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거운 맞춤 케미끝 수면 일치 후 케미 살짝노출해서 수심 측정한 상태 라고 가정 했을 경우에요
봉돌은 바닥에 잘 안착된건가요?
케미 완전노출맞춤에 케미 살짝노출 한상태는 봉돌이 약간 뜬 모습이 되나요?
찌 한목맞춤에 케미만 노출 하면 바늘만 바닦에 다은 상테가 되나요 ,
끝으로요 케미 수면 맞춤에는 케미 노출만
케미 노출 맞춤엔 찌 한 마디 노출
찌 한마디 노출 맞춤엔 찌 두목 하면 봉돌은 잘 안착된건가요.
올한해 어복충만하시고요 선배님들조언 부탁드려요
찌맞춤후 봉동안착 질문좀요
-
- Hit : 6746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2
마춤은 찌의 부력과 봉돌의침력을 상쇄시키는 겁니다,
그상태에서 마춤한 상태의 이동은 상쇄를 깨는 것으로..판단하시면 될듯 싶네여.
이상은 허접초보의 생각입니다..
어떤 면에서는 찌올림이나 조과가 굉장히 좋답니다.
아마 카본줄을 사용하실텐데 카본줄 사용시 좀더 무겁게 맞춰줘야 바닥에
안정적으로 안착이 된답니다.
제가 사용하는 방법은 모노줄 1호나 1.2호 기준으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귀찮더라도 바늘을 빼고 찌맞춤을 하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바늘의 무게를 알고 있다면 캐미를 기준으로 맞춰도 되는데 사실 캐미를 기준으로
맞추게 되면 표면장력때문에 정밀한 찌맞춤이 되지 않는답니다.
저는 본봉돌만 달고 찌를 맞춥니다. 사실 제일 애매한 부분인데 찌가 살며시 내려가다
마지막에 캐미가 딸깍 잠길때까지 맞춰준답니다.
그리고 본봉돌을 올려 수심을 측정한후 찌톱 반이나 한마디 나왔으면 바늘을 달아서
낚시를 합니다.
그리고 찌가 잘 안올라오거나 빠는 입질이 나온다면 쇠링을 추가하시면서 낚시를 하시면
될듯 합니다.
바늘 제거후 찌맞춤하시면 봉돌이 바닥에 정확히 안착됩니다..
떡밥낚시 기준 찌탑 한마디 노출 찌맞춤에 낚시하실때 찌탑 한마디 또는 반마디 노출하여 수심측정
낚시를 하시면 됩니다. 아참 라인은 모노필라멘트 2호 이하를 권장합니다.
단 수조에서 찌맞춤하시길 바라며 찌맞춤시 찌하강 속도를 제어하시면서 맞추시면 정확한 찌맞춤이라 보면됩니다.
그외 찌 물기제거 수조통 공기방울 제거등 몇가지 충족사항이 있습니다.
물론 가볍게 찌맞춤한다고 붕어 못잡는것은 아닙니다... 다만 일반적인 상황일시 총알같이 솟아오르거나 깔짝깔작 거리는
또 정직하게 올라오기는 하나 정점에서 챔질시 입걸림이 안되는 경우의 수가 발생됩니다...
그냥 바닥에 안착되고 싶다면 무조건 무거운 봉돌 쓰시면 되며..
가장 이상적인 조건으로 바닥에 안착되고 싶다라고 문의하셨길래 몇자 적어 봤습니다..
답글보니 약간더 햇갈리네요
저의질문은 바늘 빼고요 수심측정후 맨위가 무겁고 맨아랫 방법이 가볍고 까진 알겠는데요
위찌맞춤후 찌맞춤보다 약간 더내어놓고 하는게 봉돌이 잘 안착되있는지가 가장궁굼한부분 이고요 가볍게 마춘후 그상테로하면 봉돌이 약간 떠있는 목줄 슬로프 상테가되는지 궁금함니다
31영계에게 ㅎㅎ
한마디 내어놓고 낚시를 하게 되면 봉돌이 바닥에 살짝 안착이 되거나 아님 살짝 1~3mm정도 떠있을수 있습니다.
이상태로 낚시를 해보아 찌가 잘 올라오지 못하거나 올라오는데 헛챔질이 발생을 하거나 빠는 입질이
나온다면 이때부터 쇠링을 추가를 해보면서 상태를 파악합니다.
제가 낚시를 해보면 가벼울때보다는 오히려 무거울때 찌올림과 후킹률이 좋았던거 같습니다.
고기가 찌를 올리는 이유가 당기는 힘의 반대로 간다고 합니다.
손맛터에서 찌를 무겁게 맞추면 잉어도 올리는 입질이 나온답니다.
바늘 달고 정확한 수심에 던져 케미가 수면과 수평이 되면
봉돌이 바닥에 아주 살짝 다아 있는 상태
케미를 살짝 올리면 올린 만큼 봉돌은 바닥 쪽으로 내려 앉게
된다는게 제 생각 인데
저는 요기 까지 만 더 상세한것은 고수님께
봉돌이 안착된걸로 판단됩니다!!!
초짜였습니다!!! ^^;
만약 찌탑 1목에서 찌맞춤했다면 반드시 1~2목 더 내놓고 해야 되고 그냥 1목만 내놓고 한다면 봉돌이 약간 떠서 슬로프가 될 수 있습니다.
카본줄을 쓰면 더 무겁게 되는것 맞습니다.
잘 알고 계시는데요 뭘.
낚시를 처음시작하면서 선배, 동료의 도움을 받으면 조금더 쉽게, 조금더 시간을 아끼면서 좋은 취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저 또한 혼자 시작하다보니 많은 시간과 노력에 때문에 포기도 하려했지만요........
님의 고민 또한 알지만, 너무 형식에 얽메이지는 마십시오.
낚시는 지극히 개인적인 취미입니다.
타인의 충고와 선배들의 경험과 자료를 참고는 하지만, 그것이 절대적인것은 아닙니다.
님께서 이렇게 하고 싶으면 이렇게 하시고
저렇게 하고 싶으면 저렇게 하십시오.
많은 노력과 긴 시간의 경험이 쌓여야 나만의 낚시가 완성됩니다.
지금의 질문도 그러한 한 과정이겠지요!!!
감히 한 말씀 드린다면,
봉돌이 바다에 닿아야 채비가 안정되고, 정상적인 찌올림을 볼 수 있습니다.
강조하지만, 중충이냐, 내림이냐, 가벼운 맞춤이냐, 무거운 맞춤이냐고 하지만,
중요한것은 봉돌이 바닥에 닿아야 채비가 안정되고 정상적인 찌올림을 볼수 있습니다.
이러한 찌맞춤이 토종붕어의 먹이활동(섭취활동)에 맞기 때문에
대물낚시(전통낚시)가 조금더 토종붕어의 습성에 맞는 낚시, 즉, 토종붕어에 대한 생리를 더 아는 낚시라고 하지요!!!
개인적으로
찌에 봉돌만 달고 바닥에 통통통.....많이 무거운 찌맞춤을 합니다.
그렇지만, 일부 시기를 제외하고는 좋은 입질(찌올림)을 받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토종붕어와 미끼인 새우, 참붕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1인입니다^^
즐낚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