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이 없길래 개인적인 경험을 적어 봅니다.
겨울 강낚시..
요즘 여기 저기 수질이 많이 개선되었다는 매스컴의 보도처럼 혹서기에는 한강도 얼죠..
수질이 어느정도 이상의 순도를 가진다면 즉 오염도가 일정수준이하의 강물이라면 결빙온도에 도달했을때 유속이 있더라도 당연히 얼죠..
심지어 폭포가 얼어서 빙벽이 되니까...
하지만 강물이 언다고 해서 항상 얼어있는게 아니라
얼어있는 구간이 있고 녹아있는 구간이 있고 기온변화에 따라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기에 겨울에도 때와 장소에 다라서는 물낚시를 즐길수가 있습니다.
그럼 수온이 0도에 가까운데 낚시가 될까요..?
낙동강은 아니고 개인적인 경험을 이야기 하자면 울산 태화강 구 삼호교 아랫쪽에 강변숯불단지 가 있습니다
그 끝부분에 하수가 강으로 유입되는 하천이 있는데 그 하천 바로아랫쪽 직벽바위 아래 찌를 세우면 한겨울 눈발이 날리는 가운데에도
곧잘 십여수의 붕어를 낚곤 하였습니다.
유속이 약하고 일조량이 풍부하며 상류에서 상대적으로 따뜻한 물(하수)과 먹잇감이 유입되는 수심이 깊은 직벽 포인트..
근래에는 태화강이 낚시금지구역으로 지정되고 또한 하수를 지하배관으로 정수장까지 바로 보내버린다고 하여 어떤지 모르겠지만
한 5~6년 전까지만 해도 그랬습니다..
님이 그런 포인트를 찾아낸다면 낚시가 가능 할겁니다 만, 그렇지 않은 맹탕에다 찌를 세운다면 아마 한겨울 내내 낚시를 하더라도
붕어 꼬랑지 마저도 보시기 힘드실 겁니다.^^
겨울철은 붕어입장에서도 붕어를 쫒는 조사 입장에서도 힘든 시기 입니다.
한시즌을 쉬고 따뜻한 봄 아지랭이가 필때 새로이 장대를 들어보면 그 느낌도 색다르거니와
줄을 갈고 대를 닦고 채비를 매만지며
춘풍을 기다리는 초조한 조사의 애심도 그것을 즐기기에 충분히 매력이 있는 것이지요..
겨울 강낚시..
요즘 여기 저기 수질이 많이 개선되었다는 매스컴의 보도처럼 혹서기에는 한강도 얼죠..
수질이 어느정도 이상의 순도를 가진다면 즉 오염도가 일정수준이하의 강물이라면 결빙온도에 도달했을때 유속이 있더라도 당연히 얼죠..
심지어 폭포가 얼어서 빙벽이 되니까...
하지만 강물이 언다고 해서 항상 얼어있는게 아니라
얼어있는 구간이 있고 녹아있는 구간이 있고 기온변화에 따라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기에 겨울에도 때와 장소에 다라서는 물낚시를 즐길수가 있습니다.
그럼 수온이 0도에 가까운데 낚시가 될까요..?
낙동강은 아니고 개인적인 경험을 이야기 하자면 울산 태화강 구 삼호교 아랫쪽에 강변숯불단지 가 있습니다
그 끝부분에 하수가 강으로 유입되는 하천이 있는데 그 하천 바로아랫쪽 직벽바위 아래 찌를 세우면 한겨울 눈발이 날리는 가운데에도
곧잘 십여수의 붕어를 낚곤 하였습니다.
유속이 약하고 일조량이 풍부하며 상류에서 상대적으로 따뜻한 물(하수)과 먹잇감이 유입되는 수심이 깊은 직벽 포인트..
근래에는 태화강이 낚시금지구역으로 지정되고 또한 하수를 지하배관으로 정수장까지 바로 보내버린다고 하여 어떤지 모르겠지만
한 5~6년 전까지만 해도 그랬습니다..
님이 그런 포인트를 찾아낸다면 낚시가 가능 할겁니다 만, 그렇지 않은 맹탕에다 찌를 세운다면 아마 한겨울 내내 낚시를 하더라도
붕어 꼬랑지 마저도 보시기 힘드실 겁니다.^^
겨울철은 붕어입장에서도 붕어를 쫒는 조사 입장에서도 힘든 시기 입니다.
한시즌을 쉬고 따뜻한 봄 아지랭이가 필때 새로이 장대를 들어보면 그 느낌도 색다르거니와
줄을 갈고 대를 닦고 채비를 매만지며
춘풍을 기다리는 초조한 조사의 애심도 그것을 즐기기에 충분히 매력이 있는 것이지요..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