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대물터 입질이 약할때 채비법?

배스가 있는 대물터에서 글루텐 외바늘에 붕어6호바늘,목줄7~8cm, 원줄카본3호,목줄 합2호 사용하고 어쩌다 한번온 입질이 1.5~2마디정도 올리고 뚝 떨어지고 또 다시온 입질에 2마디 올리고 약간 늦은 타이밍에 챔질한 것이 0.5초간 후두둑 하더니 핑~~ 빈바늘만 올라옵니다. 또 다시온 2마디 입질에 강한 챔질! 그러나 붕어6호바늘이 휘어져버립니다~~ ㅠㅠ 질문 1)4짜,5짜를 볼라면 붕어6호바늘은 너무 약한건가요? 강성돔5호에 글루텐을 쓴다면 이물감 때문에 괜찮을란지요? 2)예민한 찌올림에는 저부력찌가 더 나은건가요? 낫다면 몇호정도가 적절할까요? 3) 2마디 올리는 예민한 입질에 목줄을 길거나 짧게하면 찌올림이 달라 질런지요??

1.입술에 설걸리지만 않으면 결코 약하지 않습니다. 경험상 6호바늘로 잉어82cm,13kg짜리도 걸어냈었습니다.

2.저부력찌가 유리합니다. 고리봉돌기준 3~5호 정도의 부력을 가진 막대형찌가 예민합니다.

3.목줄을 20cm정도로 길게하시어 바늘위 4~5cm 지점에 분할봉돌채비를 하시면 한결 찌올림폭이 커질것입니다.
댓글이 없어 몇자 적어 봅니다.

오랜 기다림 끝에 어쩌다 온 입질이 1 -2 마디 올리다 뚝 떨어진다

--> 고부력 찌에 저수온(초봄, 늦가을 초겨울)에 나타날 수 있는 현상입니다.

--> 활성도 좋지 않은 시기에 고부력찌에도 나타납니다.


질문 1에 대한 의견

---> 붕어 바늘 6호는 약합니다. 고수님들은 옥내림 채비에 5-6호 바늘로도 4짜 건져내지만 저 같은 초보한테는 불가능.

바늘 좀 더 크게(붕어바늘 10호 정도, 강성돔 바늘 3-4호) 사용을 권장합니다.

질문 2에 대한 의견

----> 글루텐을 떡밥낚시라 부르는데 개인적으로 이견이 있습니다만, 어쨌든 글루텐 낚시에 고부력보다는

저부력(고리봉돌 기준 4-6호 이하)으로 수평맞춤(케미+바늘 달고 수면과 케미가 일치되게 맞춤) 이 좋은 찌올림을 볼 수 있습니다.

질문 3에 대한 의견

----> 제 생각에는 떡밥낚시에 목줄이 길어서 유리한 것은 없습니다(건탄낚시 제외) 그렇다고 짧게 한다면

찌 올림이 급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부드러운 합사의(스파이더 2.5호 내지 3호 추천) 7~10센티의 목줄 길이가

적당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참고하십시오.
소견입니다.

입질을 앞에두고 보지 않아서 와 닿으실런지는 모르겠습니다.

1.저는 붕어7호바늘이 주력이었습니다. 7호를 수해 쓰다보면 6호는 아기바늘같습니다만, 6호나 7호나 도진개진이라 봅니다. 떡붕어의 순간 째는 경우, 발갱이의 순간 쳐박는경우외에는 충분히 견뎌주리라 봅니다. 뻐드러지는 경우에도 바늘만 탓할 상황은 아니라 봅니다.
챔질, 원/목줄, 낚시대의 성질 등 변수는 많다고 봅니다. 결론은 붕어 6호 약하진 않습니다.

2.저부력이든 고부력이든 붕어가 들어주는 그대로 반영해주는 찌맞춤이 있는가 하면, 그 몇배로 표현해주는 찌맞춤이 있을수 있겠지요.
다만 질문하신분의 베스 붕어 대물터의 경우.
부력의 고/저는 예민함에 그 목적이 있는것이 아니라고 봅니다. 포인트의 차이일수 있겠으며, 미끼의 차이,대상으로 하는 붕어 씨알의 차이일 수 있다고 봅니다.

경험에..
저는 찌와 정면으로 서있고, 수면의 일렁임으로 캐치하지 못하는 소위 '찌를 한마디 올려놓고 동동거리더라' 하는 옆조사님의 첫도움으로 월척급 붕어를 마릿수로 한 경험도 있습니다.

두마디면 충분히 훌륭한 입질일수 있다고 봅니다.

제생각에 찌에 표현되는 마디수는, 대상어의 입질 폭과속도의 문제/혹은 맞춤의 문제이지 부력의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노지의 기준입니다.

3. 목줄의 길이는 수초가 없는 맹탕지의 경우라고 가정을 해봐도 긴목줄, 짧은 목줄의 장/단은 분명히 존재 합니다. 물론 변수도 많구요.

저는 목줄과 관련해서는 항상 고민과 선택의 갈림에서 왔다 갔다 합니다.
다만 한가지 스스로 결론지은것은, 채비의 믿음은 꾼의 감에 의해 변화가 결정되며, 변화를 느끼는 순간 조정의 기술이 고수와 하수의 차이를 가른다고 믿고 있습니다.

결론은..고수님들의 생각을 함께 들어 보기로 하면 되겠습니다. ^^

제의견은 포인트를 보는눈, 미끼의 선택 등등 무수한 변수를 고려치 않은, 다만 질문자께서 주신 상황에 따르는 세가지 의문에 나름 허접한 견해에 지나지 않습니다.
바늘을 붕어바늘 대신 바다고기바늘 벵어돔4호(FuJiKu)나 5호를 쓰시면 좋을듯하네요.
아우님 댓글로 좀 다양한 생각을 갖게 하네요. 저역시 한참을 고민했고 가장 근접한 답문이 아닐까 생각되네요.

10곳의 계곡형이든 수로든 강이든 모든 조건을 따지지않고 목줄을 딱10센티로 무작위로 정하고 해보세요.

찌올림은 모두 동일하지 않습니다. 분명 차이가 있을꺼에요.

자신이 원하는 찌올림에 근접한 채비를 만드는것은 아마도 본인이 습득한 경험이나 응용에서 완성되는것이 아닐까요.
월님들 고견 감사히 잘 들었습니다.

종합하여보면....

저도 바늘이 붕어6호면 충분하다고 항상 생각하고 있는 사람중의 한사람인데,,,
실제로 옥내림채비 6호바늘에서 4짜의 경험도 있고요,,
그런데 옥내림은 이물감이 상대적으로 적어 바늘이 붕어입 깊숙히 후킹되기에 문제없는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저는 모든 외바늘 채비는 전부 붕어 6호로 바꾸고 제법 월척들을 했었지요.
그런데 언젠가 향어,잉어 유료터에서 강한 챔질에 붕어6호에 바늘이 뻐들어지는 일이 자주 발생하였을때
강성돔3호로 바꾸고 해결한적이 있었습니다.

강한챔질과 6호바늘 그리고 대물(4짜이상)은 뻐들어지는듯합니다.


여기서 드는 의구점은

캐이스1) 붕어6호에 약한챔질, 캐이스2)강성돔3호에 강한챔질

어느쪽이 더유리한 채비인가에 초점을 맞출수 있어보입니다.

캐이스1)은 약한챔질에 따른 후킹의 어려움,후킹후에도 최종 손안에 들어 올때까지의 파이팅에서 불리할것입니다.

캐이스2)는 큰바늘이라서 제대로 입질해줄지 하는 우려가 있습니다.

어느쪽이 나을런지요?

결국 개인의 취향에 따른 선택의 문제인것 같기도 하네요~~

저는 일단 외바늘 채비에는 모두 강성돔 3호채비로 다 갈아타서 해볼려구요~

월님들 감사합니다^^
연주찌 채비로 바늘을 살짝 들어올리는 것이 어떨까 생각합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