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하우스낚시 찌와 찌맞춤.

친구와 함께 난생 처음으로 하우스낚시를 가봤습니다. 하우스에서는 예민한 채비를 쓴다는건 알았지만 이렇게 예민하게 쓰는줄 몰랐네요. 대물 분할 낚시만 하다보니 예민한 찌라고 해봐야 찌 부력3.8g 짜리가 제일 저주력이네요.. 예민하게 해보겠다고 목줄을 긴목줄 길이 30Cm 짤은목줄 25Cm정도로 하고 긴 목줄에 좁쌀하나 달고 찌맞춤을 캐미꼽고 바늘달고 캐미 수면 맞춤이 아닌 1목 나오게 마이너스 맞춤을 하고 낚시를 해봤지만... 입질한버 받지 못하고 왔네요. 아주 서서서히 찌탑이 입수하는걸 보면서 이정도로 가볍게 맞췄는데 입질을 받겠지 했는데 몸짓만 느껴지고 입질은 없었습니다. 이제 질문 드리겠습니다. 미끼는 글루텐 사용하고요 1.제가 가지고있는 막대형 3.8g찌의 찌맞춤을 캐미달고 바늘까지 달고 3목 맞춤을 하고 수심찾고 캐미 머리만 내놓고 낚시를 하면 입질표현이 지저분 할까요? 이렇게 체비를 하면 찌가 움직이기만 하면 챔질 할까 생각도 했습니다.. 2.옆에 조사님의 찌를 보니 부력 2.3호 정도이고 몸통을 보니 오뚜기형을 쓰시는데요... 오뚜기형을 쓰게 되면 찌가 상승하는 속도가 빨라서 불리할거 같은데 왜 오뚜기형의 찌를 쓰는건가요? 저라면 똑같은 2호 짜리 부력의 찌라면 막대형찌를 쓸것 같은데요.. 3.채비비교 <현장조사님의 채비> / <저의 채비> 찌: 2.3호 오뚜기형. / 3.8호 마대형찌. 목줄: 당줄 길이7cm 양바늘채비 / 모노2호 긴목줄30cm에 좁살봉동,짧은목줄 25cm 원줄: 모노 1.2호 / 모노2호 찌맞춤: 캐미노출 / 한목노출 위에 비교표를 보면 저는 대물낚시 목줄로 사용하던 2호 모노줄로 원줄 목줄 사용했지만... 찌부력이 높지만.... 막대형 찌이면서 찌맞춤을 제가 더 마이너스로 가고 좁살채비를 사용했는데 현장조사님의 채비에 비해 예민성 이물감에서 뒤질까요? 4. 3.8부력짜리 찌를 1목 찌맞춤과 2.5부력짜리 캐미노출 찌맞춤을 비교 해보면 3.8부력의 찌가 더 예민한 마이너스 맞춤인데요 그래도 찌맞춤과 상관없이 찌 자체가 가지고있는 부력이 낮은 놈이 이물감이 더 적은걸까요? 그분께서는 목줄도 짧고 고기가 먹이를 취할때 본봉돌을 움직여야 하는 부담이 있고 제 체비는 목줄도 길고 좁살만 들어주면 되는데... 어렵네요...

하우스 바닥 낚시 무지 힘듭니다
몇년전까진 그래도 새고기를 방류 하여 띄엄띄엄 손맛 볼수 있었는데.....
지금은 대부분 손맛터이다 보니 고기도 학습을 하는지 입질이 영 아니올씨다 입니다
채비 무지 예민 하게 해도 내림을 따라 갈수 없더라고요
평일이면 모르겠는데 토요일은 영..... 힘듭니다
그래서 부득이 내림을 배울려고 하고 있습니다.
11월 12월에는 그나마 몇수 할수 있으나 1,2월에는 거의 말뚝 입니다
참고만 하시고요.
아 막 댓글 달아드리고 싶은데 이게 폰이라..ㅎㅎ
위에 잘못눌러서 ㅎㅎ 전 원줄 1호 목줄 06호 에 약 2.5호찌구요 스위벨 2호사용중입니다.

중요한건 낚시터가중요합니다.안되는곳은 안되요.
한때 자의반 타의반으로 10여년동안 양어장만 죽자사자 다녔던적이 있습니다

요즘같은 계절엔 퇴근과함께 하우스로 출근도 했었지요

하우스를 비롯해서 양어장낚시의 가장 큰~~주요사항은 자리 입니다!

채비나 밑밥운용술은 몇번 다니다 보니 모든 사람들이 비슷해지더군요

코딱지만힌 하우스에도 포인트와 비포인트는 존재하고 규칙적이고 부지런한 밑밥질만이 손맛을 볼수 있습니다
동절기 하우스 낚시 정말힘듭니다. 저같은경우 4푼찌에 바늘없이 한목 맞추고 두목이나 두목반 내놔도 입질 보기 힘들때도 많아요

이유는 붕어는 변온동물이라 수온에 굉장히 민감합니다. 즉 생체활동을 줄여서 최소한의 에너지만 소비하기 때문에 먹이활동에

크게 관심이 없읍니다.더군다나 혼잡한 주말이면 찌에 뿌리가 나서 나무로 자라는 확률이 높습니다 ㅋㅋ 그렇기 때문에 1푼대 찌로

내림 하시는 분들이 많아진거 같네요 바닥은 겨울하우스 어느정도 한계가 있읍니다.
오뚜기형 보다 막대형이 찌상승 속도가 더 빠르지 않나요??
이 참에 내림낚시 배워보시는것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손맛도 보고,스트레스도 안받고~겨울철 하우스 내림낚시 재밌어요^^
찌올림 폭은 지렁이가 좀더 낳은거 같은데요^^ 단 손으로 만지기가
오뚜기형은 입수시 막대형에 비해 사선이 덜 생기기 때문에
반응이 빠른거 같구 막대형은 사선입수 때문에 약간의 예신후 올라오는거 같습니다
아마도 그럴걸요^^
ㅎㅎ

그때그때 달라요

전 꼬로록 체비에 부양탄 떡고물 체비 사용 합니다

낚시터 특성 에따라 좀 다을수 있게지만

자신 만에 체비에 밑음을 가지세요
그냥 얼음 낚시는 어떠신지요? 전 남부지방이라 가끔 얼음 얼면 곡꽹이 들고 갑니다. 겨울은 쉬자고 다짐 했건만 사는동네가 얼음 꽝꽝얼면 슬며시 근처라도 가고싶어서요.ㅎㅎ
그냥 얼레벌레하시는게 정신건강에 이롭지안나싶습니다.매주 하우스로 가지만 올림은 가면갈수록 말뚝위주로갑니다.저번주는 짜증이나서 얼레벌레로교체하여 찌 쭉쭉올려줍니다.역시 하우스는 얼레벌레나 내림이 마릿수면에서는 최고가아닌가합니다.
하우스는 내림이죠... 불문율임니다 ㅎㅎㅎ

고기들이 약아빠져서 약간만 이물감 느껴도 뱉아버립니다

저는 연중 시즌에는 대물낚시만 하는 사람입니다

하지만 비시즌엔. 하우스가서 내림합니다
내림도 내림 나름대로 매력이 있어요 ㅎ
겨울철에 붕어의 먹이 취이 활동과 흡입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채비의 예민성은 겨울철 붕어의 흡입시 최대한 이물감없이 하는 것이 관건인것 같습니다.

채비의 예민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실전에서 보면
저 같은 경우 바다낚시에서 벵에돔 낚시를 해보면 알 수가 있습니다.
같은 장소 같은 미끼에 목줄이 낮은 단계에서 낚시를 해보면 잘 올라오다가도 목줄을 한단계 업그레이드
해보면 금방 입질이 끊겨 버리는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시 목줄을 낮추면 입질이 다시 시작되고..

민물낚시 역시 상황에 맞는 채비는 그만큼 중요 한것 같구요~~
어떤채비이건... 원줄과 목줄을 최대한 낮추고....
바늘 또한 호수를 낮추어 낚시를 해보십시요~~

하지만 노지건 하우스이건 가장 중요한건 포인트라고 생각합니다.

추운 날씨에 안출하시길 바랍니다.
제경험은 첫째가 낚시터이고 다음은 자리입니다..물론 채비는 기본이고..안되는낚시터 안되는자리 백날 앉자도 안됩니다.안테나 높이하시고 잘되는 낚시터 포인트 확인후하심이..채비는 바닥은 원줄 1.5호이하가 좋고요 아니면 스위벨과 본봉돌 사이 원줄리라도 가는 모노줄을 써보세요...원줄이 조금 굵어도 카바가됩니다.찌도 저부력에 2호봉돌이하로하고 찌탑도 되도록 가는것 쓰시고 목줄은 pe합사 0.4호나 0.6호정도 쓰시면 좋더군요..바늘도 작고 강한걸로 5호이하..이상이 제 경험입니다..2주전 하우스에서 바닥낚시로 24수..전번주 같은하우스에서 꽝.주변 내림도 거의 꽝.그날 그하우스에서 네마리 나오는거 봣습니다..날씨가 추워지니 힘드네요..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첫째가 날씨구요, 둘째가 하우스 낚시터고, 셋째가 채비라고 생각합니다만..
저는 채비를 목줄길이를 보통 7센티 가량 쓰다가 입질이 예민하면 5센치로 줄입니다..
그리고 2 분할 채비로 최대한 입수를 늦춰주고..찌는 1목마춤으로 가볍게..하지만 원채 낚시하기 힘든시기인지라
노지보다 덜춥고, 찌를 세우는 것으로도 만족하자고 자기최면을 겁니다..ㅋㅋ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