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최적의 수심

여러분이 생각하는 최적의 수심대가 어떻게들 되십니까? 1. 50ㅡ 1미더권 2. 1 ㅡ 3미더권 3. 4 ㅡ5미더권 노지 3칸대 기준 입니다. 참고로 3번은 현시점 거짐 중층 내림 조사님들만 하고 계십니다. 칭구는 회사직원들이 대부분 중층 조사라 어디서 대물잘나온다고 깊은수심만 주구 주구장창 말하는데.. 답답합니다. 1메다권에서 월척8 마리잡앗다고 하니까.. 그런데서 그런게 나와?.. 이제 2년차 낚시 하는칭구놈이 제말은 안듣고 직원들 말만듣고 저보고 거기가서 하랍니다. 중층과 바닥 겹치는부분도잇는데 바닥의 낚시유형을 모른다고해야하나.. 쩝 폰으로쓰기힘드네여.. 많은 분들에 바닥낚시 적정 수심좀 알려주세여..

저도 초보지만 적정수심 이란것은 변하는것이 아닐까 합니다
수초권과 맹탕이 다르고 수위가 만수냐 갈수냐에 따라서도 다르고요
그때 그때에 따라서 또는 저수지에 따라서 적용을 해야지 되는것이 아닌가 합니다
30센티미터의 수심 에서도 떼월을 하기도 할것이며 3미터 에서도 사짜를 하기도 할겁니다
저는 아직은 정답을 모릅니다 낚시에 과연 정답이 있기는 한것 인지도 모릅
덧 붙이자면 제가 작년 봄부터 배운다기에 제가 포인트 탐문 조사님들 조황 확인후 혼자 출조후 나온다 하면 친구 댈구

나가는데.. 올봄에도 칭구는 제가 하는 옆자리에서 본인 최대어 38짜리 걸고 다수의 월척을 잡아 보앗으면서도

제 말 보다 중층 하는 직원들 말에 믿음이 가나 봅니다. 그사람 포인트 저보고 가서 하라고 말하고 있으니..

솔직이 토종붕어 보다 중층으로 떡붕어 잡아 내면 사이즈 및 마릿수로는 중층을 넘을수는 없잖아요..

그래서 그런가보다 생각 하면서도 제 말을 안들으니 승질이 납디다..
3.5m권을 가장선호합니다..붕어끌어내는맛도있고 찌가서서히 잠수하는것 바라보는맛도있고...
떡붕어 낚시기법중 쵸친낚시 우리말로 번역하면 제등낚시인데요.고수온기 한여름에 직벽지역및 깊은 수심층에 대물 떡순이들이 진을 치고있습니다.
아마도 쵸친의 찍는맛 손맛때문에 깊은 수심층에 하시는것같습니다. 떡붕어는 전층에 유영하는데요
표층 중층 심층 바닥 즉 심층낚시를 즐기시는것같습니다. 저도 떡밥 올림낚시를 할시에는 3미터이하로
하고있습니다. 붕어는 유영 보다는땅을 타고 오른다고할까나..뭐그런 생각 입니다. 계곡지 한여름 낚시에 40대이상 갓낚시로1.5미터이하에서도 대어가나오는것을 보면 잡식성 붕어의 영향이큰것같습니다.
떡붕어는 대어가될수록 프랑크톤을 좋아하기에
포테이토 계열을 마니 사용 하고요...
1. 2번이요 딱 몇미터다라고 하기는 그러내요 ㅎㅎ 저수지 상황에 따라서 다르니...
대물낚시하는데 대체로 보면 2미터 안넘어가는 1미터~ 2미터에서 젤 적당한것 같습니다.
찌맛 손맛 생각하면 2번 추천드립니다....
최고의 수심은 1미터 내외좋아합니다
최적의수심

음~~~
낚시에있어 수심은 아주중요하다고 볼수있습니다
밤새 꽝을먹고 나면 머릿속에는 많은아쉬움이남게 마련이죠
그럴때마다 늘 생각하는것이
에~~C
좀더깊은곳으로대를폈어야했는데..
A~~~C8
너무깊었나...
궁시렁궁시렁 어쩌구저쩌구 낚시가끝나면 이렇게
주절거리기가 일쑤죠
그렇습니다
예로부터 꾼들이좋아하는 최적의수심은 1.5~2M권이 아니었나
생각해봅니다
지금도 마찬가지일거라는 생각이구요
저또한 갠적으로 위에서말씀드린수심대를 가장좋아합니다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수있겠지만 먹이감
즉,플라크톤이풍부하며
수서곤충을 먹이로하는 새우나 참붕어들이 서식하기에좋은곳이라서
붕어의먹이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수심층이라고 얘기를들었던
기억이있습니다
보통
바닥낚시를 하는경우에는 중층꾼들과 장소를함께하지않는것이
일반적인데.
냥이님께서는 좀특이한
낚시스타일같다는생각이...ㅋㅋ^.^

질문에대한 답은

1.5~2M권의수심이 최적이라고 생각하는일인이다

라고말쓰드려봅니다

안출하시고 어복충만하시길...
젤 재미본 수심은 30cm~50cm 입니다.다른 분들이 외면 하는곳에서 월척도 많이 했습니다.
1m전후를 좋아하며, 성적이 가장 좋았던거 같네요
1.2에서 2.0 미터 사이가 제일 좋네요...

낚시하는데는... 수심 30센치도 상관없습니다 ㅎㅎㅎ 느낌만 있다면요..
토종붕어의 경우 계절과 낚시 당일 기후에 따라 변수가 많겠지만, 기후가 적당한 시점, 즉 낮 최고기온 20~30도 사이의 표준시즌을 기준으로 1.5±0.5 미터가 가장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굉장히 중요한 요소가 경사가 급하지 않은 완만(평평)한 바닥이 있으면 먹이활동을 할수있는 놀이터가 제공되므로 금상첨화.. 수초 등 음폐물이 있는 경우는 예외겠지만요.
바닥 낚시 하는 여러분들 역시 0.5-3미터 권을 선호들 하시는군요..

계절 및 지형(계곡지) 아닌 이상은 낮은 수심이 월등히 좋은걸 저 역시 알고 있는 부분입니다.

친구놈이 이글을 봤으면 하네여..

답변들 감사합니다.
30~50cm 선호 하시는분들 계시나요?
예전에 550mm 찌 쓰다가 사망할뻔해서 그이후로 절대로 상류 안가거든요..
1m정도면 가구요...
고기가 안올거 같아서...ㅎ
3.0칸 기준이라 하셨으니
게인 적인 생각에는
수심이 1미터50~2미터 적당하다고 봅니다
그이유는 그정도 수심이면 찌 올림도 좋고
입수또한 개안코 챔질시에도 묵직한 손맛을 줄수있는
수심이라 봅니다~
유동찌의 위치역시 2미터 정도 찌가 가잇으니 앞치기하기도 수월합니다~^^
제일 선호하는 수심은 1.5m ~ 2m입니다.
그 이유는 水魚之交님의 설명으로 가름합니다.
저는 1미터 이하선호합니다

최근 30센치 에서 월3마리 준척2마리했습니다 2미터이상넘어가면 별로더군요 물론저수지상황에 틀리지만요^^
상황마다. 틀리겠지만.
물색좋고 배수 기타 등등 배제하고
정상적 상황일때는 80~1.7 까지가 젤 좋은듯 갠적으로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