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맨날 눈팅만 하다가 질문을 올리게 되는군요..
이제 낚시한지 삼년차 되는 초보낚시인입니다.
지난주 봉재지에 좌대를 탔습니다. 그전 채비는 바닥낚시 채비였구요...
봄철이고 입질이 약할것 같아서 그동아 눈팅으로 봐온 스위벨 채비에 도전했습니다.
원줄은 2.5호, 목줄은 호수를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찌는 봉돌 4호정도 되는 놈으로 썼습니다.
스위벨은 5호입니다. 바늘은 7호 2봉채비로 목줄 약 5Cm로 사용했습니다.
아무튼 일전에 동영상에서 본것처럼 캐미 고무아래에 딸깍할때까지 봉돌을 깍아내고
수심 채크후 찌 한마디 정도 보이게 낚시를 시작했습니다.
오후 4시정도 햇볕때문에 눈이부셔서 찌를 잘 못보고 있는데 얼핏보니 찌가 한마디 더 올라온것 같길래 챔질.. 걸었습니다.
그리고 해가 지고 캐미를 끼우고 낚시를 시작했습니다.
여기서부터가 문제입니다.
입질을 하는것 같은데 올리는 입질이 아니고 대부분 빨리는 입질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혹시 스위벨이 떠있는거 아닐까해서 스위벨에 떡밥을 크게 뭉쳐 던져보고,
또 스위벨에 무게가 될수 있는 도래를 끼워도 봤는데 찌톱위치는 계속 동일했습니다.
그래서 스위벨이 바닥에 닿아 있다는걸 확신하고 다시 시작했으나 여전히 빨리는 입질이 들어왔습니다. ㅠㅠ
그런 와중에 빨리다 올리는 입질에 다시 한수 걸고.. 취침
새벽에 낚시를 시작했으나 한놈은 살짝 올리는 입질에 걸고,
한놈은 아예 찌를 빨고 수면아래로 잠수하는거를 걸어냈습니다.
뭐가 잘못된걸까요? 궁금해서 집에와서 그채비 그대로 수조통에 넣었더니 스위벨은 바닥에 잘 닿아있더군요..
혹시 봉재지 붕어가 넙치쳐럼 옆으로 누워서 입질을 하는건지??? ㅠㅠㅠㅠ
조사님들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스위벨채비에 빠는 입질??
-
- Hit : 9951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4
가끔은 빠는(내리는)입질도 경사면, 활성도 등에 따라서 있을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입질이 빠는 입질이라면 가벼운 찌맞춤이라 생각됩니다.
즉 스위벨이 바닥에 안착이 안되고 떠 있는 상태에 바늘만 닿은건 이닌지요(수직이든 슬루프든)
떡밥을 굵게 뭉쳐 내려도 바늘까지의 부력이라 바늘만 닿고 스위벨은 가라앉지 않습니다.
현장에서 바로 확인하려면 스위벨을 한 호수 무거운 걸로 바꿔보시면 되는데....
영혼님께서 쓰신글을보니 스위벨에 도래등으로 계속 무게를 주었을때도 변화가 없었다면
바닥에 안착된것으로 보입니다.
봉재지에 사는 살치들이 설쳐서 그렇게 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찌를 옆으로 끌고 가기도 하는 그놈들이요
부양탄을 쓰신게 아니라면
저런 상황은 참 신기하네요.
참 부양탄 쓰실때 스위벨 2호정도로 찌맞춤 하시구요 그 찌맞춤 그대로에서 실제낚시할때는 4호정도로 바꾸어서 하십시요.
스위벨 2호는 부양탄 사용시 바닥에서 뜹니다.
일반적으로 찌가 예민하게 반응할때 혹은 헛챔질 잦을때는 일차적으로는 오링을 더 밖아주시고 판단하심이 좋을거 같습니다.
그래도 어떠한 형태의 비정상적 어신이 감지된다면 특히나 봉재지 같이 득달같이 달려드는 아이붕어 및 어른붕어
개체수가 엄청 많은 곳에서는 미끼를 옥수수나 새우로 바꾸시고 관찰하시는것도 도움이 되실 거 같네요.
제생각으로는 바닥에 제대로 안착이 안된것과 안착이 되었다면 가벼운 찌맞춤으로 보여집니다.
스위벨무게가 요즈리 B봉돌의 무게이상이 되는지요? 그렇지않다면 원줄과의 채비구성에서 스위벨이 가벼워 바닥에 안착이
어려워보입니다. 안착되었다해도 빠는 입질이 더 많이 있을수 있을것같구요..스위벨은 조금더 무거운것으로 교체를 해보시거나
본봉돌에 쇠오링 小자나 中자로 가감을 하시면서 조절할수있구요 또하나는 한마디 내어놓으신걸 두마디로 내어놓고 해보시길
바랍니다. 수조찌맞춤을 하신다면 본봉돌에 中자 쇠오링을 2개 부착후 한마디 맞춤을하시고 거기서 小자나 中자로 추가하여
캐미꽂이까지의 맞춤을하시고 현장에서 수심체크후 한마디 혹은 두마디를 내오놓고 입질패턴을보고 쇠오링을 가감하여
하시면 될것입니다.
가끔 세마디쯤 올리는 입질이 한 두번 들어오긴 했는데 주로 한마디 빨고 마는 입질이 대세였습니다..
빠는 입질 많습니다...
채비문제로 인해 그런줄 알고 저도 여러가지 해봣는데 분명 스위벨은 바닥에 안착했읍니다.
무거운 찌마춤도 빠는입질이 나오고.가벼운찌마춤도 빠는입질이 나오네여..
봉재지의 특성이랄까???
저수온기에만 나타나는 입질 현상입니다..
짜장은 시원하게 올려주는 입질을 하는데 토종들은 빠는입질.그리고 올리는입질 둘다 나오더라고요.
그리고 봉재지는 미사일 입질도 있읍니다 ㅎㅎㅎ
찌가 수면위로 튀어 올라가는입질요..
찌몸통 전체가 수면위로 다 드러나게 총알처럼 올라가는입질도 있읍니다..
누가 밑에서 고무줄총으로 쏘는것처럼요..
고수분들이 한번가서..연구하심...좋을 듯 ㅎㅎㅎㅎㅎㅎㅎㅎㅎ
과학적분석은 고수분들께 패스
2. 대부분의 손맛터에서는 스위벨등 예민한 채비시 미사일 입질이 많이 나타납니다.
그럴경우 목줄을 좀 길게(10센치 정도) 사용하시면 점잖게 올리는 입질로 표현됩니다.
저는 40여수 정도 했고요, 옆에 조사님은 100여수 이상을 했습니다.
스위벨채비의 입질은 2마디정도 올리는 입질이었고요, 빨리는 입질은 없었습니다.
입질이 약해 목줄길이는 25센티 정도로 약간 길게 썼습니다.
옥내림 첫시도에서는 재미를 못보았고 스위벨과 편대에서 특히 스위벨입질이 대부분이었습니다.
대부분의 떡,토종,까망이가 혼재되어서 나오더군요. 주종은 역시나 까망이었습니다.
빨고 올리고는 붕어의 마음아닐지요?
걍 스트레스 받지 마시고 입질패턴이 이렇게 오는날도 있구나, 하시면 어떨까요...
근대 거의 빠는 입질은 예신입니다.
살짝 건드리면서 끌고간다거나 쪼아 먹는다거나
이경우 대부분 헛챔질입니다.
찌가 빨려들어가도 가만 두시고. 조금만 더 기다려 보세요
그러면 찌가 살짝 올라오다가 내려가거나
찌가 내려가다 올라오는 입질이 생깁니다
그럴때 챔질하시면 100%입니다
저도 사용해봤는데 양어장에서요....
찌톱한마디 수심을 맞추고 집어제를 무겁게 달고 던지면 캐미까지 내려가더라구요...
집어제 풀리면 다시 찌톱한마디....그걸 입질로 보고 챔질...
결국 집에 수조통에 넣어보니 스위벨 안착이 안되고 바늘이 안착된더라구요..
스위벨에서 바늘 목줄도 중요한 요소더라구요 빠빳한 싸구려 목줄은 꺽이지 않고 그대로 서있습니다.
스위벨의 침력이 작아서 그런거 같더라구요....이후 이x호 식 좁살봉돌 무바늘 찌맞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훨신 안착도 잘되고 헛챔질도 적어진것 같습니다.
이정x 님의 찌맞춤 방법을 확인해보세요~~