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줄감기 설치의 후유증 극복^^

지난번에 줄감개 설치하고난 후 바늘과 봉돌에 의한 손잡이대 도장의 흠집에 관한 글에 많은 회원님들의 답글이 있었습니다.. 그중에 한 회원님의 의견을 참고하여 가장 손이 덜가는 방법으로 해결해 보았습니다 8자 바늘걸이 하나만 추가하고 두개의 링을 봉돌의 위치로 함께 모아서^^
줄감기 설치의 후유증 극복 (월척지식 - 전통바닥낚시)
줄감기 설치의 후유증 극복 (월척지식 - 전통바닥낚시)
줄감기 설치의 후유증 극복 (월척지식 - 전통바닥낚시)

저도 이방법을 쓰는데 간편하고 효율적이더군요...
줄감개 위치를 위아래로 조금씩 움직여서 조정 하다보면 봉돌이 손잡이 수축고무 위치에 옵니다
저도 예전에 사용했던 방법입니다만,
첫째 찌손상이 발생하고,
둘째 가방안에 보관시 눌리게되면 역시나 낚시대 손상이 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폭 3미리 정도로 얇게 짤라서 봉돌에 수축고무를 씌우시는게 부력 차이도 거의없고 낚시대 및 찌 보호도 가능합니다.
봉돌에 수축고무를 씌운다..
쉽지가 않을듯 하니
나중에 전기테이프를 봉돌부분에
감아볼까 합니다^^
사진을 보니 납추를 길쭉한 것으로 쓰시면
낚시대 스크레치 예방에 좀 더 안전하지 않을까 합니다만...
낚시대가 장독대골드네요 ㅎㅎㅎ
오늘 칭구꺼 빌려서 외대일침 하고 왔는데~~~
짱짱하니 좋더군요 대리석 같은 느낌~

그런데 스크래치문제는 고질병이라고 봅니다
아무리 연구를 해봐도 답이 없더군요
모양새가 조금 그렇고 봉돌에 아기용 노랑고무 끼워주니 한결 좋은데
그넘의 바늘이 문제라 ㅠㅠ
외봉은 그나마 덜하죠~짝바늘은 에고에고 소리만 납니다

이것저것 다 달아 봤지만~~~
너무 추렁추렁 해서 포기하고
줄감개 제거후 새로 구입했다는 슬픈 현실 ㅎㅎㅎ
봉돌을 분리해서 수납하시면 편합니다..
원줄에 고리연결허시고 철수시 봉돌 분리하시면 됩니다.
오늘은 검정색 전기테이프를 사서
봉돌이 위치한 두개의 링자리에 4~5회 감고
링두개는 8자링 과 합쳐놓으니 바늘걸이가
단단하게 고정되는 이점과 바늘로 인한
낚싯대 스크래치가 완전하게 커버되네요^^
어느정도 만족합니다..
바늘은 팔자링으로 하면 되고요

봉돌은 링하나로 가운데 놓으면 봉돌이 위 아래로 움직이는것이 아니라서

봉돌이 낚시대에 기스를 주지 않습니다

여태 써도 아직 기스는 없는데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