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개인적으로 이화요수찌를 좋아하며 즐겨 이용합니다.
낚시 첨 시작할 때 운 좋게도 이화요수찌로 대박을 맛봤었거든요.
요즘... 낚시에 대해서 살짝 깊게 들어가면서
장비병 때문에... 없는 돈에 무리해가면서 기존 장비들도 하나씩 업그레이드하면서 이제 찌를 눈여겨보고 있는데...
대체 좋은 올림찌가 무엇인지에 대한 의구심이 듭니다.
저렴한 찌를 찾는다면 천원짜리 찌부터 비싼건 몇만원짜리 찌까지 다양하지 않습니까.
제 경험을 말씀드리자면... 예전에 친구놈이랑 꽁짜터 자주 다닐 때 일입니다.
제 친구는 어디서 주서온거같은 딱 보기에도 허접해보이는 막찌, 그리고 저는 이화요수찌였습니다.
구멍이 조금 넓게 퍼진 갈대 포인트를 서로 노렸는데 제 친구가 저보다 따블이나 더 잡았었죠. 흐흐흑...
그런걸 생각하면 좋은 찌를 고르는 것 보다 떡밥 운용술이나 포인트선정, 전반적인 낚시 테크닉이 더 중요하고
조과에 큰 영향을 준다는걸 인정하지 않을 수는 없겠는데...
그래도 천원짜리 막찌도 있는 반면, 그것보다 몇십배 비싼 2만원 3만원이 넘는 찌가
비싼데는 뭔가 이유가 있는 것 아니겠습니까.
외관상 이뻐 보이고 뭐 그런걸 떠나서... 순수하게 조과를 놓고 봤을 때
그런 몇만원짜리 비싼 찌들은... 훨씬 더 예민하게 입질을 받을 수 있습니까?
그리고 천원짜리 막찌보다 본신 때, 더 쫙쫙 잘 올려줍니까?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좋은 올림찌란 무엇인지 선배 조사님들의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그리고 찌는 어떤찌를 쓰면 좋은지와 선배 조사님들께서의 찌 선별법도 듣고 싶습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좋은 올림찌란 뭘까요?
-
- Hit : 6350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6
좋은 찌? 제가 생각하는 좋은찌는 정직한 찌 라고 생각 합니다...
어신전달 표현을 정확하게 나타내주는 그런 찌 가 가격을 떠나서 가장 좋은 찌라고 생각을 합니다..
기본적인 방수,시인성 등은 갖추고 있어야 되겠지요....
생미끼대물찌재질은 오동. 스기목... 여기도 많은찌의소재가 있구여 대물찌는 회원님들께서 손수자신에게맞는찌를 제작들하신답니다 대물찌는 수초를끼고하는낚시이다보니 아무래도 찌의부력이 봉돌7호ㅡ10호정도를 사용들하십니다
허접한대답이 도움이되셨으면합니다 언제나 안출하시고 즐낚하십시요
예민성 : 입질을 즉시 전달 하여야 합니다
정직성: 입질을 정확히 전달하여야 합니다
직립성: 찌가 입수지 똑바로 서서 반듯하게 내려가야 합니다
시인성: 수면에 있는 찌가 잘 보여야 합니다
견고성: 튼튼해야 합니다 (쉽게 부러지거나 변형이 안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적당한 가격이면 더욱 좋겠지요......
상기의 조건에 가까울수록 찌의 가격은 비싸겠지요
저가의 찌도 기본적인 기능은 하겠지만 위와 같은 조건이 맞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가 일수록 상기의 조건에 가까워 집니다)
좋은찌를 만들때는 소재부터 도료선택까지 많이 달라지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대상어의 입질을 표현해주는 찌는 낚시꾼의 "눈"입니다
좋은 시력을 가진분이 사물에 대한 인지가 편합니다
낚시할때도 마찬가지라 생각 됩니다
가격이 비싸거나 저가이거나 의 차이보다는
정직한 표현을 하는 찌를 선택하심이 좋습니다
저도 찌를 구매하는데 많은 비용을 투자했습니다
꼭, 좋은 조과를 본것은 아니나 가격이 높을수록 찌의 표현이 더 좋는 것은 맞는것 같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낚시의 즐거움은 3가지 입니다
(1) 설레임: 출조전 장비를 챙기고 준비하는 설레임입니다
(2) 보는맛: 찌의 올림을 볼때 정말 짜릿 합니다
* 좋은찌일수록 그 맛을 2배로 보여줍니다
(3) 손 맛: 대상어의 제압을 하는 과정의 손맛 입니다
저의 기준으로 짧은 생각을 말씀드렸습니다
즐낚하시길 바랍니다
찌가 물밖에있을때에는 낚시 하는이의 눈만 즐겁게 해주면 되겠지만은
찌가 물속에 들어가면은 물속의 조건에 알맞은 찌놀림을 해주어야 좋은찌 겠지요.
오늘 조과가 좋은찌가 일년내내 같은 조과를 보장해줄까요. 않그렇겠죠.
조과가 좋은날은 물속 상황(물속 온도)과 채비와 떡밥운영술과 물밖의 상황(기온)이 알맞게 조화가 이루어져 조과가 좋아겠지요.
님은 전에 조과가 좋은날의 물속 온도를 아시나요? 또 조과가 않좋은 날의 물속 온도는요?
님께서는 그날의 채비(찌마춤)와 떡밥운영을 어떻게 하신걸 기억합니까.
또 물밖의 기온등 자연 환경을 기억하고 있으신가요?
그날 사용한 찌의 봉돌 무게와 자중순부력 %를 아시나요.
그날 물속과 물밖의 자연조건 현상을 메모하십시오.
2~3년만 낚시가신 현장에 대하여 메모하시면 통계치가 나옵니다.
통계치가 나오면 그통계를 보고 시행착오를 개선할수 있습니다.
잘못된 그날의 낚시 테크닉을 바로 잡을수있거나 피해갈수 있습니다.
찌 만의 문제가 아나라는걸 말씀 드린것입니다.
낚시도 "스포츠"입니다.전날의 기록이 않좋은데 전날과 똑같은 기술로 오늘도 경기에 임하십니까?
기록이 않좋으면 분명히 이유가 있을겁니다. 잘못된 부분을 찾아 개선하여 현장에 맞게
대처하면서 낚시에 임하시면 많은 즐거움이 있겠지요.
찌이야기 하나만 하겠습니다.
찌몸통 재질에 따라 찌놀림이 다른게아니라 찌의 "자중대비 순부력" %에따라
찌놀림이 달라지는겁니다. 삼나무찌가 찌놀림이 묵직한게 아니라
찌"자중대비 순부력"이 낮아서 찌놀림이 묵직한겁니다.
다시말하여 가벼운 발사목으로도 찌놀림을 묵직하게 만들수 있다는겁니다.
찌"자중대비 순부력" 이말 중요한겄입니다. 이말을 이해하셔서 그날의 현장상황에 맞는
찌를 그곳에 투입 하실줄 아시면 낚시 감독이 다 되신겁니다.
잛게 줄여서 설명드리니 설명이 이상하네요.
제가 생각 하는 찌란??
정직,시인,견고성이 좋아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이 모든것을 가장 잘 표현해 주는것이 좋은 찌이고요..
그 점을 가능케 해 주는것이 자중 대비 순부력입니다.
다운님의 댓글 문장중 "자중 대비 순부력 몇 % ?"
꼭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찌가 가져야 할 가장 중요한 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