용하심에 자신감과 확신도 생길 것이고 상황에 따른 보다 훌륭한 대처도 가능해 지실겁니다.
바닥 낚시를 하고 계시다면,
확실한 바닥 안착이 기본전제이기도 하지만 ,또 그것이 조과에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 생각하시기 바라면서
그 정도의 이물감 차이가 조과에 영향을 미칠거라 생각하시기 보다는,
각 상황과 시기별로 입질의 형태파악에 보다 신경쓰시는게 어떨까 싶네요! 바닥안착 만큼은 확실히 하시면서 말이죠^^
그럼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안출하세요~
제말은 스위벨같은경우 아주 예민하게 찌마춤을하기때문에 조금이라도 봉돌이 뜨게되면 내림채비가 되기때문에 그런거같습니다.
그래서 정확하게 하기위해선 바늘을 안달고 영점을 마추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이런현상을 최소화하기위해서 대부분 스위벨채비를쓰시는분들은 현장에가서 낚시를할때 찌를 한마디정도 수면위로 나오게 합니다.
제가 볼땐 강태공님이 입질을 그렇게 받은걸보면 봉돌이 바닦에서 떠있어서 내림채비가되어 그렇게 나타난걸로 생각됩니다.
15수정도 손바닥만한 붕애들만 잡았네요 집어재와 다이와삼합 지렁이 이렇게 짝밥낚시를 했었는데요
32대 찌맞춤 케미완전노출 36대 2/1노출 40대 2/1노출 32이하도 전부 케미완전노출 바늘빼고요 스웨벨은
전부 4호로 했읍니다 노지만 다니다보니
동영상을 보면 32대는 2/1노출 이그상은 수면일치 32대 밑에는 전부노출 이렇게 설명이 되어있는데요
나름 예민한 입질을 더받기위해서 좀더 가볍게 맞혀서 낭패를 봣네요
말씀처럼 저는 밑으로 빨리는 입질은 없었읍니다 찌가 몸통까지올리는 멋진 찌올림을 몇번을 봤는데요
문제는 헛챔질이 50%가 넘는다는겁니다 그래서 지금은 봉돌다 다시갈아끼우고 예민보다는 좀 무겁게 가는것이
좋겟구나 생각이 듭니다 직접경험해보니 예민한것도 좋지만 득보다는 실이 많은것 같읍니다 무엇보다 바닦에 안착이
중요하다고 생각이들었네요 올림입질을 못보셧다면 제생각에는 스웨벨이 바닦에 안착이 안되는것으로 추정이됩니다
그래서 노지는 4~5호스웨벨을쓰라고 하는것같읍니다 부력만 잘맞춘다면 원봉돌이나 스웨벨이나 비슷하다고 생각이되며
장점은 붕어가 먹이를 섭취할때 이물감이 덜하다는것으로 생각이 드네요 생각나는되로 적으니 두서없이 적어서 죄송하네요^^
이론보다는 현장에서 이리저리해보는것이 가장 낳다고 생각이 드네요 저도 그러면서 배우거든요
다른경우 사선입수 그리고 경사면에서 스위벨안착이 되면 붕어가 먹이를 취할때 바늘을 건딜때마다 경사진곳으로 스위벨이 끌려들어가면서 내림 입질을 봤을꺼같기도하구요
약간은 상황에 맞게 대처하시는것이 정신 건강에 좋을듯합니다
위에 말씀하셨듯이 스위벨이 작으면 원줄에 무게도 반비례 그리고 수심 또한 적용 그러니 긴대를 쓰신다면 스위벨홋수와 찌맞춤이 조금은 무겁게 되야 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