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님들 안녕 하세요///
날씨가 점점 추워 지네요.몸건강에 유의들 하시고요///
한가지 좀 궁금한게 있어서요///
제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낚시터에 가보면 여러가지의 직업을 가지고 계신 조사님들이 계십니다///
그중에 사업하시는 사장님 자유업 회사원 등 문제는 뭐냐하면 요금제가 싸든 비싸든
결제가 현찰로만 된다는거 보통 우리가 마트나 여러가지 물건 결제할때신용카드나 현금 영수증 처리가 되는데 왜 낚시터에는 안되는지
아시는 조사님 계신지요///
낚시터 요금제
-
- Hit : 1455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5
왜 그럴까요 이유는 하나 인것같읍니다
세금 포탈 안일까요.
저수지 관리 문제는 돈의 문제가 아니고
공동의 재산을 한사람에게 또는 지역공동으로
지자체와 계약을하여 돈을 지불하는분들에게만
낚시가 가능하게하는 제도의 문제가 근본입니다
이것은 명백히 말해 공동의재산을 몇사람이 계약을해
자기들끼리 수입을 올리기위해 현금만 요구하는 상황이
된겁니다 불법적인겁니다 하나의 저수지는 대한민국 국민
모두의 재산이며 세금으로 조성된 것입니다 물론 경외의 수는
있겠죠만 적정가격의 청소비만받고 낚시를 할수있게 해야 합니다
또한 저수지 휴식년제를 만들어 어족자원을 보호해야합니다 수입붕어
를 저수지에 푼다는것은 몰지각한행동입니다 배스 강준치 불루길 짜장까지
온통 외래어종인 이 상황에 대한 성찰이 필요한사항입니다 저수지는 국민의
세금으로 조성된것입니다 몇몇이 모여서 계약을하고 수익을 나누고 얼마나 오염
되있는 고기를 풀어놔 그걸 가져가 매운탕을 끓이고 약을내려먹고 하는분들이 계시다는
사실을 알아야합니다 그런분들의 건강을 위해서라도 양식된고기를풀어놓고 낚시하는 방법은
당연히 중지해야됨을 강조하고자합니다 돈 없는분들은 가고싶어도 부담이커 갈수없게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않됩니다 부담스러움은 낚시발전에 저해요소라는 사실을 우리모두 인식해야된다고보며 지금까지의
저수지 관리 방법을 개선시키는법이 하루빨리 만들어져 불법적인 상황의 악순환의고리를 끊기를 바래봅니다..
카드로 긁으나 소득공제를 받나 포인트를 적립하나, 이런 사소한 것을 궁금해하고 왜 저놈이 내 카드를 받지 않는가
열불을 썩히는 정력소비에 비하면 껌값조차 되지 않읍니다.
세금을 탈세 (혹은 절세?) 하고자 하는 의도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를 단속하고 지도하는 것은 나의 세금으로 돌아가는 정부 조직의 몫이지요. 불법 혹은 비위가 있었다면 관에서 알아서 낚시터 경영주를 찾아갈 것입니다.
카드로 내나 현금으로 내나 어차피 내 주머니에서 나가는 것은 똑같읍니다. 사소한 것에 너무 괘념치 마시고 가을붕어와 깊어가는 계절을 즐기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