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우러이알 맞습니다.
저 녀석들 원래는 겨울을 못 넘기고 죽기도 되어있었고, 풀만 뜯어먹고 살기로 약속된 것으로 아는데, 지금은 처음 약속과 많이 다릅니다.
개울과 하천을 따라 온 저수지 강과 댐까지 번져 토종생물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어류의 알과 작은 수서곤충이나 치어, 다슬기나 우리나라 고유 논우렁 같은 것도 다 먹어치우는 것으로 밝혀진 것으로 압니다.
일본은 친환경 우렁농법을 없애고저 막대한 돈까지 들여 잡아내겠다고 그 고생을 한다는데, 우린 무작위로 친환경이다 뭐다 해서 난리도 아닙니다.
이제 곧 환경유해종으로 분류가 되지 싶네요.
하지만, 배스 블루길 처럼 이미 충분히 늦었다는 것...
보는 족족 없애야 합니다
떡밥에 첨가하여 사용해도 좋아요
아님 밑밥 뿌릴때 사용해도 좋아요
처음 들어올때 월동을 하지 못한다고 하여
들여 왔으나 서서히 적응하여 월동 하는것으로
알려 졌습니다
식성이 대단하여 닥치는대로 먹어치우며
환경 파괴 주범이 될수도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유해종으로 분류하여 퇴치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지정할수도 있을듯 합니다
우리나라 토종우렁이는 몸속에서 알을 부화하여
바로 새끼를 낳는반면 외래종인 왕우렁이는
사진처럼 알을 낳으며 번식력이 대단합니다
답이 아닐수도 있으니 다음분께 pass
말풀등..기초 생태계 완전 망가 집니다.
지금도 양식하는곳 있고요
하천에서 흔하게 볼수있는 종이네요
저 녀석들 원래는 겨울을 못 넘기고 죽기도 되어있었고, 풀만 뜯어먹고 살기로 약속된 것으로 아는데, 지금은 처음 약속과 많이 다릅니다.
개울과 하천을 따라 온 저수지 강과 댐까지 번져 토종생물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어류의 알과 작은 수서곤충이나 치어, 다슬기나 우리나라 고유 논우렁 같은 것도 다 먹어치우는 것으로 밝혀진 것으로 압니다.
일본은 친환경 우렁농법을 없애고저 막대한 돈까지 들여 잡아내겠다고 그 고생을 한다는데, 우린 무작위로 친환경이다 뭐다 해서 난리도 아닙니다.
이제 곧 환경유해종으로 분류가 되지 싶네요.
하지만, 배스 블루길 처럼 이미 충분히 늦었다는 것...
1.우렁이...
2.알 입니다.
3.수입 우렁이 왕우렁이 알 입니다.
떡밥에 첨가하여 사용해도 좋아요
아님 밑밥 뿌릴때 사용해도 좋아요
처음 들어올때 월동을 하지 못한다고 하여
들여 왔으나 서서히 적응하여 월동 하는것으로
알려 졌습니다
식성이 대단하여 닥치는대로 먹어치우며
환경 파괴 주범이 될수도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유해종으로 분류하여 퇴치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지정할수도 있을듯 합니다
우리나라 토종우렁이는 몸속에서 알을 부화하여
바로 새끼를 낳는반면 외래종인 왕우렁이는
사진처럼 알을 낳으며 번식력이 대단합니다
얼마전 tv에도 나온것 같은데...
하천에 물풀을 다 먹어치워서
자연 정화력을 떨어뜨리는 주범중 하나...
현지인 한테 물어 보니 우렁이 알이라 하드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