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스위벨 채비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선배 조사님들... 연휴 잘 보내셧는지요....거두절미하고 본론으로 들어갈께요~ 양어장에서 바닥낚시만해서 지식이 바닥(?)이랍니다 ㅎㅎ 현재 사용하는 채비는 3분납 채비를 사용하고있습니다. 1.수중봉돌(그떄그떄 갈아끼울수 있어서)2.편납홀더 3.봉돌(핀도래사용 오링끼어넣습니다)요로케 쓰고있는데요 스위벨 채비라는걸 오늘 보고왔는데 검색해본 결과 답이 나오질 않네요. 만약 제가 쓰는 채비에 변형(?)을 주어서 원줄을 좀 자르고 핀도래에 연결 편납홀더를 걸고 단줄주고 스위벨 봉돌 걸고 바늘 달면 뭐가 다른건가요. 그럼 수중봉돌 핀도래 편납홀더 스위벨봉돌 똑같은 3분납이 되는게 아닌가해서요 그리고 찌맞춤시 1~2목을 내놓고 왜 맟춰야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배울려고하니 막막해서 앞뒤없이 글올려봅니다. 많은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어떻게 분할하여 운영하던지 목적만 달성하면 되겠지만......
채비는 최대한 간결하게 하는 것이 우선일듯 합니다.

지금 사용하고 계신 채비는 고부력찌 분할에 용이한 듯 하고요,
스위벨 채비는 그것보다는 훨씬 저부력에 유리한 듯 하네요.

님께서 사용하는 채비의 가장 아랫봉돌보다 스위벨 무게가 훨씬 작을테니까요.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일단 님채비와 스위벨채비 별로 다를것은 없습니다...
분할봉돌이라는것에서는 같다고 보면 될것같구요...
단지 스위벨 장점이라는것이 동일 스위벨시 무개차가 없습니다 (오차가 1/100g 미만 이라합니다) 거의 무시해도 되는수준이죠..
더욱이 당줄 이놈이 강도가 좀 약합니다 끊어져도 원줄보다 합사에서 끊어지는경우가 많아 채비가 끊어졌을때 다시 찌맛춤할필요 없이 신속하게 다시 낚시를 시작할수 있다는것이 장점이라면 장점이겠네요...
그리고 찌맞춤시 찌를 맞추고 1~2목을 내어놓고 낚시를 하라는것은요 굳이 스위벨 채비가 아니라 원봉돌바닥채비라해도 케미가 노출되게 찌맞춤을 한경우엔 무조건 내어놓고해야 합니다 이건 스위벨채비에만 국한된것이 아니라 바닥낚시의 경우 다 이렇게 해야 봉돌이 바닥에 닿게되고 봉돌이 바닥에 닿아야 헛챔질이 줄어들게 됩니다.
물론 찌가 서서히 가라앉게 되는 무거운 대물낚시 찌맞춤의 경우는 예외로 두고 말씀드리자면 붕어낚시에서 찌톱을 내어놓고 낚시를 하는 이유는 최초 찌를 맞춘 찌맞춤점보다 물위로 더 올려놓은(케미 노출의 경우 케미 아래의 찌탑이 되겠지요)곳의 무개로 눌러 봉돌을 바닥에 닿게 하는것입니다.
이게 바닥낚시의 기본원리구요 에당초 물에 찌가 서서히 가라앉게 찌를 맞춘 대물낚시의 경우 굳이 찌탑을 내어놓지 않아도 에당초 가라않게 되어있던 침력 무개로 채비를 바닥으로 눌러 봉돌을 바닥에 닿게 하는것이구요 이렇다 보니 대물낚시 찌맞춤을 한경우에는 케미만 물위로 살짝 올려도 아무 상관없으나 요즘 많이 하는 케미가 물위로 올라오게 찌를 맞춘경우는 (보통의 경우 예민함이 필요한 상황의 떡밥낚시에서 이렇게 많이 하죠)찌탑을 올려 놓아야 봉돌을 눌러줄 무개가 생겨 봉돌이 바닥에 닿게 되는겁니다..
봉돌이 바닥에 않닿으면 어때서? 라고 되물으실정도시라면 이부분은 천천히 검색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이곳저곳에 바닥낚시를 알려주는 동영상이나 글이 참많이 있으니 그걸 참고 하시는게 낳으실듯하네요... 일일이 다 여기서 설명하자면 한면이 부족할듯...
스위벨채비는 좁살봉동채비와 거의 흡사하구요.. 1-2목을 내놓는것은 가벼운 맞춤이기때문에 찌를 1-2목을내놔서 그 무게로 봉돌을 눌러준다고 생각하시면 될것같네요^^ 끌리는 입질이 많은편입니다.
잠자는 봄님 말씀에 한표입니다.
스위벨이나 좁쌀봉돌채비가 바닥이 지저분한 곳에서 좀 유리하다고는 말씀하시는데,
그것까지는 잘 모르겠고, 편납홀더 쓰는것보다는 확실히 좀 편하기는 합니다.

저는 스위벨채비를
원줄 + 스냅도래 + 봉돌 + 목줄 + 스위벨 + 목줄 + 바늘
이렇게 사용하고,
수심측정 후 찌맞춤할때 스위벨까지만 달고서, 찌를 한 2~3목 나오게 봉돌을 깎은다음에 스냅도래에 중층용 오링을 끼워서 한목까지 내려오게 맞춥니다. 찌맞춤 끝난후에 바늘을 달지요.

그런데... 요즘은 귀차니즘으로..
그냥 원줄 + 봉돌 + 목줄을 사용합니다. 요즘은 부레찌를 사용하기때문에 그때그때 무겁게 가볍게 사용하거든요. ^^
(스위벨 귀찮아요.. ㅠㅠ 아러메ㅐㅑ ㄱ러ㅏㅐ메러)
스위벨 채비쓰는이유와 동영상보실라면 군계일학 성제현씨 동영상보시면정말 정확히 나와있읍니다..

한번보시고 자신만의 채비만들어 사용하시는게 제일 좋아보입니다..

수고하세요
답변 감사합니다~~~
태풍이 올라온다고 하니 안출하세요~~~
스위벨채비의 가장 기본적인 것은 스위벨이 바닥에 닿는 것입니다
찌맞춤시 캐미를 수평으로 맞추고 낚시할때 캐미노출만 시켜도 사실
스위벨이 바닥에 닿는다고 봅니다
군계일학 동영상에서 찌맞춤방법을 보면 한두목 나오게 맞춘다음
쇠오링으로 캐미꽂이 정도만 노출되게 맞춘다음 한두목 내놓고 낚시를 하라하는데...
글쎄요
사실 캐미를 수면과 수평맞춤할때 보면 그 상태에서 납을 조금 깎아내도 거의 변함없이
수평이나 쪼금 정도 노출됩니다 하지만 일단 캐미가 노출되고 한두목 나오게 되면
약간만 납을 깎아내도 큰폭으로 변동됨을 알수있습니다
군계일학에서 하는방식대로 하면 확실히 정확하게 맞출순 있다고 봅니다
그 바람에 쇠오링만 더 사게 되는데...
정말 글쎄요....
개인적으로 이정호식 찌마춤이맞다고 생각하는일인입니다...

물론 크레님말씀대로 테마는 조금내놓아도 맞는다고 생각하지만....거기서 남을 무지 많이 깍아야한마디 정도 나오구요..

오링은 이정호식마춤의 일부 변형 머춤의로 생각돼구요....

바늘안달고 맞추는 찌마춤이 맞대고 생각합니다...그리고 오링가감법 좋은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스위벨 채비를 이해기론
물흐름이 있는 곳에서는 스위벨이 앙카 역활을 해야하고
수조에서나 현장에서 스위벨만을 살짝 위로 올렸을 때
윗봉돌과 찌가 올라와야 하는 것입니다.
아룰러 가벼운 아랫 봉돌을 쓰는 것은 이물감을 덜하게 하기 위함인 것 같습니다.

즉 스위벨이나 좁살 봉돌을 들었을 때 찌가 반응이 없다면 말짱 도루묵이고
수심이 3m이상이면 수압이 높아져서 잘 작동하지 않게 되는데
보다 무거운 스위벨과 무거운 찌맞춤을 하게 되는 것이지요.
부연하면
보다 무거운 아랫봉돌(스위벨)을 올렸을 때 가벼운 윗봉돌은 잘 올라가고
무거운 찌맞춤을 하는 것은 수압이 높아져서 바늘만 닿고 스위벨이 바닦에 안 내려갈 수 있어서입니다.

추가하여 바늘만 닿는 채비의 단점으로는 붕어가 먹이 흡입할 때
윗 입술이 목줄에 먼저 닿아 이물감으로 거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내림낚시에서 슬로프를 주는 이유이기도 하다늘 말을 들음(전 내림 안해보았음).

"원줄을 좀 자르고 핀도래에 연결 편납홀더를 걸고
단줄주고 스위벨 봉돌 걸고 바늘 달면 뭐가 다른건가요.
그럼 수중봉돌 핀도래 편납홀더 스위벨봉돌 똑같은 3분납이 되는게 아닌가해서요"
=> 다르지 않습니다.

"그리고 찌맞춤시 1~2목을 내놓고 왜 맟춰야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군계일학 낚시교실 동영상에 무바늘 찌맞춤을 참조하십시요.
http://www.ilhak.co.kr/study_movie_1.html
no 45 평택호 -2부 (롤링스위벨 채비)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