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어들도 밤엔
주점에
술먹으려 갑니다.
소변보로 이눔들이 밖에 나왔다가~
또 다른 먹을 거리를 보고 취한김에 밤에도 덥석~
가끔씩 취한 붕눔들이 걸려들기도 하지만
부지런한 붕들은 동틀무렵 아침을 먹으려고 분주히 설침니다(AM 5시에서~8시까지)
한낯에 점심은 잘 않먹요(수박등으로 배를채우고)특히 여름철엔 더더욱~
그리고 또 해질녘 저녁은 잘 먹습니다(PM 6~8시가량에)
저녁 아홉시 부터는 님이있는 도심 주변, 술집에 낚수대를 드리워 보면(바늘에 세종 배춧닢을 끼워서)
인어가 걸려 들기도 하지요? 가끔 재미가 솔솔~ (돈죽지 사람 죽겠요~ㅎㅎㅎㅎ~~ㅋㅋㅋ~)
수로 특성상 입질 시간대가 정해져 있는곳이 많더군요
제가 자주 가는곳은 아침 6시에서 7시사이에 딱 두번 입질옵니다...
항상 갈때마다 ㅋㅋ
그래서 아예 새벽 4시쯤 출발해서 7시 딱 넘으면 대접고 들어옵니다
대부분 입질시간대가 정해져 있더군요
오전 7시부터 10시 12시부터 2시
4시부터 6시까지 이렇게 3번입니다
미련이 남아 계속 앉아 있어도 번번히 꽝 ^^
예를 들자면 수소곤충이나,붕어가 먹을만한 것들이 낮에 활동을 하기에 그런거 아닐까요? ^^;
밤에는 입질이 뜸하지 않나 하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만,
보다 정확한 원인을 아시는분~~~~~
다른 어종의 움직임이 붕어들의 야간 활성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합니다.ㅎ
수로폭이 많이 넓은가요??
넓던 쫍던간에
기본적으로 대편성은 부채꼴로 대를 피고 낚시를 햇을때 권형사 님처럼 낮낚시에 몇수 후 밤에는 말뚝이었습니다..
다음번에는 낮에 똑같이 부채꼴 형태로 편성하고(1~ 1.7메터)낚시하고 해떨어질 무렵 반대편 극악의 수심 30~ 40 정도의 수심에
전부 이동 시켰습니다.. 이렇게 해서 낮에 밤에 모두 좋은 조항을 보았구요
우연인가 싶어 몇번더 테스트를 했었습니다.. 낮에 극악수심 30~ 40 편성 후 저녁 1~1.7메터권 거의 꽝이더군요
밤, 낮에 30~ 40 밤에만 호조황..
각 저수지 수로마다 특징이 다르겠지만.. 분명 낮과 밤에 고기의 이동경로가 달라질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낮에 30
1. 수온의 변화
2. 고기의 학습효과로 보입니다.
1번은 당연히 계절에 따른 환경의 변화 요인이구요.
2번은 붕어들의 먹이들이 그 시간대에 활동을한다.
이상압니다.
그렇다고 밤낚시가 안된적도 없었던것 같습니다.. 마릿수는 재미없지만 씨알은 상당했습니다..
아울러 나온자리에서 또 나오더군요.. 포인트(명당)가 중요하고 주로 먹히는 미끼를 파악하고 있다면
좋은 기대를 하셔도 될듯 싶습니다..
봄보다는 가을이 최고의 씨알과 마릿수를 안겨주었던것 같습니다..
한번가보시고 포기마시고 몇번 대를 드리우다보면 자연스레 포인트도 알게되고 좋은정보도 얻게되실겁니다.
힘찬 강(수로)붕어 손맛 보시길 바랍니다.
저두 예전엔 수로 밤낚시는 무조건 꽝이라 생각했습니다,,
낮에는 그런데로 낚이던 곳에서,
밤에는 거의 꼼짝 안던 찌,,꼼지락거리고 올리지 못하는 곳에서,
찌를 아주 가볍게 맟췄더니,(찌가 흐를 정도로)
찌를 올려주더군요,,
낮에도 아주 가벼울 정도의 찌가 밤에는 무거워 못 올립니다.
저는 아주 가볍게 찌맞춤으로 밤낚시를 하고 있습니다.(가벼운 채비에 바늘은 외바늘로)
그런 차원에서 스위벨 채비 아주 좋더군요
그런데 스위벨 채비도 밤에는 외바늘 일때 올려주더군요(엄청 가벼워야 올려주는구나 생각했습니다.)
주점에
술먹으려 갑니다.
소변보로 이눔들이 밖에 나왔다가~
또 다른 먹을 거리를 보고 취한김에 밤에도 덥석~
가끔씩 취한 붕눔들이 걸려들기도 하지만
부지런한 붕들은 동틀무렵 아침을 먹으려고 분주히 설침니다(AM 5시에서~8시까지)
한낯에 점심은 잘 않먹요(수박등으로 배를채우고)특히 여름철엔 더더욱~
그리고 또 해질녘 저녁은 잘 먹습니다(PM 6~8시가량에)
저녁 아홉시 부터는 님이있는 도심 주변, 술집에 낚수대를 드리워 보면(바늘에 세종 배춧닢을 끼워서)
인어가 걸려 들기도 하지요? 가끔 재미가 솔솔~ (돈죽지 사람 죽겠요~ㅎㅎㅎㅎ~~ㅋㅋㅋ~)
늘 이슬에 젖어 사시나 봅니다...
인어는 잡고싶네요...
제가 잠자는 시간이라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