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직한 찌의 위력
누누이 강조하지만 제가 소개 하는 방법은 오로지 저의 사견과 경험담이지 정답은 아니라는 것을 먼저 말씀을 드립니다. 저보다 더 나은 방법으로 낚시를 하시는 분께 검사를 받는 마음으로 저의 낚시방법을 소개하는 글이니 많 큼 따끔한 질책과 함께 배움의 길로 인도해 주시길 간절히 바랍니다.
이번 편은 앞글의 내용 중 여러분이 바라는 형태의 입질은 많지 않다는 내용과 함께 챔질 타이밍에 대하여 기술 할까 합니다.
제가 다른 분 보다 는 무거운 채비를 하고서 정확한 찌맞춤이니 정직한 찌맞춤이니 하고 떠들어 대는 것은 챔질 할 타이밍 때문입니다. 혹자는 자신의 찌는 찌 올림이 부드럽고 다른 이의 2배 이상 서서히 올린다는 말을 강조 하고 자랑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러나 저의 생각은 다름니다. 물속의 붕어가 하는 행동을 찌를 통해 우리는 느끼고 챔질을 하는데 가벼운 찌는 붕어가 올리다가 뱉어도 처음 탄력 받는 힘의 영향으로 계속 움직이고 있다면 어떻습니까.
찌가 거짓표현을 하는 것이지요. 양어장에서 낚시를 하다 보면 찌가 갑자기 화살처럼 솟아오르는 것을 보았을 것입니다. 과연 고기가 그렇게 빨리 물고 들었다가 뱉았을 까요. 찌가 솟아오르는 운동을 하고 있는 중에 챔질을 했는데도 헛챔질을 하는 경우는 없을까요.
분명 솟아오르는 동작을 하고 있었다면 고기 입에 바늘이 있었을 텐데요. 더 속 터지는 것은 찌가 계속 우물우물 올라오지도 않고 가라않지도 않고 조금 올라온 것 같기도 한데 시간이 지나면 원위치되어 있고 에라 떡밥이나 갈아 줄까 하고 대를 들어올려 보면 붕어가 물고 있는 경우는 없었나요.
각설 하고 물속을 들어다 볼까요. 붕어가 먹이 가까이 와서 먹이를 흡입할 때 그 힘은 우리의 상상과 다릅니다. 내림낚시하시는 분의 전체 채비를 물속으로 가라앉히는 힘이 붕어의 흡입력입니다.
물론 내림 낚시하시는 분의 채비는 잔존 부력이 거의 제로에 가깝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붕어는 빨리 뱉지 않아 내림 낚시가 간능 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올림낚시의 채비는 내림 보다는 부력이 많은 찌를 사용하며 특히 찌맞춤을 할 때 바늘을 달고 채비를 하면 그많큼 찌는 부력을 많이 가지게 되고 봉돌이 떠있게 되면 붕어의 입질은 순간적으로 물속으로 찍는 입질을 하게 되고 붕어의 활성도가 낮을 경우 잔존 부력이 많이 작용하는 채비는 빨리 뱉게 되어 내림에서는 콕콕 찍는 입질에도 잡을 수 있는데 올림 찌가 찍을 경우는 잡기 힘든 이유가 여기에 연유합니다.
그러나 정확히 봉돌이 바닥에 닿으면 처음 붕어가 먹이에 접근하여 톡톡 건드리다가 흡입 하는 것을 다 느낄 수 있습니다. 봉돌이 바닥에 닿아 목줄이 바닥에 깔려 있는 경우 대부분의 조사님들의 우려는 목줄길이 많큼의 여유가 그 많 큼 둔하지 않을 까 하는 우려입니다. 그러나 물밑 상황은 다를수 있습니다.
바늘과 연결된 봉돌은 카본 톱을 1센티 들고 있는 부력에 상응하는 무게의 봉돌입니다. 조금전 찌맞춤을 할 때 잘라낸 그 편납만큼의 무게 가로 2밀리 폭 2밀리의 편납의 무게로 말입니다.
물속에서 붕어가 봉돌을 움직이지 않고 먹는 방법은 봉돌을 중심으로 목줄 길이 많큼의 원 운동권 안에서만 가능 합니다. 그러나 붕어는 그런 기술은 없습니다. 먹이를 손으로 집어 먹는 것이 아니라 흡입한다는 것입니다.
아무리 목줄이 봉돌 가까이 있다고 하여도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붕어의 흡입력은 봉돌을 움직이게 합니다. 거의 같은 부력으로 위로 당김을 당하는 봉돌은 여러 각도의 영향을 받드라도 떠오를 수밖에 다른 표현을 할 수가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붕어의 입질은 찌맞춤이 잘된 찌는 붕어의 흡입 순간을 표현을 하는 것입니다. 순간적으로 1센티 정도 튀어 올랐다가 서서히 솟는 것입니다.
물론 먹이의 크기에도 상관이 있겠지만 어느 정도 풀어졌거나 당고형의 떡밥이라면 작아 졌거나 하는 경우에는 아무리 움직임 폭이 작다고 하여도 톡 튀어 올랐다가 서서히 움직일 때는 그 움직임 폭이 전체적으로 2센티 밖에 안 되어도 정확히 아웃이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움직임 폭은 붕어의 크기와 물밑 바닥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같은 바닥이라면 붕어의 크기에 비례하여 올림 폭이 정해지는 것입니다. 작은 전차표는 약 3센티 정도 감잎정도는 4센티 이렇게 말입니다.
그러나 물론 어느 정도 올리다보면 봉돌의 무게가 증가하여 이물감이 더해져 뱉을 것이지만 정확하지는 않지만 숙여졌던 붕어의 머리가 원위치하는 데 에 따른 찌 올림이니 만큼 붕어의 크기에 상관이 있다는 것 그래서 그날의 찌 올림 폭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대비를 하는 것이 유리 하다고 생각합니다.
찌를 움직이는 것은 봉돌입니다.
붕어는 찌를 건드리지 못합니다.
붕어는 오직 먹이만을 흡입합니다. 이 먹이에 잔족부력 혹은 봉돌의 무게감이 남아 있으면 엄청난 속도로 최소한 당신이 챔질 하지 못할 속도로 뱉아버릴 것 입니다.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09-09-24 08:46:44 대물낚시에서 이동 되었습니다]
찌(4)-{펌}
-
- Hit : 5444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