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즘 한강쪽에서 매형을 따라 원투대로 잉어낚시를 다니고있는데요.. 원투에는 전혀 지식이없네요..제가ㅜㅜ
옆에서 하시는분들 보면 떡밥을 무슨 계란사이즈많하게 던지더라구요..
전 속으로 잉어가 입이 저리크나..ㅡㅡ;생각하고있는데 잡히는거보고 더신기했읍니다.
전 민물찌낚시만 하느냐 떡밥을 콩알만하게 던지는게 습관이라 원투대에 콩알만하게 던지면..입질조차도 없고ㅜㅜ
궁금한게.. 원투대에 꼭 떡밥을 계란사이즈만큼 달아야하는지요?
왜 그렇게 크게다는 이유가뭔가요?잉어가 떡밥을 그렇게 큰걸 어떻게 흡입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잉어채비 보면 바늘이 여러개있던데요.. 바늘6개이면 그 6개바늘에 하나로 뭉쳐서 떡밥을 껴야하는지요?
날씨가 추워 앉아서 지켜보는 찌낚시가 너무힘듭니다.. 그래서 원투대에 방울 밖아놓고 운동도할겸..최고인듯 하네요^^ ㅎㅎ
릴낚시로 잉어.붕어 잘잡는방법좀 알려주세요~~~~~~~~~ 잡아본적이 한번도없습니다 ㅜㅜ
잉어 릴낚시..떡밥을 왜그렇게 크게?
-
- Hit : 24396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8
일단 떡밥을 크게 다는건 기다리는 낚시를 하는걸로 알고 있고요. 잉어가 붕어와는 다르게 바닦에 있는 미끼를
흡입해서 먹는 습성이 있어서 멀리 계란만하게 던져 놓으면, 그게 풀어지고 바늘은 그 미끼들 사이에 있겠죠?
그때 잉어가 흡입하면 입 주면에 바늘이 걸리게 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바늘이 많은 이유도 아무래도
바늘이 많으면 흡입했을 때 걸릴 확률이 높겠죠~ ㅎㅎ
전 겨울이라도 찌보는 낚시가 좋던데,ㅎ 난로 하나면 밤까지는 무리라도 낮낚시는 가능한거 같아요 ㅋ
그리고 잘 잡는 방법은 포인트를 잘 알아야하는데 전 초보라 ㅠ, 그리고 장박하시고 가신 꾼님들 자리에서
같은 방향으로 원투 하시면 잘 잡힌다고 하네요 ㅎㅎ
감기 조심하세요~
보통 던지면 짧게는 1시간~6시간정도까지 투척을 해놓습니다. 그러니 어느정도 잡어가 먹는 시간도 버텨야하고.. 그렇습니다.
그렇기에 많은떡밥을 단단하게 뭉쳐 투척후 이 떡밥들이 풀리면서 집어 효과, 먹이역활을 하게 되고 잉어가 이것을 흡입하면 입질이 전달되어 입 몸통 랜덤으로 걸려 나오게 됩니다.
떡밥다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미리 단단하게 뭉처와서 송곳으로 구멍을 뚫고 그안으로 줄넣고 바늘을 꽃아 쓰는경우도 있구요 현장에서 삼봉에 달고 주위에 바늘을 대충 꼽아서 던지기도 합니다.
떡밥 지렁이 뭐든 상관없구요 지렁이는 산지렁이 중자 정도 되는넘 껴놓음 오래가구 메기 붕어가 잘나옵니다.
그 풀어진 떡밥위.사이에 바늘도 같이 있습니다.
잉어가 지나가다 훅 훅 빨면 떡밥과 함께 바늘도 입속으로 빨려 들어갑니다.
다 먹고 돌아서면 릴대가 흔들리며 차고 들어갈 때 챔질하면 거의 100%걸림이 되고
한개의 바늘부터~여러개 바늘이 걸리기도합니다.
일단,떡밥을크게마는이유는 집어효과와 잔챙이때문입니다..
저것보다 더크게말때도있습니다...
떡밥을 동그랗게말아서 보통6봉바늘묶음을 가장많이사용을하고,바늘을 떡밥에 시계방향으로 돌려가며 끼웁니다...
그러면,잔챙이들이 위에바늘과 떡밥을 흐트려도 아래쪽떡밥에도 바늘이있어서,큰잉어나 붕어등이와서 흡입하면 후킹될확률이 월등히 높아지죠....
저는 채질에 안맞아서 안한지는 오래됐습니다만....ㅎㅎ
전 민물찌낚시만 하느냐 떡밥을 콩알만하게 던지는게 습관이라 원투대에 콩알만하게 던지면..입질조차도 없고ㅜㅜ
----> 잉어가 오기전에 떡밥이 다 풀어지거나 원투 투척시 콩알 떡밥이 날아가다가 파쇠됨.
궁금한게.. 원투대에 꼭 떡밥을 계란사이즈만큼 달아야하는지요?
왜 그렇게 크게다는 이유가뭔가요?잉어가 떡밥을 그렇게 큰걸 어떻게 흡입하는지 궁금합니다..
-----> 깊은 물속에 안정적으로 바닥에 착지하여 떡밥이 풀어지면서 잉어가 모여들때까지 버텨야 하기 때문에 계란 싸이즈 정도로 합니다.
그리고 잉어채비 보면 바늘이 여러개있던데요.. 바늘6개이면 그 6개바늘에 하나로 뭉쳐서 떡밥을 껴야하는지요?
-----> 바늘을 떡밥에 껴도되고 안껴도 됩니다. 떡밥이 풀어지면서 잉어가 모여들고 떡밥 근처에서 어승렁거리며 떡밥을 흡입하다가 잉어의 흡입력으로 인하여 바늘까지 같이 흡입됩니다. 그러다 바늘에 잉어 입에 걸리게되면 이물감을 느낀 잉어는 도망치게 되는데 이때 링에서 딸랑딸랑 소리가 나게됩니다. 그럼 링링하시면 되구요...
일명 멍텅구리 낚시라고 하더군요. 장대 낚시대 봉돌 위에다가 떡밥을 뭉치고 바늘 5~6개를 떡밥속에 쏘옥...넣어서...
지금의 떡밥 릴 낚시처럼 하였던 기억이있습니다.
윗분들 말씀처럼 낚시대야 거의 같은 곳에 집어를 할 수 있지만 릴은 같은 곳에 던지기란 정말 어렵겠지요.
그래서 크게 하는 이유는 집어와 잔챙이 때문이겠지요.
어떤분들은 떡밥 대신 감자를 삶아서 던지는 분들도 있더군요. 그것도 칼로 자르는 방법이 있던데 자세한건 잘모르고요
감자를 던지면 물속에 들어가서 연꽃처럼 펼쳐진다고 하더군요.
방법은 고수분들께...^---^
일명 멍텅구리는 인치기입니다..인치기는 유동을 주지 않습니다...인치기는 거의 대낚에 묶어서 3봉,혹5~6봉 붕어바늘 위주로 합니다..(릴 낚시용도있음)원투하시는 분들은 대부분 유동채비에 중앙을 뚤어 떡밥에 바늘꽂아(블루길만잡아님)사용하십니다...바늘또한 떡밥이지만 바닦생미끼처럼 감성돔 4호 전후를 가장많이씁니다..
저의 옛날채비가 무식하나요~~ㅎㅎ
대상어를 놓치지않으려는 마음은 바닥,내림,중층,혹은 릴이나 같지않나 십네요...
하지만,릴은 댐이나 아님,큰저수지에서나 하셔으면 하는바램입니다...ㅎㅎ
말그대로 원~~~투^^..저나름해석,,,큰저수지에서 원하는만큼 투척!!ㅎㅎ
계란 보다 약간 큰 정도로 던집니다..생감자를 손톱크기만 하게 썰어서 하면 효과가 빠르게 오더군요..
근데 생각외로 누치가 많이 걸리지, 잉어는 드물고 오히려 힘센 붕어가 걸리기도 합니다.
미사리 근처 둑에서 보면 잉어가 산란때문인지..떼지어 상류로 올라가는 모습도 보입니다....(상수원 보호구역이라 낚시 금지이지만..) 밤에 몰래 해보고 싶은 유혹도 가끔 생깁니다 ..ㅎㅎ
- 떡밥이 커야 무겁고 멀리 날릴 수 있구,,,여러가지 이유 때문이겠죠^^
- 가까운 거리는 굳이 크게 달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저도 아버님 쫓아서 많이 쫓아다녔는데요
바늘이 6개 정도된거같습니다
감자 삶아서 관통시켜 바늘을 꽂고 바늘 주위를 커터칼로 칼집을 내놓으시더군요
그렇게 릴 5대......연날릴때쓰는 그런 릴줄감아논 얼레(?) 고거 5개정도
방울달아노시고 옆에서 민물대2대펴놓고 붕어낚시하시더군요
그럼 새벽녘에 꼭 제 몸집만한 잉어 2~3마리는 살림망에 있었습니다.
제가 그때 7살정도됬으니 지금 생각하면 80~90 짜리가 아니였나 싶어요.
무서워서 물고기 만지지도 못했거든요 ㅠㅠ
떡밥은 원자탄+곰표떡밥 두개만섞어서 릴지렁이라는 바늘에 달고 골프공만하게 던져서 잉어 많이 잡았습니다 ㅎㅎ
그리고 떡밥을 크게 다는 이유는 잉어는 경계심이 많은 물고기 입니다.. 그래서 연안 가까이 잘 붙지 않죠.. 잉어 하시는 분들 말씀으로는 잉어는 떡밥을 봐도 바로 먹지를 않고 그 주위를 몇일씩 어슬렁 거리다가 먹는다고 하네요.. 그래서 원투낚시시 장박을 하는 이유가 그때문이랍니다. 고로 잦은 투척은 모여있는 잉어를 쫓는 효과를 나타낼수 있습니다. 즉 떡밥을 크게 달아야 오래갈수 있고 잦은 투척을 하지 않을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원투대 30~40개씩 던지시는 분들 보면 하루에 1~2번 떡밥을 갈아 주심니다.. 입질이 없으면요...잉어가 경계심 많은건 저도 대낚시 할때 느껴봤습니다.. 유료터이지만 잉어푼지 10년가까이 된녀석들이라 10kg이상들이 많은데 절대 채비 투척후에 바로 먹지 않습니다 한번 투척하면 20~30분씩기다려서 떡밥이 풀어지면 그때 먹습니다. 잠깐 딴짓하면 낚시대 그냥 차고 나갑니다.. 거기는 5칸대기준 수심이7m씩 되는 곳이라 입질하면 대물이죠 붕어도 않붙습니다. 잉어가 오면 찌가 살짝 치는 느낌이 나고 계속 찌를 바라다 보면 예신없이찌를 몸통까지 올리거나 한마디 올려 놓은걸 쏙빨고 들어 갑니다.. 찌를 치는 모습은 고기가 떠서 찌를 치는 거랑은 느낌이 틀립니다..밑에서 고기가 채비를 건드는 느낌이 난다고 할까 여하튼 그런 느낌이 나면 한참 기다리다 보면 입질을 하더라구요.. 다만 5호~7호줄 이 그냥 터져 나가서 고기는 아직 보질 못했습니다.
잉어원투 낚시에서 삶은 감자는 강에서 주로 한다고 하네요 강바닥이 어둠기 때문에 감자를 쓴다고 하네요 근데 효과는 좋다고 합니다. 잉어가 색깔을 구별하는 지는 저는 모르겠지만 하시는 분들 말씀 입니다..
보통 슈퍼캐스터45+si3000많이 사용하시구요 요새 잉어나라rx카프 480 많이 사용합니다.
떡밥을 크게다는 이유는 강에서 사용하실때는 물살때문에 어느정도 오래 버틸려면 크게 달으셔야 합니다. 추도 삼각추로 15호 이상 사용하시구요 저수지에서 하시면 12호나10호 정도면 무난합니다.
저수지 같은 경우에는 잡고기가 없을경우에는 3일이 지난후도 입질이 들어옵니다. 잉어가 떡밥을 바로 먹는 것이 아니라 떡밥이 풀어졌을 경우에 근처에 왔다가 바늘이 빨려 들어가는 것이구요
저수지는 하루에 한번 강낚시는 6시간 단위로 바꿔 주시면 됩니다.
별로 좋은 모습이 아닙니다.^*^
던지면 되겠습니다..
계란만하게 뭉쳐진 떡밥에 6봉을 가운데로통과 시켜 6등분을하여 싸올리듯이 바늘을 박아놓고 앞에말한것처럼 전방 100미터 대중탕 만한 곳에 집어를 하듯이 던져놓으면 30분이 지나면 그 계란만하게 뭉쳐놓았던 떡밥이 풀어지고 바늘이 우산살처럼 퍼져있는다구요 그러다 잉어가 와서 웁짜! 웁짜! 하다가 바늘이 빨려들어가는데 한창 입심좋을때는 5센티정도 떨어져있는 바늘도 빨려들어간다고 하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