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주관적인 입장에서 말씀 드리자면,, 가벼운 찌맞춤이 되어 있을시 헛챔질이 자주 발생되고요....
무엇보다 챔질 타이밍을 잘 잡으시는것이 더 중요하다라고 생각합니다..
매번 똑같은 채비로 똑같은 곳에서 하더라도 그날 환경경인 요소등 기타사유로 챔질 타이밍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정석은 찌올림중 멈칫거릴때라고 알고 있지만 말그대로 정석일뿐 주변요소에 따라 좀더빨리 아님면 좀더 늦게
챔질후 결과(입걸림)에 따라 그날 타이밍을 잡아가면 되리라 생각합니다.
그날 챔질후 걸려서(붕어 윗입술 정중앙 부근) 나오는 타이밍이 정답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수온이 내려가서 아주 예민하지 않을시에는
찌의 자체 부력이 크건 작건 간에
너무 가벼운 맞춤을 하시면 헛챔질을 자주 하실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보자면 붕어가 먹이를 물고 살짝당겼다 놓아버릴 시 가벼운 찌 맞춤시에는 찌가 위로 솟구칩니다.
굳이 가볍게 맞추어 사용할거면 목줄을 아주 짧게 사용해서 가짜 입질은 걸러내야 될 걸로 보이네요
짧은대라 저부력찌를 사용했는데
고부력+무거운맞춤 하니까 챔질이 되더군요..^^
무엇보다 챔질 타이밍을 잘 잡으시는것이 더 중요하다라고 생각합니다..
매번 똑같은 채비로 똑같은 곳에서 하더라도 그날 환경경인 요소등 기타사유로 챔질 타이밍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정석은 찌올림중 멈칫거릴때라고 알고 있지만 말그대로 정석일뿐 주변요소에 따라 좀더빨리 아님면 좀더 늦게
챔질후 결과(입걸림)에 따라 그날 타이밍을 잡아가면 되리라 생각합니다.
그날 챔질후 걸려서(붕어 윗입술 정중앙 부근) 나오는 타이밍이 정답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찌의 자체 부력이 크건 작건 간에
너무 가벼운 맞춤을 하시면 헛챔질을 자주 하실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보자면 붕어가 먹이를 물고 살짝당겼다 놓아버릴 시 가벼운 찌 맞춤시에는 찌가 위로 솟구칩니다.
굳이 가볍게 맞추어 사용할거면 목줄을 아주 짧게 사용해서 가짜 입질은 걸러내야 될 걸로 보이네요
저같은경우에는.. 짧을수록.. 훅킹이잘되던데..
길수록.. 아무래도 훅킹성공율이 짧은대에비해 조금 떨어지던데요.. 음.. 채비의 문제인가요?; 아님 훅킹타이밍의 문제일까요..
저도 궁금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